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경제사회][학교도서관운영][대학교육]지식기반경제사회 개념과 형성, 지식기반경제사회 진입과 변화 양상, 지식기반경제사회 학교예산, 지식기반경제사회 학교도서관운영, 지식기반경제사회 대학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식기반경제사회][학교도서관운영][대학교육]지식기반경제사회 개념과 형성, 지식기반경제사회 진입과 변화 양상, 지식기반경제사회 학교예산, 지식기반경제사회 학교도서관운영, 지식기반경제사회 대학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지식기반경제사회의 개념

Ⅲ. 지식기반경제사회의 형성

Ⅳ. 지식기반경제사회의 진입과 변화 양상

Ⅴ. 지식기반경제사회의 학교예산
1. 학교 예산의 효율적 운영방안
1) 새학교문화창조를 위한 교육여건의 개선
2) 학교 예산회계 제도의 개선
2. 학교 예산회계 제도 개선방안
1) 종합적인 학교예산 집행계획 수립
2) 학교 회계관리의 전산화
3) 학교 예산관리의 구체적 지침 제시

Ⅵ. 지식기반경제사회의 학교도서관운영
1. 자료중심교육 실현을 위한 학교도서관
2. 학습환경조성과 학습 지원체제 혁신

Ⅶ. 지식기반경제사회의 대학교육
1. 예상되는 교육시스템의 변화
2. 가치있는 지식을 위한 대학교육
3. 대학생의 지속적인 학습능력을 키워야 한다
4. 대학교육의 내용
5. 대학교육의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든 내생적 성장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지식은 계속 늘어날 것이다.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이 아닌 기업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동자들은 노동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 학습해야 한다. 즉, 사회전체가 학습해야 한다. 고객들도 제품과 기업을 통해 학습한다. 이들은 21세기 시장에서 가장 새롭고 큰 학습단위가 될 것이다. 고객들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본질적으로 내재한 친절하고 영리한 정보기술을 익히고 학습한다. 이와 같이 지식기반사회는 교육과 학습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미국의 교육계는 교육이란 단어보다 학습이란 단어를 더많이 사용하고 있다.
4. 대학교육의 내용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하여 독일정부가 만든 보고서가 있다. 이것이 아마 최초로 만들어진 국가 수준의 보고서로서, 이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독일연방교육과학연구 및 기술부(The Germa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가 보고한 독일의 지식기반사회의 변화 전망과 교육의 방향 에서는 2020년에 요구되는 핵심 직업능력으로 다음 여섯 가지를 제시했다. 이것은 바로 대학교육의 중요한 내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첫째, 기술적, 방법론적 학습능력(technical and methodological learning skills)이 중요하다. 이것은 자신이 관심을 가진 분야에 대해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둘째, 심리사회적 기술(psychosocial skills)이며, 이것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협력하여 일할 수 있는 능력이며 매우 중요하다. 셋째,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skills)이다. 우리의 경우, 국제 공통어 역할을 하는 영어를 기본으로 하고, 제 2 외국어를 하나 정도 더 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넷째, 매체활용 능력(media competence)이다. 컴퓨터 사용이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는 능력 등을 말한다. 다섯째, 다국문화 이해 능력(intercultural skills)이다. 이는 다른 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등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 많은 여행을 통한 경험과 다른 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필요로 한다. 외국어를 잘 하지 못하거나 외국여행을 해 보지 않은 경우, 개방적인 태도를 갖지 못하고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그리고 민족주의적인 생각을 가질 수도 있으므로 매우 조심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정부문관련능력(specific subject-related skills)이다. 이것은 대체로 대학 이상 수준에서 전공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이 보고서에서는 미래에 중요해질 기초 교과목으로서 의학과 건강, 인간 정신/인성, 사회관계, 공존, 언어, 의사소통, 그리고 정치, 법, 경제학 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문·사회과학 분야는 국가사회가 가진 고유한 전통, 문화, 역사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높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5. 대학교육의 방법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교육방법이 많이 요구될 것이다(독일의 지식기반사회의 변화 전망과 교육의 방향, 1998). 첫째, 직접경험과 실행/실습을 통한 학습(learning by experiencing and doing/examining)이다. 현재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직접경험보다 간접경험(learning by reading and hearing/listening)을 통해 교육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 to learn)이다. 간접경험을 통해서는 명제지는 알 수 있지만, 방법지는 익힐 수 없다. 간접경험은 입시중심의 교육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없다.
셋째, 문제해결중심 학습(problem solving oriented learning)이다. 교육은 사회나 개인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진행될 것이다. 넷째, 자율학습 또는 자기주도 학습(self-learning)이다. 개인적으로는 자율학습기제를 체득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 전체적으로는 평생자율학습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이것은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learning how to learn)하는 것과 같다.
다섯째, 학문간 연계 학습(interdisciplinarity learning arrangement)이다. 앞으로 다양한 학문간 장벽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접근방법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시도될 것이다. 여섯째, 매체이용 학습(media-based learning)이다.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교육, 학습하는 것이 일상화될 것이다.
일곱째, 프로젝트 중심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이다. 더불어 살아가는 경험을 갖고 공동으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과제나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덟째, 팀별 학습(learning within teams)이다. 팀을 이루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을 해 나가는 방법이 많이 이용될 것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게 판단되는 것은 자율학습습관(self-learning mechanism)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대학이나 정부는 평생자율학습체제(life-long self-learning system)를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
참고문헌
김길원,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한국경제의 대응 방안 연구, 호남대 대학원
산업연구원, 창조적 지식국가론, 1999
오상봉·김인중,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1999
윤순봉·류상영·전영재, 지식기반경제에서 정부의 역할, 삼성경제연구소 제공
이선, 지식기반경제의 이론과 실제, 을유문화사, 2000
장기복·문현주 외,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환경영향과 대응방안,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식기반을 토대로 한 건설기술연구개발의 방향, 1999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