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족보의 종류][족보의 용어][족보의 체제][족보의 내용][족보와 양반의식]족보의 종류, 족보의 용어, 족보의 체제, 족보의 내용, 족보와 양반의식에 관한 분석(족보, 족보 체제, 족보 내용, 양반의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족보][족보의 종류][족보의 용어][족보의 체제][족보의 내용][족보와 양반의식]족보의 종류, 족보의 용어, 족보의 체제, 족보의 내용, 족보와 양반의식에 관한 분석(족보, 족보 체제, 족보 내용, 양반의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족보의 종류
1. 대동보(大同譜)
2. 족보(族譜), 종보(宗譜)
3. 세보(世譜), 세지(世誌)
4. 파보(派譜), 지보(支譜)
5. 가승보(家乘譜)
6. 계보(系譜)
7. 가보(家譜)와 가첩(家牒)
8. 만성보(萬姓譜)
9. 기타

Ⅲ. 족보의 용어
1. 시조 비조 중시조
2. 계와 세계
3. 세와 대
4. 이름자
1) 아명과 관명
2) 호
3) 시호
4) 함과 휘
5) 사손과 사손
6) 출계와 제자

Ⅳ. 족보의 체제와 내용
1. 서(序)와 발(跋)
2. 기(記) 또는 지(誌)
3. 도표
4. 수자 명기(明記)
5. 범례
6. 계보표

Ⅴ. 족보와 양반의식
1. 한국 성관의 유래와 특징
1) 한국의 성씨제도
2) 한국적 성관체계가 본격적으로 정착되는 시기
2. 양반사회의 발달과 족보
1) 15세기 이전의 족보
2) 조선전기의 족보
3) 17세기후반 이후의 족보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을 기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5. 범례
일반 서적의 범례와 같이 편수 기록의 차례를 명시 족보한 것인데 기록의 내용을 아는 데는 대단히 중요한 자료이다. 그 가운데에는 가규(家規) 또는 가헌(家憲)과 같은 범례 이상의 것이 포함된 것도 가끔 있다.
6. 계보표
족보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전질(全帙)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문, 도표, 편수자명기, 범례 등은 첫째 권의 한 부분을 차지할 뿐이고 나머지 전부는 이 계보표로 이루어져 있다. 기록양식은 조선 초기의 족보를 비롯하여 명청(明淸)의 족보 기록양식을 모방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수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시조부터 시작하여 세대순으로 종계(縱系)를 이루고, 그 지면이 끝나면 다음 면으로 옮아간다. 이때 매 면 마다 표시(예를 들어 천자문의 한 자씩을 차례로 기입)를 하여 대조에 편리하게 한다. 각각의 사람에 대 하여는 그 이름, 자호, 시호, 생졸(生卒), 연월일, 관직.봉호(封號), 과방(科榜), 훈업(勳業), 덕행, 충효, 정표 (旌表), 문장, 저술 등 일체의 신분관계를 기입한다. 특히, 이름은 반드시 관명(冠名)을 기입하는데, 그 세계 (世系)와 배항(排行)에는 종횡으로 일정한 원칙에 의한다.
자녀에 관하여서 특히 후계의 유무, 출계(出系) 또는 입양(入養,親生子는 \'子OO\',양자는 \'繼(계)OO\'라고 적는 다) 적서(嫡庶)의 별(서자를 수록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남녀의 별(여자는 이름을 적지 않고 사위의 성명을 기입함.) 등을 명백히 한다. 또, 왕후 또는 부마가 되면 특히 이를 명기한다.
분묘의 표시, 그 소재지, 묘지(墓誌),비문 등을 표시하고, 특히 시조의 묘지를 선영(先塋) 또는 선산(先山)이 라고 칭한다. 이상에서 대략적인 계보표의 내용을 설명하였는데, 물론 종족 또는 시대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르기도 한다. 또한, 한 족보에 있어서도 각각의 가족상황을 기입한 단자(單子)의 내용에 따라 내용의 기록이 자세하기도 하고 그렇지 못하기도 한다.
Ⅴ. 족보와 양반의식
1. 한국 성관의 유래와 특징
1) 한국의 성씨제도
(1)인명 : 성과 본관은 가문을, 이름은 가문의 대수를 나타내는 항렬과 개인을 구별하는 字로 구성된다.
(2) 남계혈족 중심의 칭호.
2) 한국적 성관체계가 본격적으로 정착되는 시기
<후삼국시대> 격심한 사회변동에 따른 신분제의 재편성 과정속에서 태조 왕건이 통일한 후 당대의 실질적인 지배세력을 대표했던 전국의 호족을 각 출신지, 거주지별 역관계를 고려하여 지역적, 신분적 재편을 행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고려시대> 지방의 행정구획인 동시에 성씨상으로는 본관으로 존재했던 주부군현의 구획구조를 분석하면, 치소를 중심으로 읍치, 그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직촌, 및 그 외곽의 임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라 본관이 구분되고 성도 읍치의 인리성, 직촌의 백성성, 임내의 임내성으로 구분된다. <15세기 후반> 종래 세분된 본관이 점차 주읍중심으로 통합된다.
2. 양반사회의 발달과 족보
1) 15세기 이전의 족보
씨족세계도·족도·가첩류에 해당된다.
2) 조선전기의 족보
동본토성의 합동보가 만들어진다. 16세기 중반 서원의 설립과 함께 그 주향자의 가계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소수서원(안향)·역동서원(우탁)·도산서원(이황)의 설립과 때를 맞추어 순흥안, 단양우, 진성이씨의 족보가 차례로 편찬됐다.
3) 17세기후반 이후의 족보
신흥세력들은 기존의 명문·거족과 연결되기 위하여 개관하거나 투탁하기도 하며, 동성이라도 파계에 따라 합보하는 예가 많아진다. 17세기 이래 성관에 대한 우열관념이 만연되면서 개관과 세계조작이 많아졌고 국가의 忠 장려로 인하여 충절인사 또는 왜란과 호란 때에 의병장, 순절인사 또는 포은·목은·퇴계·남명·율곡과 같은 문인과 연결짓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18세기 사족과 이족간의 갈등이 심각해지고, 신흥세력들은 명문거족에 투탁 연접하는 현상이 더욱 현저해지게 된다. 족보 위조의 문제가 발생한다.
참고문헌
◈ 김봉곤, 청학동 댕기동자 김봉곤의 1시간만에 족보 보는법, 씨앤드씨그룹, 1998
◈ 대동문화연구원, 호적은 통해 본 단성지역의 사회계층, 성균관대학교, 2004
◈ 신봉승, 신봉승의 조선사 나들이, 답게, 1996
◈ 전의이씨족보 제1집, 전의예안이씨대동보간행위원회, 농경출판사, 1979
◈ 차장섭 외, 한국사 시민강좌 제 24집, 일조각, 1999
◈ 한국인의 족보 편찬위원회, 한국인의 족보, 인실각, 1977
◈ 허계수, 족보이야기, 원보사, 200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