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바다]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특성,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환경오염,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굴패각,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침식,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통합관리와 선박식별장치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안][바다]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특성,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환경오염,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굴패각,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침식,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통합관리와 선박식별장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특성
1. 연안의 자연적 여건
1) 연안의 지형구조와 특성분석
2) 기상 및 해상의 특성분석
2. 연안의 자연생태계 여건
1) 갯벌과 습지의 분포와 관리
2) 동식물의 분포
3) 자연생태계 보호지역 지정
3. 연안의 인문·사회적 여건
1) 연안인구 및 지역경제 여건
2) 지형구조와 토지이용
3) 연안의 주요시설

Ⅲ.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환경오염
1. 연안의 오염원과 해역수질
2. 연안오염의 유형과 요인 분석
3. 연안환경관리의 주요쟁점

Ⅳ.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굴패각
1. 지금까지 추진사항
1) 굴패각 처리공장 시설 및 운영비 지원
2) 굴패각의 재활용 다각화 및 대량 처리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실시
3) 토양개량사업에 패화석비료를 포함하기 위해 재활용품 품질인증제 도입 및 공급사업 실시
4) 굴패각의 효율적 처리방안 강구를 위한 세미나 개최 및 관계기관 합동 현장방문 실시
5) 유관기관간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을 위한 협의체 구성·운영
2. 향후 추진대책
1) 패화석비료 지속적 공급 확대(농림부, 해수부, 시·도)
2) 건설공사시 모래 대체재로 활용(해수부, 시·도)
3) 농업용 퇴비로 재활용을 위한 제도개선(농림부, 환경부, 굴수협)
4) 바닷가 방치패각 일제 수거처리(해수부, 경남도)

Ⅴ.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침식

Ⅵ.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통합관리
1. Sorensen & McCreary의 정의
2. 미국국가연구회(NRC;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정의
3. 지중해실행계획(Mediterranean Action Plan)의 정의
4. Bower의 정의
5. 경제협력 및 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의 정의
6. 세계은행(World Bank)의 정의

