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 중 유가(유가사상)와 도가(도가사상), 제자백가사상 중 묵가(묵가사상)와 법가(법가사상), 제자백가사상 중 명가(명가사상)와 종횡가(종횡가사상), 기타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 중 유가(유가사상)와 도가(도가사상), 제자백가사상 중 묵가(묵가사상)와 법가(법가사상), 제자백가사상 중 명가(명가사상)와 종횡가(종횡가사상), 기타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제자백가사상 중 유가(유가사상)

Ⅲ. 제자백가사상 중 도가(도가사상)
1. 철학적인 개념
1) 우주론
2) 소우주와 대우주 개념
3) 도에로의 복귀
4) 발전과 분화
2. 인간과 사회에 대한 개념
1) 무위
2) 도가 원시사상의 사회적 이상
3) 지식과 언어에 대한 사상
4) 삶과 죽음의 동일성
5) 인간의 종교적 목표
6) 상징주의와 신화

Ⅳ. 제자백가사상 중 묵가(묵가사상)

Ⅴ. 제자백가사상 중 법가(법가사상)

Ⅵ. 제자백가사상 중 명가(명가사상)

Ⅶ. 제자백가사상 중 종횡가(종횡가사상)

Ⅷ. 제자백가사상 중 음양가, 잡가, 농가, 병가
1. 음양가
2. 잡가
3. 농가
4. 병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등석에 대해서는 「여시춘추」 이위편에 설명되어 있다.
명실론은 묵자의 귀의편에 있어서 명과 취의 문제를 놓고 명은 개념적 지식, 취는 사실에 즉한 구체적인 식으로 , 취야말로 제일의로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가치관이 변동하는 사회에 있어서 실을 먼저 주시해야 할 것을 말 한 것이다. 묵가의 이러한 생각은 바로 묵가 후학의 논리학으로 발전하였다. 묵가의 논리학을 해설한 것이 묵자중의 묵경편이다. 묵경은 경상, 경하 및 경설상, 경설하, 대위, 소취의 6편으로 되었고 묵가의 추학에 의하여 기록되었다.
그 중에 공손룡의 궤변을 해설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저작된 시대는 혜시, 공손룡보다 후인 것 같다. 궤변적 논리학은 혜시에서 시작되어 공손룡에 의하여 깊어진 것이지만, 공손룡자에서 보이는 공손룡의 이론-백마는 말이 아니다-등은 얼른 보기에는 별 것 아닌 듯하다.
그렇지만 그 논리의 구성이나 발상 방법이 근대 과학의 수학이나 물리학의 논증방식이나 발상에도 견줄 만하다. 다만 중국에서는 이러한 궤변이 단순한 궤변술에 그치고 말았을 뿐이다. 이외에 강병책으로 손무(孫武), 오기가 걸출하였고, 손빈, 범려도 유명하였으며, 귀곡자(鬼谷子)에게 배운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는 웅변술로써 합종연형을 주장했다. 그리고 자가독선을 고집한 은자들로서 신선도를 닦는 신선가(神仙家) 음양 5행을 논하는 음양가(陰陽家), 방기(方技), 술수 등이 있었다.
Ⅶ. 제자백가사상 중 종횡가(종횡가사상)
중국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중 정치적 책략으로써 당시 국제외교상에서 활약한 유세객들. 특히 소진이나 장의로 대표되는 합종연형의 책략이 그 중심을 이루었으므로 이 이름이 생겼다. 소진 등이 주장한 합종책이란 당시 동쪽에 있던 연·초·한·위·조·제의 6국이 연합하여 서방의 진나라에 대항하려고 한 정책이며, 장의가 내세운 연형책이란 진나라와 6국이 각각 손을 잡게 함으로써 진나라의 발전을 꾀한 책략이다. 그들의 언동을 많이 수록한 서책이 『전국책』이다.
Ⅷ. 제자백가사상 중 음양가, 잡가, 농가, 병가
1. 음양가
고대 중국에서 음양설을 신봉하던 학파. 전국시대 제자백가 중의 한 파로 제나라의 추연·추석 등이 그 대표적 사상가이다. 『한서』 「예문지」에 의하면 그들의 설은 고대에 역상을 관장하는 관직에 있던 희씨·화씨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였다. 천체의 운행이나 사계의 추이 등 자연현상의 법칙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나, 반면 이 법칙을 인사에 관련시켜 인간생활도 이에 따르지 않으면 재해를 입게 된다는 등 미신적 요소가 강하다. 이 같은 중국의 음양설은 일찍이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천문과 역학을 연구하는 많은 음양가[역관]와 음양오행설에 바탕을 두고 인간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음양사가 속출하였는데, 주로 음양가라 하면 후자를 지칭하는 대명사처럼 되었다. 그 대표적 인물로는 토정 이지함을 들 수 있으며 지관 또는 일관이 묘지와 집터의 선정에서부터 년사의 길흉까지 점쳤다.
