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현상][기압][전선][강수][기단][황사][집중호우][열대야][태풍]기상현상과 기압 그리고 전선, 기상현상과 강수, 기상현상과 기단, 기상현상과 황사, 기상현상과 집중호우, 기상현상과 열대야, 기상현상과 태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상현상][기압][전선][강수][기단][황사][집중호우][열대야][태풍]기상현상과 기압 그리고 전선, 기상현상과 강수, 기상현상과 기단, 기상현상과 황사, 기상현상과 집중호우, 기상현상과 열대야, 기상현상과 태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상현상과 기압, 전선
1. 기압
1) 고기압(ANTICYCLONE)
2) 저기압(CYCLONE)
2. 전선(FRONT)
1) 한랭전선(cold front)
2) 온난전선
3) 폐색전선
4) 정체전선

Ⅲ. 기상현상과 강수

Ⅳ. 기상현상과 기단
1. 시베리아 기단
2. 오호츠크해 기단
3. 북태평양 기단
4. 양쯔강 기단
5. 적도 기단

Ⅴ. 기상현상과 황사
1. 황사현상이란
2. 언제부터 있었을까
3. 어떻게 움직일까

Ⅵ. 기상현상과 집중호우
1. 집중호우의 성질
1) 기온
2) 강수량
2. 집중호우의 특성
1) 호우
2) 태풍

Ⅶ. 기상현상과 열대야

Ⅷ. 기상현상과 태풍
1. 태풍이란
2. 태풍의 발생조건
3. 태풍구분
4. 태풍의 크기와 강도
1) 태풍의 크기 분류
2) 태풍의 강도 분류
5. 태풍의 위력
6. 태풍의 이름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 지방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중부지방에 이르게 되며, 장마기간은 대략 30일 정도가 된다. 그리고 9월 상순 전후에 가을장마가 있을 때도 있다. 우리나라의 강우의 특색 중 하나는 호우성인데 여름호우는 2일 내지 수일에 걸치는 것이 보통이나 때때로 10여 일에 걸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강수량은 연 강수량의 ½ 또는 연평균 강수량에 이르기도 한다.
2. 집중호우의 특성
1) 호우
주로 심야에 높은 산 아래에서 자주 발생하며 순식간에 일어나 사전 대비를 하는데 참으로 어려우며 장마철보다 8~9월에 발생하는 집중호우의 피해가 더 크다. 특히 강 상류 측에서 물이 갑자기 불어나는 일이 자주 있으므로 계곡의 야영객은 불시에 참변을 당하는 일이 허다하니 매우 유의하여야 한다. 집중호우란 강한 비가 비교적 단시간에 국지적으로 집중하여 내리는 현상으로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일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10%이상이거나 또는 시우량(時雨量) 30mm이상, 일우량(日雨量) 80mm 이상의 많은 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집중호우는 대단히 많은 수증기가 장마전선에 유입될 때 발생하며 급격한 상승기류로 형성되는 낙운(적란운)에 의할 경우 매우 짧은 기간에 천둥번개와 함께 비교적 좁은 지역(보통 10~20㎢정도)에 집중적으로 쏟아지게 되며 20~30분에서 2~3시간 주기로 강약의 변동을 부린다.
2) 태풍
매우 센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여 우리나라에 2~3차례 내습하여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내고 있다. 태풍은 우측에 위치한 지역이 위험 반경으로 좌측보다 더 큰 피해를 받으며 우리나라에는 6월에서 10월까지 발생하며 8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한해에 7번 정도 물난리를 겪고 있으며 연평균 국민총생산(GNP)의 0.13%에 달하는 4,647억 원의 재산과 246명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가고 있다. 이러한 재해를 복구하는데는 매년 5,222억 원이라는 큰돈이 들어가고 이로 인한 국민 경제적 손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크다.
Ⅶ. 기상현상과 열대야
‘열대야’는 해가 진 후 다음 날 아침 해가 뜰 때까지 기온이 25℃이하로 순간적이나마 내려가지 않는 밤을 일컫는다. 열대지방의 밤을 연상케 하는 열대야는 한 해 여름동안 남해안지방에서는 13~22일, 내륙지방에서는 9~22일 정도 발생한다. 바람이 약하고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을 때 나타나기 쉽다.
