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환자 간호, 각종 튜브 관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 후 환자 간호, 각종 튜브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ostoperative care

Care of a Client With a Tube
1 중심정맥관
2. 기관 유지 tube
3. 배뇨관
4. 위장관 tube
5. 배액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 연결부위를 kelly로 잠그 고 bottle은 침대위에 세운다.
④ 드레싱은 24시간마다 해준다.
⑤ emphysema의 경우 daily bottle change한다.
(4) Chest tube 제거 조건
① 흉관을 통한 공기유출이 없다.
② 하루 24시간 동안 배액된 양이 100ml 이하이다.
③ 흉부 x-ray 소견에서 폐가 완전히 확장되어 있다.
④ 늑막액이 남아있지 않다.
(5) Chest tube 제거 후
① 흉부 x-ray 사진을 찍어 반드시 기흉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② 흉관 제거한 후에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48시간 동안 폐쇄 드레싱을 한다.
(6) Chest tube의 drainage type
- One bottle chest drainage system (호흡과 중력 이용)
흉막강 내에서 나온 공기는 물보다 가벼워 공기구멍을 통해 배출되고, 체액은 공기보다 무거워 중력에 의해 밑에 깔리게 된다.
- Two bottle chest drainage system
환자로부터 나오는 배액의 양과 특성을 관찰하기 쉬우며 기구 안의 압력조정이 용이하다.
one bottle은 배액 병이 참에 따라 물에 잠긴 tube의 물기둥 높이가 높아지고, 높을수록 물기둥을 내리는데 필요한 압력이 높아져 늑막 강에서 공기 또는 체액을 몰라내기 위해 더 높은 압력이 필요해 그만큼 환자가 힘들어지나 이 system은 배액병과 밀봉 병을 분리하므로 문제점이 해결된다.
- Three bottle chest drainage system
이용한 배액이 폐의 재팽창을 충분하게 시티지 못하거나 늑막강의 내용물을 배출시키지 못할 때 환자가 너무 약해서 늑막강 내 공기와 체액을 제거하기 위한 기침이나 호흡을 충분히 하지 못할 때, 농흉 치료 시 배액 병이 미처 빼낼 수 없을 만큼 빠르게 공기의 유출이 있을 때 사용된다. 물속에 잠긴 흡인 조절 tube의 깊이가 drainage system 안의 압력의 양을 조절한다. suction power가 직접 환자에게 주는 영향이 적다. 세 병을 통과하므로 안정성이 높다. 배액량 측정과 특성의 관찰이 용이하다. 공기가 많이 유출되는 환자는 혈액과 공기가 거품을 이루면서 흡인 병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나. Hemovac
① 수술 후 사용하는 폐색 배액 법으로 portable wound suction기이다.
② 착용하기 가볍고 움직임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③ 상처에 granulation tissue 형성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음압을 이용하여 배액 시키므로 치유를 촉진시킨다.
④ 수술 후 3~7일이 지나 삼출액이 나오지 않으면 제거한다.
(1) 관리
① evacuator bag을 편편하고 딱딱한 표면 위에 둔다.
② 배액 관을 clamping 한 후 연다.
③ 음압을 유지하여 흡인되게 하기 위해 evacuator를 눌리면서 pluge를 닫고 배액관 clamping을 푼다.
④ BARO-VAC인 경우 막히지 않도록 Y자로 생긴 부위에 자주 눌러주고 J-P type은 줄 을 milking한다.
다. Penrose drain
① 출혈부위나 수술부위에 배액 시킬 때 사용하는 개방 배액법으로 배액관 끝에 안전핀을 꽂아 상처내부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배액물이 피부표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 도록 주의한다. (종류 : 8, 10, 12 Fr)
라. PNA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drainage)
= APDC (all purpose drainage catheter)
① abscess fluid, biliary, urinary, pleural emphysema, lung abscess, mediastinal collection 시 배액 시킬 목적으로 경피술을 통하여 삽입하는 catheter
② catheter 끝이 pig tail로 되어 있어 복강 안에서 고정 가능하다.
③ 삽입 후 배액량, 색, 냄새 유무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④ bile bag을 연결하여 배액 시킬 수 있고 bile bag은 삽입 부위보다 아래로 향하게 한 다.
마. PTBD (percutaneous trans abdominal biliary drainage)
= BUDC (biliary drainage catheter)
① 경피술을 이용하여 총담관으로 catheter를 삽입하여 담즙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이다.
② 삽입 직후 hemobilia가 있는지 배액량과 색깔을 확인한다.
③ 배액관이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④ 연결된 bile bag은 삽입부위보다 아래로 향하게 한다.
바. EVD (extra ventricular draine system)
뇌실을 도관을 이용하여 두 개강 외로 연계시키는 배액법
(1) 목적
① 뇌압의 증가를 조절하기 위해 (급성 뇌수두증, 뇌출혈)
② 뇌수술 시 뇌 견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뇌농양, 뇌혈관 수술 등)
③ 뇌압의 계속적인 측정을 위해
④ 뇌실의 지속적인 배액을 위해 (뇌실내출혈, 뇌농양)
⑤ 약제 투여 위해 (항암제, 항생제, 항 지혈제 등의 뇌실 내 직접 투여)
⑥ 진단을 내기 위해 (계속적인 뇌 척수액 검사, Ventriculography 등)
⑦ 뇌실 복강간, 뇌실 동맥간 등 shunt 수술 시
⑧ 수두증 태아의 원만한 분만을 위해
(2) 유의점
① 압력 표시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② 배액양의 색깔, 양, 관류액의 박동성 리듬 등을 확인한다.
③ 도관의 고임, 이음새의 분리가 되지 않게 조심한다.
④ 감염 가능성이 높아 소독은 매일 하며 소독 시 감염 증후를 관찰한다.
참고문헌
제 5판 성인 간호학. 서문자 외 (2004) 현문사
Mosby's 의학 간호학 대사전. 대한 기초간호자연과학회 (2002) 현문사
http://www.google.co.kr/
Preceptor 교육지침서 2008. 동아대학교 의료원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A GENERAL SURGICAL WARD OF A TEACHING HOSPITAL 저널 PROFESSIONAL MEDICAL PUBLICATIONS
April-June 2006 Volume2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4.3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