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이론, 황금가지] 원형비평의 특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념

2. 이론의 형성

3. 대표적인 이론의 계보와 방법론

4. 작품분석

5. 원형비평의 특성

6. 마무리

본문내용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 숨의 미풍에 날아갔습니다.
중략
그러나 이별은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었습니다.
-한용운「님의 침묵」부분
한용운의「님의 침묵」에서 '그러나' 이후와 그 이전과를 비교해 보면 커다란 시상의 역전이 발견된다. 전단의 시상은 불행이요 비극이다. 그러나 후단의 즉, '그러나' 이후에서는 완전히 전희 되어 희망과 기쁨의 도취로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의 원인은 여하한 슬픔과 불행도 극복할 수 있는 높은 예지와 이 시에 나타난 역설정신이 있기 때문이다. 슬픔과 기쁨 불행과 행복 하강과 상승은 인생의 근원적인 재생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5. 원형비평의 특성
첫째, 문학의 근거를 신화라고 믿고 직접 체험 배척.
둘째, 문학작품을 원시적 표현의 한 형식으로 환원.
셋째, 어떤 이념이나 역사관에 의거한 작품평가 반대.
넷째, 비극과 서사시와 낭만주의 시(詩)에 대한 이해 증대.
다섯째, 문학은 훈련이 아닌 꿈, 비전, 본능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봄.
6. 마무리
신화·원형 비평의 목표는 그것이 매우 야심적이라고 할만큼 새로운 것이었으며, 또 그 방법의 적용이 문학작품의 감상과 이해를 돕는 데 매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도 주지의 사실이다. 신화·원형 비평의 적용은 문학연구의 영역을 역사적·미학적 영역 너머로까지 이끌어간다. 즉, 인류의 가장 오래 된 제식(祭式)과 신념의 발단으로까지 그리고 우리 개개인의 마음 깊숙한 곳에까지 연구의 손길을 뻗어나간다.
그러나 신화·원형 비평에 대한 지나친 편향적 신뢰는 다음의 오용적(誤用的)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간단히 그것들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원형, 단일신화(기본신화), 또는 문학의 '대원리'를 추구하다보면, 신화·원형비평은 어느 일정한 동일성이나 예상성에 빠질 수 있다. 즉, 문학에서 되풀이되어 일어나는 기본적 신화형성상의 패턴을 강조함으로써 개별적이고 각기 특이한 문학작품들을 단일한 작품으로 융합하려고 위협하기도 한다.
(2) 작품의 기교나 예술가로서의 작품의 특징보다도 문학작품의 주제나 소재를 자세히 살핌으로써 신화형성, 비평은 지금까지 거의 전부 분석적이고 묘사적이었지 가치평가적인 것은 아주 드물다. 사실 프라이는 비평의 주된 기능은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지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고 논하고 있다.
(3) 문학작품을 가장 시원적인 근원으로 돌려 가려는 시도에서 신화형성비평은 문학을 대로는 원시적 표현의 한 형식으로 환원해 버리고 예술가를 어린이나 원시인과 동일한 것으로 그려 놓고 있다.
결국 신화·원형 비평의 방법이 주는 새로움과 신선함의 충격을 적절히 소화하면서, 다른 가치있는 문학비평 방법과의 접합을 통해 문학작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결론이 다시 제시도지 않을 수 없다. 마치 프로이트를 신봉하던 비평가들이 성적 상징에 대한 열정 때문에 훌륭한 원형이나 제식의 매개체 이상이 어떤 요소가 있음을 잊기 쉽다.
이러한 오용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 방법에 의한 작품의 이해와 분석과정을 수행해 나갈 때, 가치 있는 문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이 더욱 넓게 열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1. 문덕수,「시의 원형적 패턴-원형비평의 시도」,『홍대논총』제3집, 1971.12
2. 신동집,「현대의 신화적 비평에 관하여」,『청개구리 논문집』제3집, 1960.11.
3. 김용권,「신화비평-현대의 비평이론」,《월간문학》, 1968.12.
4. 전규태,「원형 및 신화 비평」,『문예비평론』, 서문당, 1982.
5. 이상섭,「신화비평의 방법」,『문학연구의 방법』, 탐구당, 1972.
6. 박철희,「원형비평」,『문학개론』, 형성출판사, 1975.
7. 김윤식,「한국 신문학에 나타난 Female-Complex에 대하여」,《현대시학》,1972.8.
8. 정창범,『현대문학의 방법』, 지문사, 1981.
9. 월프레드 L. 궤린 외,「신화·원형비평」,『문학의 이해와 비평』, 정재완 외 역, 청록출판사, 1978.
10. N. Frye,「The Archetypes of Literature」D. Lodge(ed.), 20th Centery Literary Criticism, London ; Longaman, 1972, 429쪽.
  • 가격20,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1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