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탈춤 발표과제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봉산탈춤 발표과제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탈춤의 종류
-탈춤의 내용
1. 도시형 탈놀이
2. 농촌형 탈놀이
-탈춤의 성격

서론
1.배경
2.유래
3.역사
4.갈래 성격 의의

본론
5.연출 형식
6.특징
7.주제
8.등장인물
9.내용 및 구성

결론
10.연극적 특징
11.가면사적 의의
12. 발표를 마치며
참고 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원숭이가 등장하여 노장스님의 행태를 비꼬며 조롱을 한다. 이어서 취발이가 등장하여 노장스님과 대무대적을 하여 노장스님을 내쫓고 소무를 차지하여 함께 춤을 춘다.
제5과장 : 여덟목중과 취발이 노장스님 모두가 승려의 신분을 파계하고 세상사 즐거운 일에 전념하니 부처님이 노하여 이들에게 사자를 보내어 벌을 준다. 이에 모두 회계하여 잘못을 빌고 용서를 청한다. 사자는 이를 용서하고 화해의 춤을 춘다.
제6과장 : 여기에 등장하는 양반은 전통성 있는 양반이 아닌 양반 계급을 돈으로 사서 얻은 양반이다. 무식한 사람이면서 유식한 양반의 흉내를 내는 모양을 풍자한 내용이다. 양반들 사회에서 벌어지는 온갖 비리와 몰락한 양반들의 생활상을 말뚝이가 등장하여 해학과 풍자로 신랄하게 고발한다.
제7과장 : 서민들의 삶의 모습을 그린 일부 대처첩의 삼각관계를 그리고 있다. 난리 통에 영감을 찾아 나선 할멈은 갖은 고생을 하다가 영감을 만났으나, 영감의 애첩인 용산삼개덜머리집과의 삼각관계에 얽혀 사랑 싸움으로 영감에게 맞아 죽는다. 영감은 애첩을 데리고 간다. 이어 무당이 등장하여 죽은 미얄할미의 혼을 달래주기 위하여 지노귀굿을 한다. 이는 미얄할미의 혼을 달래는 의미와 놀이판의 끝맺음을 알리는 의미와 놀이판의 마지막 정화를 위하여 잡귀를 쫓는 의식으로 탈을 태우는 의식을 겸하여 끝을 맺는다.
결론
10.연극적 특징
⑴ 공연장소와 극중 장소가 엄격하게 나뉘지 않고 융통성있게 활용되다는 점.
→ 탈놀이가 벌어지는 실제의 공간이 공연 장소요, 작품 속의 상상적 공간이 극중 장소이다. 근대 사실주의 연극에서는 이 두 가지가 엄격하게 구별되지만, 가면극에서는 필요에 따라 일치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⑵ 악공(및 관중)의 극중 현실 개입
→ 극중 장소와 공연 장소가 동일시될 때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가면극에서는 음악 반주를 하는 악사(樂士)와 청중이 연극의 진행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어 있다.
⑶ 희극적 과장과 서민적 표현의 활용
→ 가면극은 인물의 형상과 대사 및 동작 표현이 뚜렷하고 희극적 과장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언어와 동작에 있어서도 서민적 활력과 소박함이 풍부하다.
11.가면사적 의의
우리 나라의 가면극 가운데 하회(河回) 별신굿 탈놀이는 연행일과 연행 동기가 제의와 맞물려 있는 농촌 탈춤(혹은 향촌형 탈춤)으로서, 마을의 무사 태평과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계절제(季節祭)인 별신굿이 거행되는 정월 초부터 보름까지 연희되었다. 한편, 수영 야류(또는 야유, 들놀음), 동래 야류 등은 이행기(移行期)적 탈춤으로 농촌 탈춤의 성격과 함께 오락적 연행 목적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탈춤의 한계를 뛰어넘는 탈춤 형식이 조선 후기 상업 도시의 발달과 평민 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나타났으니 이것이 도시 탈춤이다. 도시 탈춤은 점차 마을굿[部落祭]이나 세시 행사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연극으로 연행되었는데, 농촌 탈춤의 담당층이 농민인데 비하여, 도시 탈춤은 상인과 이속 중심으로 연행되었다. 이러한 도시 탈춤을 대표하는 것이 봉산 탈춤이다. 봉산 탈춤은 주로 단오에 성대히 연희되었고, 관아(官衙)의 경사(慶事)나 중국 사신을 영접하는 놀이로 특별히 연희되었다. 나아가 5일장이 서던 봉산 근방의 모든 시장에서 1년에 한 번씩 연희되었다. 이는 연행일과 연행 동기가 제의와 결별하였음을 의미하고, 탈춤이 경제적인 동기와 긴밀히 연결되어 오락적인 목적에 기여하는 데 접어들었음을 뜻한다. 봉산은 교통의 요지일 뿐만 아니라 상업의 중심지여서 일찍부터 탈춤이 발달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토대가 닦여져 있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농민 문화에 뿌리를 둔 탈춤을 상인과 이속이 키운 결과, 봉산 탈춤은 등장 인물 사이의 갈등을 박진감 있게 구현하고 하층 민중들의 생활 의지와 어긋나는 지배 체제의 허구성과 허위의식을 다각도로 비판할 수 있었다. 봉산 탈춤은 18세기 조선 후기 사회에서 있었던 혁신(革新)에의 움직임을 가장 극명하게 표현한 도시 탈춤의 정수(精髓)라 하겠다.
12. 발표를 마치며
봉산탈춤을 지금까지 무용이나 춤의 한 갈래라고만 생각해 왔다. 그러나 조사를 하면서 봉산탈춤이 연극 역사적 한 갈래이며 우리 민족의 창작적 연극이란 사실을 알고 무척 놀랐다.
단순한 춤이 아니라 서사가 있고 그안에 주제 의식과 그 시대의 해학과 풍자로 서민들의 입장을 대변했다는 점이 대단하다고 느꼈다.
참고 문헌: 저자 박전열 『중요무형문화재.v.17 봉산탈춤』
『서울 : 화산문화,2001』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