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현상][기상][기단][전선][기온역전][꽃샘추위][황사][장마]기상현상과 기단 및 전선, 기상현상과 기온역전, 기상현상과 꽃샘추위, 기상현상과 황사, 기상현상과 장마, 기상현상과 태풍, 기상현상과 대설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상현상][기상][기단][전선][기온역전][꽃샘추위][황사][장마]기상현상과 기단 및 전선, 기상현상과 기온역전, 기상현상과 꽃샘추위, 기상현상과 황사, 기상현상과 장마, 기상현상과 태풍, 기상현상과 대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기상현상과 기단, 전선
1. 기단과 전선의 정의
2. 기단의 종류
1) 시베리아 기단
2) 오호츠크해 기단
3) 양쯔강 기단
4) 북태평양 기단
5) 적도 기단
3. 전선의 종류와 특징
1) 전선의 종류
2) 전선의 특징
4. 전선의 생성과 소멸
1) 발생기
2) 발생초기
3) 발달기
4) 절정기
5) 폐생기
6) 소멸기

Ⅲ. 기상현상과 기온역전

Ⅳ. 기상현상과 꽃샘추위

Ⅴ. 기상현상과 황사
1. 황사의 정의
2. 황사생성의 원인

Ⅵ. 기상현상과 장마
1. 장마란
2. 장마의 원인
3. 장마의 성질
4. 장마기의 강우량
5. 장마기의 날씨 특성

Ⅶ. 기상현상과 태풍
1. 태풍의 양면성
2. 태풍의 특징
3. 태풍의 눈
4. 태풍의 크기와 강도
1) 태풍의 크기 분류
2) 태풍의 강도 분류
5. 태풍의 이름

