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탈춤 특성][탈춤 분류][춤][탈춤 공연방식][봉산탈춤][고성오광대탈춤][수영야류(탈춤)]탈춤의 역사, 탈춤의 특성, 탈춤의 분류, 탈춤의 춤, 탈춤의 공연방식, 봉산탈춤, 고성오광대탈춤, 수영야류(탈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춤][탈춤 특성][탈춤 분류][춤][탈춤 공연방식][봉산탈춤][고성오광대탈춤][수영야류(탈춤)]탈춤의 역사, 탈춤의 특성, 탈춤의 분류, 탈춤의 춤, 탈춤의 공연방식, 봉산탈춤, 고성오광대탈춤, 수영야류(탈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탈춤의 역사

Ⅲ. 탈춤의 특성

Ⅳ. 탈춤의 분류

Ⅴ. 탈춤의 춤
1. 제의적 기능으로서의 탈춤
2. 독자적인 마당춤으로서의 춤
3. 연극적 기능으로서의 춤

Ⅵ. 탈춤의 공연방식
1. 상연시기와 시간
2. 연희형태
3. 악기
4. 연희자
5. 탈

Ⅶ. 봉산탈춤
1. 봉산탈춤의 개요
2. 봉산탈춤의 특징

Ⅷ. 고성오광대탈춤

Ⅸ. 수영야류(탈춤)
1. 전편
2. 후편 : 탈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기는 주로 음력 정월 보름날에 놀아졌고, 정월 초순에 일심(一心契)계원들이 풍물패를 편성하여 고성 읍내의 각 가정과 상점을 돌며 걸립을 하여 놀이의 비용을 마련하였다. 탈놀이는 고성 장터의 넓은 마당에서 놀아졌다고 한다. 탈놀이의 내용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다.
○ 제1과장 문둥광대춤 : 양반의 자손으로 조상들의 누적된 죄과(罪過)의 업으로 불치의 문둥병에 걸려 출세하지 못하는 문둥이가 골수에 맺힌 비분과 울분을 표현하고 있다.
○ 제2과장 오광대 : 양반들과 말뚝이가 등장하여 춤과 재담으로 양반을 조롱, 모독 한다.
○ 제3과장 비비(영노)마당 : 일명 \'비비탈놀음\'이라고 한다. 오광대과장에서 여러 양반이 놀고 있을 때 이 세상에서 무엇이든지 다 잡아먹는 인신수두(人身獸頭 : 사람의 몸에 짐승의 머리)의\'비비\'라는 동물이 양반을 위협, 조롱한다.
○ 제4과장 승무 : 입산 수도하던 중이 기생의 유혹에 빠져 파계하는 것을 풍자한 과장이다.
○ 제5과장 제밀주 : 작은어미 놀음으로, 큰어미가 집을 나간 영감을 찾아나선다. 영감을 찾았을때 작은어미는 해산기가 있어 아이를 낳는다. 큰어미가 아이를 안고 어루자 작은어미가 질투를 하여 아이를 뺏으려다가 떨어뜨려 아이가 죽는다. 이것을 본 작은어미가 큰어미를 떠밀어 큰어미가 죽어버린다.
고성오광대의 탈은 옛날에는 나무탈을 사용하였는데, 경술국치 당시 나라를 빼앗긴 상실감으로 강(일설에는 바다)에 띄워 버렸다고 한다. 그 후부터는 종이로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한다. 사용되는 탈로는 1)문둥이, 2)말뚝이, 3)원양반(중앙 황제양반), 4)동방청제양반, 5)서방 백제양반, 6)남방 적제양반, 7)북방 흑제양반, 8)홍백도령, 9)종가도령, 10)비비, 11)비비양반 12)중, 13)각시, 14)큰어미, 15)시골영감, 16)작은어미, 17)황봉사, 18)마당쇠, 19)상주이다.
Ⅸ. 수영야류(탈춤)
수영야류는 부산 수영동에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이다. 수영이나 동래 지방에서는 탈놀음을 \'야류\', 또는 \'야루\'라고도 부르고 있다. 이것은 원래 \'들놀음\', \'놀이\'라는 우리말을 한자로 야유(野遊)라고 적은 것이 음운변화로 야류, 야루 등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들놀음이란 들판에서 놀이한다는 뜻인데, 연희장소는 들판이나 시장의 넓은 빈터이다. 탈놀이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전편
\'야류계\'가 중심이 되어 경비의 마련과 탈 및 도구제작 그리고 놀이판을 설치한다. 수영야류는 시작은 음력 정월 초 3-4일경부터 13일까지 놀이를 한다. 집집마다 지신밟기를 한후 부정을 타지 않은 일정한 장소에서 탈과 도구를 만든다. 탈이 만들어지면 가면제(假面祭 : 탈제)를 지낸다. 14일 밤에 시박(원로들 앞에서 그동안 연습한 연기를 심사받고, 배역결정)을 한다. 대보름날 오전에는 수영 토지신과 영(營)을 수호하는 제당에 서낭제를 모신 다음 수영 사람들의 식수인 먼물샘에 고사를 지낸 후 최영장군묘제(崔瑩將軍廟祭)를 지낸다. 탈놀이의 시작은 길놀이로 시작된다. 선두에 소등대가 서고 풍악대, 길군악대, 팔선녀, 사자와 가마를 탄 수양반 등의 순서로 가장, 가무, 연등의 대행렬을 한다.
2. 후편 : 탈놀이
○ 제1과장 양반 : 무식한 하인 막둑이(말뚝이)가 신랄하게 풍자한다.
○ 제2과장 영노 : 천상에서 죄를 짓고 지상에 내려와서 양반 99명을 잡아먹은 영노가 한 사람만 더 잡아먹으면 승천한다고 수양반을 위협한다. 영노가 제일 무서운 것이 \'참양반의 호령\'이라고 하자 수양반은 신이 나서 자랑하다가 잡아먹힌다.
○ 제3과장 할미, 영감 : 영감과 본처와 첩인 제대각시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가난한 가정생활을 표현하고 있다.
○ 제4과장 사자무 : 사자가 범과 싸우다가 범을 잡아먹는다. 탈놀이를 마치고 나면 가면 소각제(燒却祭 : 불로 태우는 것)를 올린다.
수영야류에 사용되는 탈은 1)수양반, 2)차양반(일명 毛雨班), 3)셋째양반, 4)넷째양반, 5)종가도령, 6)막둑이(말뚝이), 7)영노, 8)영감, 9)할미, 10)제대각시, 11)범, 12)사자이다. 이 밖에 의원, 봉사, 향도꾼은 탈없이 등장한다.
참고문헌
민속학술자료총서, 봉산탈춤1(2001), 놀이마당터
이강숙(2000), 봉산탈춤, 한국예술중합학교
이두현(1985), 한국의 탈춤, 일지사
오정희 외(2001), 탈춤종류 1-2, 놀이마당 터
조동일(1988),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채희완(1984), 탈춤의 사상, 현암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7.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