북태평양고기압에 덮여 여름형 기압배치가 되더라도 해안지방에서는 바람이 주간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밤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불어들어 시원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해안에 가까운 대도시에서는 바다로부터 부는 바람이 고층빌딩 등으로 차단되고 게다가 건물 냉방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나 수증기가 많아지면, 이것은 온실효과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방출하는 복사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해뜰녁에도 기온이 떨어지기 어렵게 하여 열대야를 발생시킨다.
Ⅷ. 기상현상과 태풍
1. 태풍이란
태풍은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열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생기는 열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저위도지방의 따뜻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며 고위도로 이용하는 기상 현상이다.
2. 태풍의 발생조건
공기의 소용돌이가 있어야 하므로 전향력이 거의 없는 남위 5°와 북위 5°사이의 적도 부근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해수면 온도가 보통 26℃ 이상인 바다에서 잘 발생하며 공기가 따뜻하고 공기중에 수증기가 많고 공기가 매우 불안정해야 한다. 우리나라와 극동지방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북위 5°~ 20°,동경 110°~ 180°해역에서 연중 발생하나 주로 7~10월에 많이 발생한다.
3. 태풍구분
세계비상기구(WMO)는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33 ㎧ 이상인 것을 태풍(TY : Typhoon), 25~32 ㎧인 것을 강한열대폭풍(STS : Severe Tropical Storm), 17~24 ㎧인 것을 열대폭풍(TS : Tropical Storm) 그리고 17 ㎧ 미만인 것을 열대저압부(TD : Tropical Depression)로 구분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태풍을 이와 같이 구분하지만 일반적으로 최대풍속이 17 ㎧ 이상인 열대저기압 모두를 태풍이라고 부른다.
4. 태풍의 크기와 강도
1) 태풍의 크기 분류
태풍의 크기는 초속 15 ㎧ 이상의 풍속이 미치는 영역에 따라 분류한다.
(1) 소형 : 300 ㎞ 미만
(2) 중형 : 300 ㎞ 이상 ~ 500 ㎞ 미만
(3) 대형 : 500 ㎞ 이상 ~ 800 ㎞ 미만
(4) 초대형 : 800 ㎞ 이상
2) 태풍의 강도 분류
(1) 약 : 17 ㎧ (34 ㏏s) 이상 ~ 25 ㎧ (45 ㏏s)미만
(2) 중 : 25 ㎧ (45 ㏏s) 이상 ~ 33 ㎧ (64 ㏏s)미만
(3) 강 : 33 ㎧ (64 ㏏s) 이상 ~ 44 ㎧ (85 ㏏s)미만
(4) 매우강 : 44 ㎧ (85 ㏏s) 이상
5. 태풍의 위력
태풍의 힘은 1945년 일본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 보다 10,000배나 더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태풍의 중심최대풍속이 매우 강한 것은 44 ~ 60 ㎧이고 해상에서는 파고가 10 ~ 15 ㎧ 이상일 경우가 있다.
6. 태풍의 이름
태풍이름은 1999년까지 괌에 위치한 미국 태풍통합 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0년 부터는 아시아 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 각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하여 태풍이름을 서양식에서 아시아 지역 14개국의 고유한 이름을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이름은 각 국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참고문헌
21세기 웅진학습백과18, 지구과학/환경
권원태·신임철·오재호(2003), 기후변화협약 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 개발(II), 기상연구소 연구보고서
김연옥(1998), 기후변화, (주)민음사
이재수(2000), 자연재해의 이해
토마스 그레델 외(1999), 기후변동, 사이언스북스
한국지구과학회(2007), 지구환경과학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EBN 경제(2005.11.11), 〔칼럼〕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키워드

기상현상,   기압,   전선,   강수,   기단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