Ⅷ. 기상현상과 대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해안 지역의 날씨를 살펴보면, 남해안과 서해안에 다습한 공기의 유입으로 짙은 안개가 끼는 경우가 많다.
Ⅶ. 기상현상과 태풍
1. 태풍의 양면성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포함한 태풍은 엄청난 피해를 입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늘 해로운 것만은 아니다. 태풍은 중요한 수자원의 공급원으로 물 부족 현상을 해소한다.
태풍은 저위도 지방에서 축적된 대기중의 에너지를 고위도 지방으로 운반하여 지구상의 남북의 온도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해수를 뒤섞어 순환시킴으로써 플랑크톤을 용승 분해시켜 바다 생태계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대기의 난폭자인 태풍은 동시에 유용한 면도 지니고 있는 매우 중요한 대기현상이라 할 수 있다.
2. 태풍의 특징
수온 27 ℃ 이상의 해면에서 태풍이 발생한다. 중심 부근에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다. 온대저기압은 일반적으로 전선(前線)을 동반하지만, 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다. 폭풍영역은 온대저기압에 비해서 대체로 작지만 그 강도는 강하다.
중심 부근에 반경이 수km~수십km인 바람이 약한 구역이 있는데, 이 부분을 태풍의 눈이라고 한다. 이 ‘태풍의 눈\' 바깥 주변에서 바람이 가장 강하다. 일반적으로 발생 초기에는 서북서진(西北西進)하다가 점차 북상하여 편서풍(偏西風)을 타고 북동진(北東進)한다.
3. 태풍의 눈
태풍의 눈 부근의 구름벽이나, 나선 모양의 구름띠 에서는 강한 소낙성 비가 내리고, 그 사이 사이에서는 층운형 구름에서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강우의 분포도 대칭이 아니라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서 더 많은 비가 내린다. 구름벽과 나선 모양의 구름띠는 시간에 따라 쉴 새 없이 변한다. 구름벽은 똑바로 서 있는 것도 있지만 높이에 따라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깔때기 모양을 한 것도 있다.
‘폭풍 전야의 고요\'라는 말이 있듯이 태풍이 접근하기 얼마 전에는 날씨가 맑고 조용하며, 바닷가에는 너울이 밀려온다. 태풍이 접근해 오면 기압은 하강하고, 점차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구름은 처음에 높은 구름인 권운, 권층운, 다음은 중층운인 고층운, 고적운, 그리고 거대한 적운 순으로 나타난다. 태풍이 통과할 때 내리는 총 강우량은 태풍의 이동 속도나 발달 상태, 그리고 통과하는 지형에 따라 달라진다.
거대한 적운으로 이루어진 나선 모양의 구름띠가 강한 비를 뿌리며 통과하고 난 후에는 기압이 급강하하기 시작한다. 어두운 구름벽이 밀려오면서 비와 바람은 최대 강도에 도달한다. 강풍과 폭우가 급작스레 멎으면서 날씨가 갠다. 태풍의 눈 속으로 들어온 것이다. 태풍의 눈 속은 찌는 듯이 무덥고 숨막히게 답답한 느낌을 준다. 반대쪽 구름벽을 뚫고 나가면 들어올 때 일어난 현상이 거꾸로 나타나며 태풍의 영향권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4. 태풍의 크기와 강도
1) 태풍의 크기 분류
태풍의 크기는 초속 15 ㎧ 이상의 풍속이 미치는 영역에 따라 분류한다.
(1) 소형 : 300 ㎞ 미만
(2) 중형 : 300 ㎞ 이상 ~ 500 ㎞ 미만
(3) 대형 : 500 ㎞ 이상 ~ 800 ㎞ 미만
(4) 초대형 : 800 ㎞ 이상
2) 태풍의 강도 분류
(1) 약 : 17 ㎧ (34 ㏏s) 이상 ~ 25 ㎧ (45 ㏏s)미만
(2) 중 : 25 ㎧ (45 ㏏s) 이상 ~ 33 ㎧ (64 ㏏s)미만
(3) 강 : 33 ㎧ (64 ㏏s) 이상 ~ 44 ㎧ (85 ㏏s)미만
(4) 매우강 : 44 ㎧ (85 ㏏s) 이상
5. 태풍의 이름
태풍은 일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동시에 같은 지역에 하나 이상의 태풍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때 발표되는 태풍 예보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태풍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은 1953년부터이며, 1978년까지는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다가 그 이후에는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였다.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이름은 1999년까지 괌에 위치한 미국 태풍합동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하다가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 각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태풍 이름을 서양식에서 아시아 지역 14개국의 고유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하여 총 140개로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게 된다. 태풍이 보통 연간 약 30여 개쯤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태풍 이름을 ‘개미\', ‘나리\', ‘장미\', ‘수달\', ‘노루\',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나비\'로, 북한에서는 ‘기러기\', ‘도라지\', ‘갈매기\', ‘매미\', ‘메아리\', ‘소나무\', ‘버들\', ‘봉선화\', ‘민들레\', ‘날개\'로 제출함으로서 한글 이름의 태풍이 많아졌다.
Ⅷ. 기상현상과 대설
눈의 관측은 눈 현상과 눈이 쌓인 깊이를 `신적설‘과 `적설’로 구분하여 cm단위로 측정한다. `신적설‘은 어떤 특정한 기간동안에 새로 쌓인 눈의 깊이를 말하고(보통 0~24시 일계기준), `적설’은 기간에 관계없이 관측시 지면에 쌓여있는 눈의 깊이를 말한다.
`대설‘은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집중성이 매우 강한 눈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시간당 1~3cm이상의 눈이나 24시간 이내에 5~20cm이상의 폭설현상 또는 단시간에 국지적으로 집중성이 강한 폭설을 말한다. 대설현상은 1월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12월은 호남지방, 2월은 영동지방에 많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눈일수는 6~9일정도이고, 대관령지방은 59일로 눈이 가장 자주 오며, 울릉도 52일, 서울지방은 26일이다.
참고문헌
· 강철성, 한국기후의 구분에 관한 연구, 1997
· 근대기상 100년사, 기상청
· 박희두·송호열, 자연환경과 인간 115p~152p, 한울, 2000
· 변희룡·김영철·조석준, 일상생활의 기상학159p~216p, 시그마프레스, 2000
· 오완탁, 기상재해 경감을 위한 대책, 연세대학교산업대학원
· 이우진, 정보화 사회의 기상 서비스, 문예당, 1997
· 한국지구과학회,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2002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