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학][음성학 정의][음 분류][음성학 종류][영어 음성학][SPELLING AND SPEECH][국어 음성학]음성학의 정의, 음의 분류, 음성학의 종류, 영어의 음성학(SPELLING AND SPEECH), 국어의 음성학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성학][음성학 정의][음 분류][음성학 종류][영어 음성학][SPELLING AND SPEECH][국어 음성학]음성학의 정의, 음의 분류, 음성학의 종류, 영어의 음성학(SPELLING AND SPEECH), 국어의 음성학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음성학의 정의

Ⅱ. 음의 분류
1. 분절음(segment)/초분절음(suprasegment)
2. 구강음(oral sound)/비강음(nasal sound)
3. 자음(consonant)/모음(vowe)/반모음(glide)
4. 공명음(sonorant)/장애음(obstruent)

Ⅲ. 음성학의 종류
1. 생리음성학
2. 음향음성학
3. 청각음성학

Ⅳ. 영어의 음성학(SPELLING AND SPEECH)
1. The phonetic alphabet
2. Stops : [p][b][m][t][d][n][k][g][Ŋ]
3. Fricatives : [s][z][f][v][ð]
4. Affricatives
5. Liquids : [l][r]
6. glides : [j][w]
7. Phonetic symbols for American English Consonants
8. Vowels
9. Tongue Position
10. Lip rounding
11. Diphthongs
12. Nasalization of Vowels
13. Tanse and Lax Vowels
14. Dialect Difference
15. Major Classes
16. Noncontinuants and Continuants
17. Obstruents and Sonorants
18. Consonants and Vowels
19. Labials : [p][b][m][f][v]
20. Coronals : [d][t][n][s][z]
21. Anterrior
22. Sibilants : [s][z]
23. Syllabic sounds
24. Prosodic Suprasegmental
25. Tone and Intonation

