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룡전> 윤리소설의 실체, 동요하는 지배계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해룡전> 윤리소설의 실체, 동요하는 지배계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작품의 사회상 반영 양상

Ⅲ 작품분석
1. 작품 전체 구성 원리
2. 윤리소설로서 이해룡전
3. 변화된 영웅소설로서 이해룡전

Ⅳ 다른 작품과의 비교
1. <이태경전>과의 비교
2. <심청전>과의 비교
3. <장경전>, <장풍운전>과의 비교

Ⅴ 결론

본문내용

혹은 돈이라는 물질에 몸이 팔린다는 공통점이 있다. 김동건, 위의 논문, 76-96면.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의 신분에 있어서의 차이가 있고, 고난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해룡은 현실적이나 심청은 천상계의 개입에 의한다는 것이 다르다. 둘째, 경제적 궁핍이라는 공통점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몸을 팔 수 밖에 없는 계기가 만들어지는데 그 계기는 작품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해룡부부는 유교 사회에서의 중요한 예법인 치상을 위하여 몸을 팔지만 심청은 부친의 개안을 위하여 매신을 한다. 심청의 효는 현실에서의 단순한 봉양보다는 죽어서라도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는 원천적인 효를 지향하는 불교적 성격을 띠고 있다. 셋째, <이해룡전>에서는 매신이 신분적 하락을 의미하는 반면 <심청전>에 있어서는 그 자체가 죽음을 의미한다. 김동건, 위의 논문, 76-96면.
넷째, 고난의 성격이 다르다. 해룡은 죽은 부부를 위해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기 위해 고난을 겪는 것이지만 심청은 아버지에 대한 애정 때문에 고난을 겪는다. 김창현, 위의 논문, 168면.
다섯째, 고난을 극복하는데 조력해준 자들의 성격이 다르다. <이해룡전>에서는 천의에 의한 구원이 현실적 인물들을 통해 나타난다면 <심청전>에서는 용왕이라는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인물에 의해 구원을 받는다.
3. <장풍운전>, <장경전>과의 비교
<이해룡전>과 <장경전>, <장풍운전>은 영웅소설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또 주인공들이 모두 하층민의 삶을 경험했다는 점, 주인공에게 닥치는 위기는 본질적으로 적대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의 고난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주인공들은 영웅으로서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자들은 아니다. 주인공들에게 시련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나 용기나 노력이 없으며 초자연적인 힘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하게 된다. 안기수, 위의 책, 87면.
이 작품들에서 가장 크게 드러나는 차이점은 <이해룡전>은 조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반면 <장경전>, <장풍운전>은 중국을 배경으로 사건을 전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이해룡전>에는 이미 처가 있으면 다른 처를 맞는 것은 사족의 할 바가 아니라는 의식이 반영되어 이경회가 첩을 맞이하지 않고 해룡 또한 고난 극복 후 벼슬에 오르고 나서도 첩을 얻지 않는다. 이에 비해 <장경전>, <장풍운전>에는 다처축첩제도가 합리화 되어 있다.<장경전>에서는 처와 첩 사이의 애정 갈등이 존재하고 <장풍운전>에서는 처와 처 사이의 갈등이 존재한다. 안기수, 위의 책, 183면.
<이해룡전>에서는 경제적인 빈곤에 의해 양반이 고난을 겪는 것과 천의(天意), 오흥 부부에 의해 다시 양반으로 신분 상승이라는 보상을 받는 과정에서 당대 사대부들의 의식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장풍운전>, <장경전>에서는 몰락이 사회적인 대혼란과 같은 불가항력적인 원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고아가 되어버린 주인공이 비천한 삶의 과정을 거치면서 구원자의 가정에 편입되어 새로운 가정을 형성하는 과정까지 장황하게 형상화되어 사회적인 몰락양반들의 신분상승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이해룡전>은 오흥부부를 만나고 나서는 더 이상 고난을 겪지 않으나 <장경전>과 <장풍운전> 한결 같이 주인공들은 가족과 이산하여 어린 나이에 최하층민으로 전락하고 온갖 고난을 겪으며 수년간을 방황하다가 구원자를 만나 그 집에 정착하면서 다시 고난이 확대된다.
Ⅴ 결론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함으로써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당쟁으로 인해 실세한 몰락양반의 생활상, 관리 등용과는 상관없이 실행되었던 과거제도, 노비들의 도망, 흉년과 기근으로 인한 매신행위, 혹심한 대흉년 등 현실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가난에서 이데올로기적 문제가 발생하여 고난을 겪게 되나 주인공이 노력을 통해 일관되게 유가적 이데올로기를 지킴으로써 천의에 의해 보상을 받는다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불완전-노력-완전성의 회복’이라는 구조로도 파악할 수 있다. <이해룡전>은 유가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여 강조하는 작가의 의식이 작품 곳곳에서 드러나는 것으로 보아 이 작품은 독자들을 교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인 윤리 소설이다. 이 작품은 단지 세태를 보여주기 위한 소설이 아니라 일관되게 ‘효의 실천’이라는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기 위하여 현실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주인공 해룡의 일생은 영웅의 일대기적 구성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이 작품을 영웅소설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후기의 영웅소설로서 변형된 영웅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소설, 영웅소설로서의 <이해룡전>과 관련하여 <이태경전>, <심청전>, <장경전>과 <장풍운전>을 비교하여 보았다.
작가는 작품에 역사적·사회적 상황을 반영하면서도 그 상황이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 상황을 작품에 담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이해룡전>은 단순히 당대의 세태인 신분제도의 붕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혼란한 상황 속에서 고난을 겪는 주인공이 ‘효’를 실천함으로써 유가적 이데올로기는 철저히 지켜지고 그 결과 주인공은 보상을 받는다. 작가는 자신의 본분을 다해야 보상도 받고 조화로운 상태가 된다는 의식을 이 소설에 담았다. 즉 <이해룡전>에는 ‘당대 현실에 대응하는 작가의 의식’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당시 소설 작가층의 의식의 한 성향을 확연히 보여주여 준다 김창현, 위의 논문, 154면.
는데 소설사적 의의가 있다.
※ 참고 문헌
· 金光淳,『韓國古小說史와 論』, 새문사.
· 안기수,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 보고사.
· 김대숙, 「「이해룡전」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87권, 1987.
· 김동건, 「이해룡전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 논문, 1997.
· 김창현, 「「李海龍傳」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 고전문학연구 제 12집, 1997
· 우창호, 「<이해룡전>의 주제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 교육연구 제27권, 1999.
· 이현국, 「이해룡전에 나타난 빈곤의 문제」, 문학과 언어학회, 문학과 언어 9권, 1988.
· 한우근, 『한국통사』, 을유문화사, 1981.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5.1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