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의 배경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및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의 영역,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의 전망 분석(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더니즘의 배경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및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의 영역,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의 전망 분석(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모더니즘의 배경

Ⅲ.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Ⅳ.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1. 실험적이고 유희적 ▷ 실험적 시도
2. 다양성과 상대성, 열린 태도 추구 ▷ 다양성 추구
3. 타자를 발견하고 인정 ▷ 열린 가치

Ⅴ.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의 영역
1. 조직화, 하나의 언어게임(language game)
2. 애매성(equivocality) :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
3. 은유(metaphor)와 Reading organization

Ⅵ.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의 전망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해의 방법을 모더니즘의 경험적·실증적 방법을 사용하기 이전에 사용함으로써 해석적 이해로부터 도출된 통찰력을 실증적·경험적 연구의 중요한 자료(input)로 사용하거나(Lee, 1991; Schultz and Hatch, 1996, 533에서 재인용), 실증적·경험적 방법을 해석적 이해를 보강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하는 것(Gioia, Donnellon and Sims, 1989), 또는 실증적·경험적인 방법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해석적인 이해로 보완하려는 시도(원숙연, 2001)등이 시차를 두고 양자를 연계시키는 구체적인 예가 될 것이다.
두 번째는 병행 방식(parallel)이다(Schultz and Hatch, 1996). 상이한 관점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동시에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적용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병행전략의 대표적인 예는 영국 소방서(British Fire Service)를 대상으로 한 Hassard(1988)의 연구를 들 수 있다. 그는 실용주의적 맥락에서 Burrell and Morgan(1979)이 제시하는 다양한 패러다임의 방법론적 정향성을 조직의 다양한 측면에 각각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즉 소방관들의 직무동기화(work motivation)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지향하는 실증주의적 방법을 통해 설문지조사 및 통계적인 방식을 적용하고, 그들의 작업 관행(work routine)과 관리 훈련(management education)은 민속방법론적(ethnomethodology) 분석을 포함한 3개월 동안의 비참여적 관찰을 통해 소방관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대화 및 몸짓 등 다양한 상징을 해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는 이러한 병행전략을 통해, 물론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조직 행태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셋째, 가교방식(bridging)을 들 수 있다.(Gioia and Pitre, 1990; Weaver and Gioia, 1994; Schultz and Hatch, 1996) 이러한 연계 방식을 주장하는 기본적인 논리는 조직을 보는 각각의 관점은 나름의 경계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상호 침윤가능성(permeable)이 높아 경계가 \"불분명해지는\"(blurred) 영역(transition zone)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 영역에서 다양한 관점들간의 연결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는 일종의 가교(bridge)가 필요한데 그러한 가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2차 개념(second-order concept)이다. 예를 들어 모더니즘적 조직연구에서의 객관적인 구조(structure)와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주관적인 구조화과정(structuring)은 구조화(structuration)란 2차적 개념을 통해 연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Giddens, 1979). 즉, 조직구성원들이 생성적 규칙(언어, 상징, 관행 등)을 사용해 조직구조를 창출하지만(구조화과정), 조직구조 역시 구조화 과정을 제약하거나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조화란 지속적인 행위의 흐름이면서 동시에 그러한 행위를 반영하고 제약하기도 하는 일련의 제도화된 형식으로 구조와 구조화과정을 포괄할 수 있는 일종의 가교인 2차개념으로서 기능한다는 것이다(Gioia and Pitre, 1990; Weaver and Gioia, 1994; Schultz and Hatch, 1996).
이상의 연계 방식 가운데 최선의 방식(one best way)은 없으며, 이들 중 어떠한 방식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결국, 연구의 목적, 범위, 각각의 방식이 가지는 장·단점을 근거로 한 연구자의 판단의 문제일 것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연계가 다면적이고 다차원적인 조직현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실질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그러한 목적에 최대한 부합하는 방식이 무엇인가에 대한 철저한 고려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복합패러다임, 이론적 다원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연구가 지향하는 것으로 조직은 동시에 여러 가지이므로(organizations are many things at once!)(Morgan, 1986), 조직연구는 여러 가지의 조각들이 함께 어우러져-각 조각들은 나름의 모습을 잃지 않은 채-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드는 꼴라쥬(collage)(Hatch, 1997)가 될 때 조직의 실체에 보다 가깝게 갈 수 있다는 것이다.
Ⅶ. 결론
김민수 선생님의 모던디자인비평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 일탈은 모던 디자인으로부터 파생된 문제에 대한 반성적 인식의 성찰이라고 귀결을 짓고 있다. 그렇다면 모더니즘은 후기산업사회의 철학적 대안인가? 여기에 대한 대답으로는 과감히 아니다.라고 말할 것이다. 모더니즘이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행한 동기가 반성이었다고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표피성과 경박성, 그리고 민감한 상업적 성격을 배제할 수 없다는 약점을 지닌다. 그러나 아직도 포스트모더니즘은 자라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던의 문제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작되었으므로 한동안 모던 기피증의 편집적 요소를 보여 주는 과도기적 체제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요즈음은 M.Safdie 의 말포스트모던-그거 이제 싫증납니다!처럼 포스트모던이 다른 형태로 변신할 가능성을 보여 주는 시대이다(물론 아직 서구에 한정되지만). 시행과 착오로 이루어진 인류 역사처럼 앞으로 여러 문제에 있어서 새롭고, 더욱 인간적이고, 올바른 방향의 이념이 나올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내희(1990) /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이론, 사회와 사상, 한길사
이윤희(1992)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학연구
이진우(1993) /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우리들의 철학찾기(1994)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한양대학교 철학과 학생회 학술단체연석회의, 한양대학교 철학과 학생회
정정호·강내희(1991) / 포스트 모더니즘의 쟁점, 도서출판 터
한길사(1990) / 사회와 사상(제23호)
한인숙(2000) / 포스트모더니즘, 복지정책 그리고 여성, 한국행정학보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