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기획사의 스타 브랜딩 마케팅 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예 기획사의 스타 브랜딩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스타 마케팅
1. 스타 마케팅에 대한 정의와 범주
2. 퍼스널 브랜드의 정의와 구성 요소
3. 퍼스널 브랜드와 스타 마케팅

Ⅲ. 연예 기획사의 Star Branding 방식
1. 주요 연예 기획사의 유형 별 분류
2. 해외 연예 기획사의 사례
3. 주요 연예 기획사의 연예인 양성 시스템

Ⅳ. Star Branding 마케팅 전략
1. 스타 창출 시스템
2. 연예 계획사, 미디어, 대중의 영향
3. 문화 대중의 스타 연예인에 대한 선호와 커뮤니케이션 방식
4. 연예 기획사와 연예인의 관계 형성(Relationship)
5. 지속 가능 스타 크리에이션 시스템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2) 핵심 역량 확장 전략 (Core Competency Extension Strategy)
크리스 주크(2005)는 자신의 저서 ‘핵심을 확장하라(Beyond the Core, Bain & Co.)’에서 핵심 역량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의 중요성과 더불어 이를 기반으로 한 관련 사업으로의 확대를 통해 핵심 역량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스타 브랜드의 핵심 확장 역시, 자신의 핵심 역량과 관련된 분야 혹은 캐릭터를 가지고 연예계 다른 분야로 진출할 경우 성공 확률이 높음을 여러 연예인들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감미로운 음성의 발라드 가수라면 어설픈 엽기나 코믹한 캐릭터 보다는 로맨틱함을 기반으로 유머러스한 매력을 갖춘 캐릭터로의 확장이 대중들의 친근함과 선호를 이끄는 데 좀 더 용이하다고 하겠다. 또한 스타 브랜드 확장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이 퍼스널 브랜드의 특성 상 인간적인 매력이 중요한 선호 증대의 요소이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휴머니티를 강조할 수 있는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과 같은 예능 프로그램 출연은 스타 브랜드 확장의 필수 과정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당 스타의 인간적인 매력을 부각시킴으로써, 브랜드 명성에 대한 캐스케이드(명성이 명성을 부르는 효과)를 일으킴으로써 브랜드 역량은 더욱 강화된다. 따라서 트레이닝에 있어서도, 핵심 역량 다음으로 화술과 언론 대응에 대한 트레이닝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브랜드 확장에 있어 타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 해당 역량을 개발시켜 줄 수 있는 유연성 있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몇몇 대형 연예 기획사외에는 체계적인 인프라나 시스템의 부족으로 타 분야 진출 시 대중들에게 역량 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들이 상당 부분 내포하고 있으니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Ⅴ.결론
스타 브랜드 창출에 있어, 마케팅 활동의 사전 단계인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케팅 활동의 차별화가 어려워짐에 따라 더욱 퍼스널 브랜드로써 해당 연예인의 역량 차별화가 성공적인 스타 브랜드 창출의 핵심이 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전문 분야 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철저한 트레이닝 시스템을 통해 기본 역량을 갖추어야 스타 브랜드로 발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날이 갈수록 온라인 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미디어의 노출 효과나 마케팅이 매우 중요하긴 하나 기본적인 역량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어떤 임팩트로도 해당 연예인을 스타라는 브랜드로 만들기 어렵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 때, 일부 아이돌 그룹이 외모나 스타일로 대중들의 마음을 잠시 사로잡은 적은 있으나 그 가운데 롱런한 팀이 없다는 점을 보아도 트레이닝 그리고 핵심 역량 관련 트레이닝의 중요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한편 다각 분야 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주요 활동 분야에 대한 대중들의 인정과 선호가 있을 때, 미디어 노출을 확대할수록 그 효과가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전문 분야 스타와 다른 점은 완벽한 역량 차별화가 이루어 지지 않더라도, 일정 수준의 이상의 긍정적 선호를 형성하면 미디어 노출을 통해 새로운 캐릭터를 창출해 냄으로써 만능 스타로써의 입지를 굳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예기획사들의 제휴 혹은 대학과의 산학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의 분야만이 아닌 통합적 연예 분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종합 아트 스쿨’을 두어 예비 스타를 발굴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출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 이러한 경향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는데, 국내 혹은 외국 전문 연예 분야 트레이너와 연예기획사와의 연계나 TFT 구성을 통한 스타 양성 프로젝트의 시행이 확대되어야 한다. 특히, 이 부분은 글로벌 스타 브랜드를 만드는 데 있어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전문 프로 댄스 트레이너와의 제휴를 통해 국내 유명 댄스 가수의 해외 진출 시 현지에 맞는 스타 브랜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도 있다.
연예인의 각종 수익창구와 관련된 업체들간의 네트워크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해외 에이전시와의 전략적 제휴를 확대함으로써 글로벌 매니지먼트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그래야만 국내건 해외건 상관없이 글로벌 스탠다드 스타 육성의 기초를 다질 수 있다. 즉, 스타 브랜드 창출 과정부터 철저한 현지화와 글로벌화가 글로벌 스타 양성의 핵심이다.
참고문헌
연예정보의 유통 메커니즘이 TV 연예정보 프로그램 제작에 미치는 영향
배석규 저 |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발행, 방송영상 전공, 2007
동아기획과 SM엔터테인먼트의 기업분석 연구
정수연 저 | 단국대 대학원 발행, 대중음악제작 전공, 2006
국내 음악산업의 현황과 시장 활성화 방안
이인규 저 | 경희대 경영대학원 발행, 문화예술경영학 전공, 2005
연예인 전속매니지먼트계약에 관한 개선방안
윤애경 저 | 대진대 대학원 발행, 민법 전공, 2007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선차적 규정력에 관한 연구
김대욱 저 | 한양대 대학원 발행, 신문방송학 전공, 2005
연예인의 전속계약에 관한 연구
김하나 저 | 숭실대 대학원 발행, 법학 전공, 2005
매니지먼트사의 이미지가 소속 연예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동숙 저 |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발행, 광고홍보 전공, 2005
스타시스템이 드라마 제작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영길 저 |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발행, 방송 전공, 2006
연예오락프로그램의 공익성과 오락성에 관한 연구
이윤석 저 |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발행, 방송 전공, 2001
기업형 연예 매니지먼트 회사의 매니지먼트 시스템 분석과 개선 방안
박성혜 저 | 홍익대 광고홍보대학원 발행, 문화콘텐츠 전공, 2007
초등학생들의 연예인에 대한 끌림행동 : 구성요인 및 관련변인
이호룡 저 | 창원대 대학원 발행, 교육심리및방법 전공, 2004
청소년의 연예인 우상화의 원인, 행동유형 및 수준에 관한 연구
김훈태 저 | 한서대 교육대학원 발행, 상담심리교육 전공, 2003

추천자료

  • 가격6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9.01.28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