[국문학개론]향가의 명칭, 형식 그리고 작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개론]향가의 명칭, 형식 그리고 작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2
1. 향가의 명칭 ……………………………………………2
2. 향가의 형식 ……………………………………………2
3. 향가의 작가 ……………………………………………3

Ⅲ. 결론 …………………………………………………4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5

본문내용

분을 단순히 불교의 승려 혹은 주술사로 이해해 오던 융천사나 월명사, 충담사 등도 풍월도를 신앙하는 화랑집단의 낭도승임을 보다 확실히 하게 되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향가의 명칭과 형식, 작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향가의 명칭에는 향가라는 명칭 외에 사뇌가, 도솔가, 시내등 ·여러 가지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형식을 나눌때 는 문학적인 형식 분류 기준에 근거해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작가층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화랑과 승려계층으로 나누었다. 작가설에는 실존인물설, 설화상 인물 가공설, 역사적 인물의 가명설등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삼국유사』의 기록을 액면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 차츰 이견들이 생겨 난 다는 것이다. 만약 관계기록의 올바른 판독으로 이러한 설들을 받아들여 혼미를 거듭하고 있는 작자 문제를 바르게 확정짓는다면 이와 연결된 향가의 향유계층과 소장연대, 분포지역 등에 근본적인 수정이 가해지리라 생각된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향가에 대해 균여가 지은 11수의 작품 외에 삼국유사에 실린 14수의 작품 역시 승려인 일연이 지었기에 불교적인 색채만을 강하게 내포한다고 생각하여 오늘날에의 적용 또는 현대적 활용방안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다시 살펴보면 향가는 시대성을 초월하여 존재한다. 향가의 작가들은 향가를 지음으로 자신의 소망함을 아뢰고, 또한 이를 이루었다. 다시 생각하여 보면 향가는 시간을 초월한 영원한 기도라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무리하며 오늘날 새로운 가요의 물결 속에서 신라인의 소망의 노래 향가처럼 우리 또한 자신의 소망을 담아 노래를 지어 보는 것 또한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Ⅳ. 참고문헌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박노준, 「제3장 향가」『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김승찬, 『신라향가론』, 부산대학교출판부, 1999
국어국문학회 편, 『향가연구』, 태학사, 1998
사재동, 「‘향가작자’에 대한 신고증」, 청원, 1964.
황패강, 『삼국유사』, 향가 연구
황패강, 「‘사뇌가’ 양식의 고증」, 『국문학개론집』, 1978,
황패강 , 「신라향가연구」, 『국문학개론집』,
예창혜, 사뇌가의 형성과 그 개념, 『고전문학연구』, 10집, 한국고전문학회,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2
김학성,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1.1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