2. 잡가
중국 한대에 행하여진 학문 분류의 한 유파. 한대의 사서 『한서』 「예문지」는 제자백가라고 일컬어지는 고대 여러 학파의 학문을 10개 파로 분류하였다. 그 중 9개 유파는 각기 독자적인 주장과 체계를 갖는 학파이지만, 잡가는 문자 그대로 다른 학파의 학설을 자유롭게 채택하여 하나의 사상을 구성한 것으로, 이 유파를 한 유파로 간주하여 10개학파라 하였다. 이 잡가에는『시자』『여씨춘추』『회남자』『동방삭』등이 포함되며, 또한 당대의 역사서인『당서』에는『론형』『풍속통』『포박자』 『옥촉보전』 등도 잡가에 포함시킨다.
3. 농가
농업을 중시하고 농경에 힘써서 의식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고대 중국의 학파. 농업경제와 농업기술에 대하여 연구한, 제자백가 중의 일파이기도 하다. 본래 농업이 인류사회에 있어 기본적인 산업이라는 점에서 오랜 옛날부터 농업기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대 중국의 문헌을 처음으로 정리하여 기록한 『한서』 「예문지」의 「제자략」에는 농가에 대해서, 『신농』(20편) 『야로』(17편) 등 농가 9사람의 서 114편을 들고 있는데, 오늘날에는 모두 흩어져 없어지고 단편적인 것밖에 남아 있지 않다. 그밖에 음양가·복서가의 서인 「수술」 중에 『신농교전상토경종』(14권)『소명자조종생어별』(8권)『종수장과상잠』(13권) 등과 같은 농업기술을 기록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들이 있다. 따라서 농가란 단순한 농업기술을 해설한 것이 아니라 어떤 사상적인 주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예문지」에 의하면, 그것은 군신이 함께 경작에 종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맹자』에 신농의 말을 이룬 자에 허행이 있다라고 쓰인 허행의 주장도 똑같은 설이지만, 이 사상은 진·한의 제국 통일 후로는 쇠퇴하였다. 후세 농가의 서로 지목되는 것은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사서의『경적지』등에는 농사에 관련되는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잡다하고도 짜임새가 없이 허술해졌다. 이에 따라『사고전서』의 「총목」에서는『제민요술』『농서』『농상집요』등 농가에 관계된 것을 9부 68권으로 한정하여 게재하였다.
4. 병가
제자백가 중의 일파로 춘추전국시대와 한대에 많이 출현한 병법가·병학자의 일군. 주나라의 손자·오자·위료 등이 그 대표적 인물이다. 고대의 사마직에서 나온 것이라 하며, 용병방법을 설명하였다. 한서 예문지 병서략에서는 이것을 병권모·병형세·병음양·병기교의 4종류로 분류하여, 병가의 서, 53가 790편, 도 43권으로 정리하여 설명하였다. 후세에는 무경칠서라 하여 손자 오자 사마법 위료자 삼략 육도 이위공문대가 대표적 병서로 불리었다. 이들이 해설한 바는 유가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단순히 전략·전술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외교 등 처세 전반에 걸친 가르침을 설명하고 있어, 병술만을 해설한 서유럽의 병서와는 그 내용이 크게 달랐다.
참고문헌
벤자민·슈원츠, 나성 역 -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출판사, 1996
송영배 -제자백가의 사상, 현음사
이춘식 - 중국고대사의 전개, 신서원, 1992
우현민 - 제자백가의 명언, 창조사
오재환 - 중국사상사, 신서원, 1999
이강수 - 도가사상의 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4
유학사상 -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