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응급의료 시스템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응급의료 시스템의 구성요소
1. 현장응급처치단계
2. 응급환자 이송단계
3. 병원단계
4. 통신체계

Ⅲ. 응급의료 정보센터

Ⅳ. 119 구급대의 응급의료 시스템의 특징
1. 119구급대의 높은 인지도와 신고체계의 편의성
2. 신속한 현장 대응능력
3. 평등성
4. 노약자 보호서비스

Ⅴ. 119 구급대의 응급의료활동 현황
1. 구급활동 실적 현황
2. 이송 환자유형별 현황
3. 이송환자 진료과목별 현황
4. 과목별 응급처치 현황
5. 시.도별 구급활동 현황
6. 연도별 구급활동 현황

Ⅵ. 응급의료 진료시스템의 효율적 운영방안

Ⅶ.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비율 (%)
100
14.3
1.7
1.1
13.4
69.5
'01
처치인원
791,101
119,452
11,178
9,490
107,046
543,935
비율 (%)
100
15.1
1.4
1.2
13.5
68.8
전년대비(%)
6.9
1.5
23.9
△0.5
6.2
8.1
[표 4] 과목별 응급처치 현황
5. 시.도별 구급활동 현황
구분
시도
구급대
신고건수
이송건수
이 송
환자수
전체대비
(환 자)
인구
(천명)
주민1천
명당구급대이용자

1,107
1,290,232
944,775
982,697
100%
48,290
20.3
중 앙
1
165
85
147
0%
서 울
109
294,980
201,315
204,376
20.8%
10,331
19.8
부 산
51
88,277
70,506
71,625
7.3%
3,786
18.9
대 구
45
53,146
38,563
39,585
4.0%
2,540
15.6
인 천
41
67,862
49,419
50,596
5.2%
2,582
19.6
광 주
22
33,217
25,768
27,121
2.8%
1,387
19.6
대 전
26
39,260
30,619
31,615
3.2%
1,409
22.4
울 산
20
19,898
14,528
15,107
1.5%
1,060
14.3
경 기
158
244,985
175,387
180,741
18.4%
9,612
18.8
강 원
100
55,204
42,951
46,187
4.7%
1,557
29.7
충 북
76
44,206
33,608
35,646
3.6%
1,505
23.7
충 남
91
63,389
47,354
50,760
5.2%
1,928
26.3
전 북
72
51,876
39,637
41,859
4.3%
2,014
20.8
전 남
79
49,252
38,012
41,388
4.2%
2,104
19.7
경 북
98
74,246
54,472
58,183
5.9%
2,803
20.8
경 남
97
88,443
65,033
69,152
7.0%
3,124
22.1
제 주
21
21,826
17,518
18,609
1.9%
548
34.0
전국 시·도별 구급활동 현황을 살펴보면 [표 5]과 같이 이송환자수가 서울이 204,376명으로 전체대비 2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경기도가 180,741명으로 18.4%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5] 시·도별 구급활동 현황
6. 연도별 구급활동 현황
119구급대의 구급활동 실적은 [표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송건수는 계속증가하고 있으나, 이송환자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2000년도를 기점으로 점차 둔화되고 있다. 이는 인식의 주안점을 구급업무의 양적 성장 보다 질적 성장에 두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구 분
'98
'99
'00
2001
2002
이송건수
672,778
896,298
899,004
944,435
944,775
이송환자수
709,184
951,867
945,834
985,618
982,697
증가율(%)
24.9
34.2
△0.6
4.2
△0.3
[표 6] 연도별 구급활동 현황
Ⅵ. 응급의료 진료시스템의 효율적 운영방안
응급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인 응급환자를 병원단계까지 후송하는 응급후송체계를 시급히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응급병원, 도로 교통여건 등에 맞는 응급의료 후송체계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IS)기법을 응급의료에 적용하여 응급환자의 후송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는 응급의료정보를 전산화하여 응급환자 발생시 신속히 대처하며, 응급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속하고 적절한 최적의 병원을 선정하여 최단시간에 후송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급변하는 사회구조에 따른 시민들의 구급수요 증가에 따라 현장응급처치 능력 향상과 함께 최소한의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부담 없이 필요한 정보를 소방관서에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병원정보(병원 명단, 병상별, 진료과목, 수술 및 진료가능 여부등)와 사고별, 상병별 의학 정보망의 전산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응급의료진료시스템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응급후송병원의 위치를 최단경로로 찾을 수 있는 기능 및 선정된 응급출동기관과 병원의 상세정보를 볼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2) 지리정보시스템은 그 활용도 만큼 이나 시스템 구축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필요함으로 원활한 활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도로 및 도시계획과 관련된 계획업무의 의사결정 지원과 원격감시 시스템의 연결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Ⅶ. 결 론
주변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119나 1339로 전환하여 응급처치를 위하여 빨리 도움을 요청한 후 그 다음 누구라도 간단한 응급처치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119에 전화를 하면 환자 이송 및 응급처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응급환자 정보 센터인 1339에 연락시에는 응급처치 요령, 병원안내, 질병상담 등 전화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응급상황이 발생하명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인근의 의료기관(병·의원)을 직접 방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상이 매우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친지나 주위사람보다 바로 응급의료체계 즉 소방서의 119구급대에 즉시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119로 전화가 연결되면 119상황실 통신 근무자(전화상담원)에게 기본적인 사항을 정확히 구두로 전달하여야 하며,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연락체계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간단한 응급처치법 등에 대한 조언을 받아가며 위급한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
참고 문헌
박희곤 저, 응급구조학 개론, 대학서림
정요안, 「119 소방공무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양한승, 「한국 응급의료체계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소방2000. 제8월 호, 「미국의 EMS역사와 구급대원 교육」
인천광역시, 「소방발전 연구논문집」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응급의료체계운영평가보고서」, 1996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주요통계」, 보건의료시설현황, 2002
  • 가격2,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05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