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공간계획의 이해와 건축학적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합병원 공간계획의 이해와 건축학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병원의 부문구성
1.우리나라의 종합병원
2.병원경영과 공간 계획
3.병원의 입지조건
4.병원 경영의 트렌드

Ⅲ.연대별 병원건축계획의 변화과정
1.연대별 병원건축 설계지침의 변화
2.연대별 면적 및 공간구성의 변화

Ⅳ 부문별 세부변화사항
1.병동부
2.외래진료
3.중앙진료부

Ⅴ.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던 반면 2006년의 연구는 중요 기능에 대한 설계지침을 기술을 하고 있지만 이것 보다는 병원의 새로운 개념 도입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80년 연구에서 41.7㎡이었던 국내 종합병원의 병상당 순면적 계획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6년 연구에서는 1.7배 증가한 70.4㎡ 였다. 부문별로는 공급부와 관리부를 제외한 모든 부문의 병상당 순면적계획이 증가하였고, 특히 중앙진료부, 교육연수부, 부대시설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병원의 역할이 변화되고 있는 상황이 스페이스 프로그램 내에 면적계획에 포함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연구기관의 성격에 따라 작성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1980년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건축 계획이 연구되기 시작한 초기단계였기 때문에 기존 병원시설의 사례조사를 통해 경험적 측면에서 각 부서와 실을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는 조사목적이 강했다. 반면, 정부산하의 기관에서 작성된 1989년과 1997년의 연구는 병원의 건축계획보다는 운영과 수익문제 등에 중점을 두고 건축계획은 일부분으로 계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연구의 실 구성방식은 수학적 공식이나 통계에 의한 회귀분석방식을 취하여 새로운 병원건축계획을 제안하기보다는 안정적인 방식으로 공간을 구성하고자 하였고, 개별 실단위까지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학술단체에서 작성된 2006년의 연구는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시하기보다는 ‘치유환경적 요소의 도입’ 등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계획방향과 각 실의 기능에 수행을 위한 면적기준만을 제시여 설계자율적인 해석을 유도하였다고 판단된다.
병동부의 설계지침변화를 통해 시대별 병원의 역할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지만, 구체적인 면적계획에서는 변화의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치유환경이라는 정성적인 부분을 병동부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래진료부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1980년 연구에서는 실과 대기공간의 면적으로 구분하던 것이 점차 구체화되어 2006년 연구에서는 개별실 단위의 면적계획이 작성되었다. 그러나 진찰실의 단위면적계획이 실제 운영중인 병원들의 평균 진찰실 면적에 비해 1.3배 크게 작성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작성되고 있는 스페이스 프로그램과 실제 사용중인 동일 공간의 규모를 비교 분석하여 계획단계, 설계단계, 운영단계에서의 공간규모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의 원인을 찾고, 그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연구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병원은 공익기관이나 수익사업체 할 것 없이 기업화, 시장지향화, 동기유발성 등을 특징으로 의료 산업적 측면이 부각될 것이기 때문에 병원건축 역시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기능적 해결차원이 아닌 그 병원의 이미지 구축과 차별화를 위한 독창적 형태추구 등으로 나아갈 것이다
서비스산업으로 인식되어 오던 의료산업에 있어서 최근의 경향은 환자가 아닌 고객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에 있다. 미래의 병원은 건강증진, 건강교육, Life Style 등과 같은 의료정보상품들을 이용하여 병원의 활동영역을 분산시킬 것이다. 또 하나의 경향은 경험산업으로서의 병원이다. 병원은 최고수준의 의료서비스와 최고수준의 인간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이벤트와 행사, 정보교환 등의 기능들이 부가될 것이다
병원건축은 장기발전계획아래 수립된다. 미래의 수요와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는 병원들은 변화에 적응할 때마다 큰 손실을 감수해야한다. 병원건축에 있어서 미래의 변동요인들이 가시화 되기 이전에 이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이 더욱 중요시 될 것이다.
미래에 간과할 수 없는 추세는 전세계적인 인구의 고령화이다. 이에따라 노인학에 중점을 둔 이식이나 전자적 기술 등의 생명공학으로 대표되는 고기술적 치료법과 재활, 생활야식 등과 관련된 저기술적 치료법 등이 발달하리라는 전망이다. 병원설계 역시 이러한 의료프로그램 변화에 적응하여야 한다. 선진외국의 추세는 입원환자의 감소와 더불어 기존의 병상을 노인병동으로 개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한다. 노인들을 위한 요양소나 실버타운 등은 미래의 병원건축의 또 하나의 모습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綜合病院 外來診療部 中央HALL 空間計劃에 관한 연구
朴京玉 저 | 弘益大 産業美術大學院 발행
종합병원 간호사공간 활용행태에 의한 효율적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정인규 저 | 홍익대 산업대학원 발행, 실내건축설계 전공
종합병원 재활의료부 공간유형계획에 관한 연구
林炯徹 저 | 延世大 大學院 발행, 건축공학 전공
綜合病院 再活醫學施設의 空間計劃에 관한 연구
林彩雲 저 | 東亞大 大學院 발행, 건축공학 전공
綜合病院 小兒病室의 室內空間計劃에 關한 硏究
오을근 저 | 弘益大學校 발행, 環境設計學科 室內裝飾 전공
증·개축을 고려한 종합병원 중앙수술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채철균 저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발행
綜合病院 中央手術部의 動線과 空間計劃에 關한 硏究
고영욱 저 | 漢陽大學校 발행, 建築工學科 전공
종합병원 진입부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복도 및 대기공간을 중심으로
윤우용 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발행
공공적 종합병원 현상설계안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김남효 저 | 청설출판 발행
종합병원 병동부 기준층의 공간계획에 따른 Module에 관한 연구
방효극 저 | 서울대 대학원 발행
치유 환경적 종합병원 로비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노은정 저 |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발행, 실내설계 전공
입원환자를 위한 종합병원 병동부 복도 및 휴게 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김만영 저 | 한양대 산업대학원 발행, 건축학 전공
綜合病院 小兒病室의 室內空間 計劃에 關한 硏究
吳乙根 저 | 홍익대 환경대학원 발행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공용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강전웅 저 | 한양대 대학원 발행, 건축학 전공
진료과별 특성을 고려한 국내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대기공간의 건축계획
김담희 저 | 한양대 공학대학원 발행, 건축학 전공
病院建築의 屋外空間 計劃에 관한 硏究
이병호 저 | 서울大學校 발행, 建築學科 전공
  • 가격6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5.2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