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강독]신소설 작품소개(두작품) 및 분석과 작가의 개화의식 분석(개화의식과 그 한계에 대해서 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문학강독]신소설 작품소개(두작품) 및 분석과 작가의 개화의식 분석(개화의식과 그 한계에 대해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개화기 신소설
1. 정의
2. 형성
3. 특징
4. 주요 작품
5. 문학사적 의의
6. 개화기 신소설의 이념 표출 양상
7. 개화기 소설의 양식
8. 개화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9. 개화기 신소설의 문학적 한계

Ⅲ. 혈(血)의 누(淚) -이인직(李人稙)
1. 이인직(1862∼1916)
2. 줄거리
3. 주제와 시대 의식
4. 내용소개 및 작품해설
5. 핵심사항 및 특징
6. <혈의 누>의 문학사적 의의
7. <혈의 누>의 한계

Ⅳ.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 - 안국선(安國善 )
1. 안국선(1878∼1926)
2. 줄거리
3. 주제와 시대 의식
4. 내용소개 및 작품해설
5. 핵심사항 및 특징
6. <금수회의록>의 문학사적 의의
7. <금수회의록>의 한계

Ⅴ.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며 우화 소설적인 외형을 가지고 있다.
구성상의 특징으로 '꿈'의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이 작품은 꿈속에서의 세계를 그리고 있는데다가 특별한 구성이 없고 그 내용이 작품 외적 사실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몽유록과 일치한다. 그러나 등장 인물이 다르다. 즉 몽유록은 역사적 인물이 나타나나 여기서는 동물들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에서의 꿈의 역할은 허구성을 가진 문학의 형식이 되도록 해주는 것이다.
동물들이 비판을 하는 판단 기준은 주로 기독교적 사상이다. 또한 전통적인 사상과도 통한다. 효(까마귀), 지조와 절개(게), 부부화목(원앙새) 등의 덕목들은 전통사회 윤리관이다. 혼란과 타락에서 인간들을 구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작자가 내세운 것은 전통적인 윤리의 회복이며 회개하여 하나님이 사랑하는 선량한 인간이 되는 것이다. 이 점은 이 작품의 내용에서 나타나는 의미이자 한계이다. 즉 당시의 사회를 구제하는 데에 이러한 덕목들이 기능하는 바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이에 비해, 이 작품에서의 현실 비판은 너무나 심정적인 이상적인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위기에 처한 민족의 현실을 타개한다는 실질적인 문제에는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Ⅴ. 결 론
개화기는 우리 민족사에서 격동과 충격의 시기였다. 안으로는 지배 계층과 피지배 계층의 갈등이 심화되고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이 첨예화되어 통치 질서의 안정을 기할 수 없는 상태였고, 그로 인해 급격히 밀려드는 열강의 세력들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위기 상황의 타개를 위하여 개화, 계몽 운동이 전개된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며, 문학도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그 대열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신소설의 경우, 이러한 시대적 사명을 망각한 채, 대중들의 기호에 영합하는 대중 문학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 작품은 다른 신소설과는 달리 당대의 시대상을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동서 고금을 뛰어넘는 해박한 지식을 통하여 민중 계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
개화기에 나타나는 문학의 주요 주제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전통주의적 지향이다. 이는 문화적 전통과 가치 기준의 침식을 반대하고, 이를 지키려는 저항적 지향이다. 전통주의적 지향자의 보수적 사고와 문화의식은 무너져 가는 사회의 중심 상징내용(象徵內容)을 고수하려 하고 회고적 성향을 보이며, 새로운 것에 대한 극단적 혐오감과 적대행위를 마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전통지향은 변화 보다 수구(守舊)에 치우친 듯한 감을 주며 기존질서를 옹호하려는 경향이 나타나 보이는데, 변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더 많은 서민·민중으로부터의 호응을 받는다. 개화기에 나타나는 점진개화(漸進開化)의 사상적 맥락은 바로 이 전통지향에 닿아 있어 초기의 득세를 합리화 할 수 있었다. 더구나 민족존립(民族存立)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첨가해 생각한다면 변화란 곧 주권상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졌고, 국권의 회복을 위한 노력은 기존질서의 옹호처럼 느껴지기도 했을 것이다.
둘째는 과격한 반전통주의적 지향이다. 이들은 사회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를 요구하며 구체제(舊體制)란 곧 잘못으로 타매하고 새로운 질서의 요구를 증대시키기 위해 새로운 것이 다 옳은 것으로, 자율적인 문화 창조를 극력 추구하는 한편 기존사회의 중심 상징내용을 크게 바꾸어 세속화시키면서 인간존중과 사회평등의 기치를 더 높이 강조한다.
개화기 신분제도의 철폐와 신분 상승의지를 가진 서민층에서나, 서구적 교육을 받았거나 그것에 대한 동경을 가졌던 사람들은 바로 이러한 지향에 몰두하게 된다. 그들은 나날이 새로워지며 구질서를 깨뜨리는 일에 열중하는가 하면 새것 지향성을 높임으로써 개화의 달성을 지상목표처럼 인식하게 된다. 이들에겐 변화란 좋은 것이고, 그것에 부수되는 반대급부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 것이 될지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모자라는 성급함을 보인다. 그러므로 개화기의 이면에 도사린 일제의 침략정책의 노림수를 가볍게 보았거나, 전혀 개의치 않았으며 새로운 세계의 열망으로 가득 차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화기가 안고 있었던 두 개의 과제는 반봉건과 반제국주의 곧 자주성의 확보였다. 달리 말하면 서민 의식의 고양으로 조선조의 기존 사회 질서의 와해를 촉진함으로써 새로운 사회 질서의 성립을 촉구하는 의지와, 서구 열강과 일제의 침략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자주성의 확보라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었던 것이 개화기다.
그러나 반봉건이 대내적 요구 조건이라고 하면 자주성의 확보는 대외적 조건이었기 때문에 이 둘이 동시에 성취되기는 어려워졌을 때가 바로 개화기다.
반봉건은 국가의 존립을 전제로 한, 사회 구조내의 변화를 촉구하는 성격이라고 보아야 한다. 대체로 반봉건적 의지란 신분 계층의 이동에 그 깊은 근거를 두면서, 서민 의식의 고양이 추진력으로 작용하는 사회 구조 내적인 변동의 노력이었다. 이는 점진개화파가 바라는 지향성에 가깝고 전통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에 만민평등사상이 가미된 성격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개화기 소설작가들도 따지고 보면 고소설 작가가 지니고 있었던 사회적 의미의 큰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국권의 위기와 서구문화 수입에 따른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는 태도를, 소설을 통해 드러내고 있으며, 따라서 독자들의 의식개발이라는 최종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소설을 이용했다. 이러한 성격은 특히 개화기 민족지 신문과 관련을 맺고 있었던 작가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알려지지 않은 고소설의 작가 층이 전통 지향적 작가 층과 같은 사회적 성격을 바탕으로 한 계층에 해당된다면 개혁 지향적 작가 층은 변동기 신생계층에 속해 있어서 그들은 다함께 변동기에 공존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 성격을 짐작할 수 있겠다.
[참고 자료]
김석봉, 신소설의 대중성 연구, 역락, 2005
우림걸, 한국개화기문학과 양계초, 박이정, 2002
이용남 외, 한국 개화기소설 연구, 태학사, 2000
설성경, 신소설 연구, 새문사, 2005
안국선, 금수회의록, 북토피아, 2000
이인직, 혈의누, 문학과지성사, 2007
  • 가격3,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3.19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