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실학자의 군사제도 개혁론 -도성방어론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후기 실학자의 군사제도 개혁론 -도성방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도성방어론 대두의 배경

도성방어론의 정립 1

도성방어론의 정립 2

맺음말

본문내용

머리말
조선후기 방어체제이론은 전쟁에서 표출된 방어전술의 문제점은 물론이고 인구의 증가 및 상품유통경제의 발달 변방의 방어와 평화시대에 야기된 군사력의 약화 등과 관련하여 제기 되었다 실학자의 조선후기 방어체제개혁론에 대한 내용은 크게 5개안으로 나뉜다
첫째 진관체제복구론은 17세기 실학자 반계 유형원의 주장이 대표적인데, 임진왜란 초기 특정지역에 병력을 집중시켜 방어하려다 일본군에 패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도성이 함락된 제승방략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진관을 중심으로 방어하자는 유성룡의 진관체제복구 주장과 일치한다 반계 유형원은 문무일치 및 별도의 영장 파견으로 인한 폐단 등을 시정하기 위해 새롭게 삼남에 파견된 영장을 혁파하되 파총 이하의 국관들을 신중히 뽑으려 했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경국대전 체제를 지향하면서도 임진왜란 이후의 새로운 군제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 효종대에 영의정을 역임한 김육 등의 관료도 별도로 파견한 영장을 혁파하고 수령으로 하여금 영장을 겸임하자고 하였다는 점에서,진관체제의 지휘체계를 복구하자는 주장은 반계는 물론이고 관료 중에서도 제기되었다.
둘째 병거활용론은 유형원을 비롯하여 18세기 실학자 이익,안정복 등에게서도 제기되었는데 남쪽의 왜군을 제압하는데 주사(舟師)가 효과적이었듯이 병거로써 북쪽의 기병을 자지하자는 것이다.특히 유형원은 북벌의 실행 및 아군의 기병과 보병을 강화하기 위해서도 병거를 활용하자고 하였으며 그의 병거론은 박지원, 박제가 등 북학파의 용거론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병거활용론은 임진왜란 이후 정부관료나 군사지휘관 등에게서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실학자의 독창적인 견해는 아니었다.
셌째 읍성•도성방어론은 인구의 증가 및 상공업•유통경제의 발달에 따라 평소 생활근거지인 읍성이나 도성을 중심으로 방어도 담당하자는 주장으로 ,임진왜란에서 읍성이나 산성이 방어에 유리하다고 하여 17세기까지 지속된 유성룡의 산성중심론과는 구별된다 특히 17세기 유형원의 유성전수론은 방어거점으로 성은 향토와 농민들의 재산을 보호해야 하는 하는 거점이 되어야 하므로 지형상 이점 등으로 인해 무조건 산성이 유리하다고 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거읍의 읍성을 중심으로 방어하고자 하였는데 유형원의 유성전수론은 생활근거지를 중심으로 방어에 임한다는 점에서 성격이 유사한 18세기 도성방어론에 훨씬 앞서 제기된 주장이고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이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넷째 변방론은 1712년(숙종 38) 백두산정계비 건립을 계기로 변경의식이 고조된 후 실지(失地) 회복 및 국경 강화를 위해 정계비가 세워진 토문강일대와 폐사군(廢四郡)지역의 방어를 강화하자는 주장이다 변방론은 실학(實學)의 특성인 민족주의가 잘 표출되었는데 실학자 우정규와 정약용은 물론이고 정조대의 고위관료였던 홍양호 등도 변방론을 주장하였다.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31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