Ⅴ. 국어의 음성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용을 주로 하여 다듬고 보완하여 완성된 것이다. 그 내용은 음성 자료와 국어 연구, 음성 코퍼스의 구축 및 활용, 음성 공학의 현재와 미래, 음성 자료에 나타난 국어의 사적 변천과 같은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음성학적인 논의는 주로 실증적인 실험에 근거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조음음성학적인 논의는 드물었다. 이는 최근 몇 년 사이 국어 음성학 연구의 큰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한데, 앞으로는 이와 같은 실재적인 음성학적 연구결과가 국어 음운론의 논의에 좀더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민경의 \'한국어 파열음의 VOT에 관한 실험음성학적인 연구-환경에 따른 VOT 변이를 중심으로-\'는 국어 자음체계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연음(평음), 경음, 유기음의 삼지적 대립에 대한 실험음성학적인 논의이다. 즉 파열음의 구분에 기여하는 음성적인 특징을 그간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VOT와 관련하여 심도 있게 살펴보고 있다. 한국어 파열음의 VOT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학자들마다 VOT를 재는 기준이 달랐고 충분한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지 못했다는 점을 반성하고 좀더 객관적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연신의 한국어 비음의 지속시간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는 국어 비음의 지속시간의 음향적인 특성을 실험음성학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즉 조음음성학적인 방법이나 청취 실험 내지는 비음 측정기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음성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험음성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실험결과는 8가지로 정리되어 있는데, 첫째 한국어의 비음은 음절의 종성에서 조음될 때 초성에서보다 그 지속시간이 길다. 둘째 모음 간 비음의 지속시간을 보면 상대적으로 연구개 비음이 길다. 셋째 모음간 비음 연쇄는 //과 //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서 연구개 비음이 포함된 경우 지속시간이 길게 확인되었다. 넷째 상이한 두 비음의 연쇄는 조음 자리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그 전체 비음의 지속시간에 포함되어, 동일한 두 비음의 연쇄보다 지속시간이 길다. 다섯째 비음은 일괄적으로 연음 앞에서 길어지고 경음 앞에서는 짧아진다. 여섯째 모음과 파열음 사이에서 그 파열음의 조음방법과 상관없이 양순비음>치조비음>연구개비음의 순서로 지속시간의 길이가 차츰 짧아진다. 일곱째 모음과 마찰음 사이에서 연구개 비음이 가장 긴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치조비음은 모든 환경에서 가장 짧은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여덟째 세 비음은 후행자음이 마찰음인 경우 연음 //앞에서 경음 //앞에서보다 긴 지속시간을 나타냈다.
황유미·조혜숙·김수진의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기음/경음의 지각과 산출은 일본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파열음 세 계열에 대한 지각과 산출을 검토한 논의이다. 그 연구 결과를 보면, 먼저 한국어 평음/기음/경음에 관하여 일본인 화자들의 지각 정도는 기음과 평음을 구분하는 어려움이 가장 컸는데, 이는 기식성을 변별하지 못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두 번째 산출에 있어서도 일관되게 기식성 자질을 적절하게 산출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실험 참가자들의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점수가 양적 상관을 보여줌으로써 말소리의 지각과 산출의 과정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전은의 영어 차용어 음절말 폐쇄음의 파열 여부와 모음 삽입에 관한 실험적 연구는 근원어가 영어인 단어가 국어에 차용될 때 그 영어 단어의 음절말음이 폐쇄음인 경우 그 폐쇄음이 수용되는 양상을 설명하고자 한 논의이다. 특히 컷/커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모음삽입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폐쇄음의 파열 여부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즉 해당 폐쇄음의 파열 여부가 모음 삽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절말음이 폐쇄음으로 끝나는 영어 단어를 사용한 설문조사와 그 결과에 대한 통계 처리를 시도하였다.
이상의 논의들은 주로 국어의 자음에 관한 음성적 특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지만 최원일·남기춘의 청각단어 재인에서 나타난 한국어 단어 길이 효과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의 음성학적인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즉 한국어의 단어 길이가 청각 단어 재인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어휘 판단 과제를 실시한 결과, 단어 재인의 어휘 접근 과정에서 음절 길이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두개의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반면 음소의 길이는 어휘 접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음소를 기본적인 단위로 생각하는 청각 단어 재인 모델을 국어의 경우 적용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음절을 단위로 한 모델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의 청각 단어 재인 과정의 어휘 접근 단계에 낱자나 음소 길이보다는 음절 길이가 중요한 변인인 것을 확인하였고, 음절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단서가 늘어나 단어 재인에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다음 운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인 연구에 관한 논문내용이다. 박지혜의 대화체와 낭독체의 운율에 관한 연구는 먼저 대화체와 낭독체를 문체와는 별개인 음성 언어에 제한된 발화 유형으로 정의하여 연구 대상을 순수한 음성언어로 국한한다. 그 결과를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운율 단위를 강세구와 억양구로 나누었을 때 강세구는 낭독체에서 더 많이 형성된다. 억양구는 평균적으로 낭독체에서 더 많이 형성되나 문장의 유형에 따라 생성 빈도의 차이를 보인다. 둘째, 저조가 후행하는 강세구 내의 음높이 최고점은 항상 대화체에서 먼저 실현된다. 대화체의 억양 패턴이 상대적으로 다양하다. 셋째, 기본 주파수 값의 차이가 대화체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여성 화자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끝으로 낭독체를 직렬적인 운율구조로, 반면 대화체를 병렬적인 운율구조로 구분하고 있어 흥미롭다.
참고문헌
김무림, 국어음운론, 한신문화사, 1992
김상렬, 국어 방언 연구, 국학자료원, 2001
김영석, 영어 음성학·음운론, 종합출판, 2008
이기문·김진우·이상억, 국어음운론, 학연사, 2000
영어음성학, 구회산
최병정·김진두, 현대영어음성학, 형설출판사, 2007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