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전기발전][수력발전][원자력발전][열병합발전][지열발전]발전(전기발전)의 원리와 수력발전, 원자력발전, 열병합발전, 지열발전 분석(수력발전, 원자력발전, 열병합발전, 지열발전, 전기발전, 발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전][전기발전][수력발전][원자력발전][열병합발전][지열발전]발전(전기발전)의 원리와 수력발전, 원자력발전, 열병합발전, 지열발전 분석(수력발전, 원자력발전, 열병합발전, 지열발전, 전기발전,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발전(전기발전)의 원리

Ⅲ. 수력발전
1. 수력 발전소란 무엇인가
2. 수력 발전소의 종류
3. 양수 발전소란 무엇인가

Ⅳ. 원자력발전
1. 원자력 발전소란 무엇인가
2. 원자력발전의 원리
3. 원자력발전의 전망

Ⅴ. 열병합발전
1. 열병합발전(cogeneration)이란
2. 사례

Ⅵ. 지열발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열수 자원이다.
프랑스, 독일, 스웨덴, 헝가리 및 우리나라의 지열자원이 여기에 속한다. 지열에너지의 이용현황을 살펴보면(93년 기준) 먼저 지열발전은 설비용량이 28개국에 걸쳐 총 6,460 MW(646만 kW), 연간 발전량은 19개국에서 38 TWh(380억 kWh)로 각각 3년전에 비하여 7~8%가 증가하였다. 이중에는 미국이 40%이상을 차지하고있으며 그외에 필리핀, 멕시코, 이태리, 일본,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등이 뒤를 잇는다. 지열은 발전용 외에도 넓은 용도에 직접 사용되는데 지역난방이나 농업, 공업등에 이용되는 비발전용의설비용량은 8,780 MW로 중국, 미국, 아이슬랜드가 1,400 MW이상이고 사용실적은 발전량과 비슷한 36 TWh정도이다.
현재 국내에서 기대할 수 있는 지열자원도 30~100。C정도의 저온성 심층 열수자원이기 때문에 발전보다는 지역난방, 시설농업 등에 적합하다. 특히 마산, 창원 지역은 국내최고 수온의 부곡, 마금산 온천과 근접해있어 이 지역에서 지하 2000~2500m지점까지 시추해 90。C내외의 지열수를 다량 채취할 수 있다면 공해없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및 첨단 농업단지 조성도 가능할 것이다.
Ⅶ. 결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 에너지인 석유, 석탄은 매장량에 한계가 있어 앞으로 100년 정도면 고갈이 예상되므로 우린 에너지 절약을 실천해야 한다. 에너지는 거의 모든 경제 활동의 필수재로, 산업생산과 수송, 상업 및 가정용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현대의 유용한 에너지원은 주로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화석 연료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화석에너지 자원들은 몇 년 뒤면 고갈될 것이고 이때까지 대체에너지가 개발되지 않는다면 우리들의 생활이 정상적이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등은 수력, 화력발전 등으로 공급하고 있지만 수요량에 비해 공급량이 현저히 부족한 상태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매장되어 있지 않아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는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외채가 늘어나고 있고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량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태이고 에너지 과다낭비로 쓸데없이 사용되는 에너지가 많다.
또한 현재 사용하는 연료들은 이산화탄소 및 공해물질들을 배출하는 경우가 많아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원자력의 경우 비교적 매장량이 풍부하고 화학적인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방사능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고 방사능오염의 경우 수만 년이란 긴 정화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체르노빌과 같은 사고의 경우 그 피해가 전쟁만큼이나 심하다. 발전 금액이 저렴하다고 하나 추후 폐기 할 때의 비용을 생각하면 화력발전보다 비싸다고 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대체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다. 대체에너지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뿐더러, 고갈될 염려가 없어 현재 에너지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환경을 생각하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과학기술부 / 원자력발전소 성능 및 안전향상을 위한 제어시스템의 개선, 과학기술부, 2001
김경동·홍두승 / 원자력과 지역이해 - 사회과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수력발전기술의 신개발과 조력발전 프로젝트 제안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
신·재생에너지 R&D 전략 2030 / 산업자원부·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07
한국과학재단 / 원자력발전소 이용율 향상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재단, 1989
후카노 가즈유키, 정봉수 역 / 21세기 초기술, 팬더북
한국 신·재생 에너지협회 / 사단법인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