Ⅶ.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선박식별장치
1. 공통조건
2. 선박자동식별(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송신장치의 조건
3. 선박자동식별(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장치의 조건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박식별장치
1. 공통조건
가) 통신방식은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을 사용하는 단신, 반복신방식일 것
나) 발사전파의 전파형식은 F1D를 사용하는 것일 것
다)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는 25kHz 또는 12.5kHz 이내일 것
라) 자동모드(모든 지역에서 자동으로 동작하는 기능을 말한다.), 할당모드(해안국이 데이터 전송간격 및 시간슬롯을 지정했을 경우에 동작하는 기능을 말한다.), 폴링모드(다른 선박국 또는 해안국으로부터의 메시지 송신 요구에 대해 응답하는 기능을 말한다.)를 가질 것, 자동모드에서의 정보갱신주기 및 제공정보는 다음과 같을 것
- 정적정보[국제해사기구 번호, 호출부호와 선명, 선박의 길이와 폭, 선박의 종류, 선박 측위 시스템의 위치(선박의 선수, 선미 및 좌/우현의 구분을 말한다.)]의 갱신은 매6분마다 또는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요구가 있을 때에 이루어 질 것
- 동적정보(선박위치의 정확한 표시 및 전반적인 상태, 협정세계표준시간(UTC), 대지침로, 대지속력, 센서에 의한 정보를 말한다.)는 다음 표와 같은 간격으로 갱신될 것
마)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해서 동기를 위한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할 것
바) 선박 및 메시지 식별을 위한 해사이동업무식별번호(MMSI :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Number)를 사용할 것
사) 디지털선택호출장치의 기능을 가지며, 기술적 조건은 다음과 같을 것. 다만, 해안국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디지털선택호출장치 및 수신기의 기술기준은 \'전파연구소고시 제2005-22호\', \'해상이동업무 및 해상무선항행업무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제5조를 준용할 것, 단, 조난 관련 기능은 포함하지 않을 것.
- 디지털선택호출 수신기는 156.525MHz의 주파수를 사용할 것.
2. 선박자동식별(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송신장치의 조건
가) 발사전파의 주파수허용편차는 3x10-6 이내일 것.
나) 스퓨리어스발사의 허용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것.
- 146MHz이상 162.0375MHz이하인 주파수대에서 급전선에 공급되는 스퓨리어스발사 평균전력은 2.5 W이하일 것
다) 공중선전력은 1.5W로하며, 허용편자는 ±20%이내일 것.
라) 입력 데이터는 변조전에 NRZI(Non-Return to Zero Inverted)로 부호화할 것
마) 변조방식은 GMSK/FM이고, 변조지수는 다음과 같을 것.
- 채널간격이 25kHz인 경우는 0.5 일 것.
- 채널간격이 12.5kHz인 경우는 0.25 일 것.
바) 전송속도는 9,600bps이며, 허용편차는 50x10-6 이내일 것.
사) 송신전력의 상승시간은 송신을 시작한 후 송신전력 안전상태의 80퍼센트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이 1밀리미터초 이내일 것.
아) 송신전력의 하강시간은 송신을 종료한 후 송신전력이 0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1밀리미터초 이내일 것.
자) 송신을 시작한 후 1밀리미터초 경과 후 주파수안정도는 ±1kHz이내일 것.
3. 선박자동식별(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수신장치의 조건
가) 감도는 다음과 같을 것.
- 채널간격이 25kHz인 경우는 -107dBm의 신호를 가했을 경우에 패킷오류율이 20% 이하일 것.
- 채널간격이 12.5kHz인 경우는 -98dBm의 신호를 가했을 경우에 패킷오류율이 20% 이하일 것.
나) 고 레벨 입력 시 오류 특성은 -7dBm의 신호로 1,000회 측정한 경우의 오차횟수가 -77dBm 신호로 1,000회 측정한 경우의 오류횟수보다 10회 이상 크지 않을 것.
다) 인접채널 제거비는 감도측정상태보다 3dB 높은 희망주파수의 신호와 인접채널의 주파수인 무 변조 방해파를 동시에 더했을 경우에 해당신호의 신호의 80%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희망파와 방해파의 비로 다음과 같을 것.
- 채널간격이 25kHz인 경우는 70dBm 이상.
- 채널간격이 12.5kHz인 경우는 50dBm 이상.
라) 스퓨리어스 레스폰스는 감도측정상태보다 3dB 높은 희망주파수의 신호와 주파수편이가 ±3kHz인 400Hz로 변조된 방해파를 동시에 더했을 경우에 해당신호의 80%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희망파와 방해파의 비가 70dB 이상일 것.
마) 선박자동식별장치용 주파수 2파를 각각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 2대를 갖출 것.단, 1대의 수신기는 시분할방식으로 디지털선출장치용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Ⅷ. 결론
현장의 방제 책임자나 참모, 그리고 관련전문가들은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유출물과 유출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유출상황과 환경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여 과학적인 근거 하에 신속하고 정확한 방제명령을 하달해야 한다. 또한 신속하게 방제전략 전술의 수립, 방제 장비와 인력의 배치 및 운용, 방제 작업 과정의 평가 등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의사결정을 결단력 있게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제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는 사전에 구축된 여러 가지 데이터베이스와 예측 모델, 피해추정 모델, 환경민감도 지도, 그리고 각종 의사 결정 도구를 사용하는 고도의 기술 전략적인 방제 지원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끝으로, CLC 및 FUND에 의한 피해보상한도액 등의 내용들을 적절한 시기에 국내법에 수용하고, 아울러 위험·유해물질(HNS)의 국제협약 발효에 대비하여 국내 법령(안)을 마련하고, HNS 물동량 파악을 위한 전산처리시스템의 개발을 추진하여 손해배상제도를 확립하는 한편, 이들 물질에 대한 방제체제 구축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건설교통부(1999) : 국토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박용만(1998), 바닥의 과학, 해양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지현(1994) : 연안통합관리의 개념, 과정 및 실행방안,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정책연구, 제9권 1호
조승환 : 한국 연안의 개발현황과 연안정책의 기본방향,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
한국해양연구소(1997) : 연안통합관리의 합리적 수행을 위한 정책방향
홍성욱(1996) : 연안통합관리를 위한 시민교육 프로그램개발,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정책연구, 제11권 1호
해양수산부(1999) : 연안관리법·시행령·시행규칙

키워드

연안,   바다,   해안,   해양,   연안관리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4.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