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도서관에서의 MARC DATA의 역할 및 적용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디지털도서관에서의 MARC DATA 역할 및 적용사례
1.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및 특징
가.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나. 디지털도서관의 특징
2. 정부에서의 디지털도서관 추진상황 및 실태
3. 디지털도서관에서의 MARC DATA 역할
가. 디지털도서관의 필요성
나. 디지털도서관에 있어서의 MARC DATA
다. 현재 운영중인 MARC의 문제점
라. 디지털도서관에 있어서의 사서 역할의 변화
마. MARC과 도서관정보전산망 구축
4. MARCBANK.COM 의 적용사례
가. MARCBANK.COM 의 운영방식
나. MARCBANK.COM 의 시스템 운영 방식
5. 기타 MARC 관련 운영사례
가. IMARC.CO.KR
나. NADONET.CO.KR

Ⅲ. 결론 및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정보에 대한 욕구는 끊임이 없을 것이다. 특히 정보화시대,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는 현재에는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적용하여 대응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결정권자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그 속에 속한 사서들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도서관을 운영하는 관장은 비교적 현재의 인터넷시대의 빠른 대응에 숨가파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나름대로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도모하는 곳도 있지만 과거의 형태를 고수하면서 조금씩 서서히 움직임을 보이는 곳도 적지 않다.
왜냐하면 정보의 고속도로가 뚫리고, 시스템이 발전하는 단계가 몇 년 전이었기 때문이다. 이제 정보의 산실, 평생교육의 장인 도서관이 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관계자들의 피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첫째로, 위정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도서관 구축에 대한 「국가전자도서관구축종합계획」의 정상적인 진행이다. 계획대로 차질 없이 예산이 배정되고 디지털자료실이 만들어지고 사서들의 정규적인 재교육 과정이 뒤따르는 등 정부의 디지털도서관 추진계획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최고 결정권자의 잦은 교체로 인한 추진계획의 공백이나 비전문가의 자리매김으로 오는 계획의 변경, 수정, 삭제는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게 될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결정권자의 지속적인 관심이 디지털도서관 추진계획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둘째로 도서관 사서들의 변화이다.
정보화사회에서의 주변환경 변화가 심화되고 있다.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정보제공의 중심축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사서들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디지털도서관의 운영과 디지털정보 서비스의 제공은 전문사서의 몫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재교육 장 마련, 양성대학의 교과과정 변화, 사서 본인들의 자기개발 등 변화하는 시대에 사서들도 변화하여야 한다. 삼위일체가 되어 디지털도서관에 대응하는 대비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세째로 MARC구축의 정확성과 표준화, 통일화의 필요성이다.
MARC DATA는 도서관 업무의 반복적인 상황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되었다.
비능률적인 업무에 대한 효율적인 업무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시스템이 바로 MARC DATA시스템이다. 그렇다면, MARC DATA의 정확성과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도서관전산화는 어렵다. 전산화가 어렵다면 디지털도서관으로 전환도 어렵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행본 용, 정기간행물용, 비도서자료용의 유형별로 되어 있는 MARC의 통합도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도서관으로 가기 위한 필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네째로, 디지털 도서관으로 변화를 서둘러야 한다.
디지털정보가 쏟아지고 있다.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시스템구축이 시급하다. 도서관별 특성에 맞는 디지털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례연구와 자료의 특성, 시스템 구축, 이용자의 분포, 이용정도 예상, 비용 등 다각적인 면을 고려하여 시급히 추진해야만 한다. 이미 디지털도서관으로 변화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도서관일 경우 디지털 세계의 변화는 누구도 예상을 못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 만큼 변화무쌍한 분야인 만큼 매일 UPDATE의 차원에서 새로운 변화에 즉각적이며 능동적인 자세로 대처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다섯째로 민간기업과 정부간의 MARC DATA 중앙공급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정부의 엄청난 예산을 투자하는 분야가 MARC DATA 구축분야이며 이를 민간기업에서도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사업화하고 있다. 그만큼 필요한 것이며, 필요로 하는 수요처가 많다는 것이다.
보다 국가적인 MARC DATA의 통일성과 표준화를 위해서라도 MARC DATA구축의 통합운영, 통합구축 시스템이 강구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디지털도서관의 구축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시대에 사는 사회인들의 정보 욕구가 디지털화 되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사서들이나 도서관들도 변화하면 된다는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은 추진하기 위한 자동화의 첫걸음 역할을 담당한 MARC DATA도 그 역할과 기능이 도서관계의 엄청난 변화를 일으켰다. 하지만 디지털시대에 걸 맞는 새로운 메타데이터 생성, 중복회피, 형태통합 등의 개선된 MARC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맹성현. 1996, "디지털도서관 프로토타입 MIRAGE 구현사례", 디지털도서관, 겨울호.
황종선. 1990, "국내의 정보처리 표준화 관련 단체 및 현황", 정보과학회지, Vol.8 No.2.
정상원, 안계성,『디지털도서관의 표준화과제』,(서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999) pp.4-7
이명희,『디지털도서관에서의 사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서울 : 사회과학연구, 1999.12) pp.1-19
최석두,『디지털도서관의 영향』, (서울:「국립중앙도서관 개관 50주년 기념논문집」,1995) pp.79-100
최정태, 양재한, 도태현 공저, 『목록조직의 이론과 실제』, (부산 :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pp.196-223
Soon Joo Hyun and Min-Ho Key, "ETRI Digital Library: A Framework Model for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t'l Conf. on Digital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21st Century, Seoul, September, 1996, pp. 243-257.
http://www.MARCBANK.COM
http://www.korla.or.kr
http://imarc.co.kr/
http://www.nadonet.co.kr/main/
http://oclc.com/oclc/menu/home1.htm
http://www.toccata.co.jp/
  • 가격2,7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1.23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7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