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분석, 사랑의 기술] 사랑의 기술 감상 및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랑의 기술 분석, 사랑의 기술] 사랑의 기술 감상 및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랑의 기술》 저자 에리히 프롬

2. 작품 내용 분석
제1장 사랑은 기술인가
제2장 사랑의 이론
제3장 사랑과 현대 서양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
제4장 사랑의 실천

3. 영원한 인생의 화두 '사랑'

4. 사랑을‘하고’‘주고’‘베푸는’ 방법, 사랑의 기술

5. 현대의 인간과 소외

6. 교환의 가치를 넘어서는 사랑

7. 결론

본문내용

대상이 있어야한다. 그 대상에게 있어서 하나의 주는 자로 만들지 못하는 사랑은 서로에게 불행한 결과를 가져올 뿐이다. 사랑은 결코 우연한 기회에 경험하게 되는, 다시 말하면 운만 좋으면 누구나 '맛볼 수 있는' 즐거운 감정이 아니다. 하지만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있어서 사랑이라는 것은 브롬이 말한 것과 같이 더 이상 복잡하거나 이상적인 것이 아닌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현대인이 사랑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뜻은 아니다. 현대인들은 사랑을 갈망하고, 행복하거나 불행한 사랑의 이야기를 펼쳐 놓는 수많은 영화를 구경하고, 사랑을 노래한 수백 가지 노래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 있어서 사랑이라는 것은네가 주는 만큼 나도 준다라는 교환법칙이 성립되어 있는 하나의 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무쏘의 뿔처럼 혼자서가라』의 주인공인경혜라는 인물을 보면, 그녀는 사회적으로 조건이 좋은 의사남편과 결혼을 하는데, 그녀에게는 남부럽지 않은 외모와잘 나가는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부부에게 있어서는 단순히 사랑이라는 허울을 뒤집어쓴 암묵적인 계약관계만이 존재한다. 물론 경혜 부부에게도 처음에는 브롬이 말하는 진정한 사랑이 있을 수도 있었겠지만, 그들은 남편의 외도에 맞바람을 칠정도로 서로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히 준 만큼은 받는다는 관계를 유지했다. 이렇게 서로에게 단순히 물질적인 것만을 기대할 때가 더 많다. 이러한 현상을 그냥 소설 속에서나 존재하는 이야기를 그냥 흘려버릴 수는 없는 것 같다. 사랑을 자본주의의 흥정의 원리(Give and Take)로 보는 것은 더 이상 소설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그렇다면 서로 주고받는 것이 사랑은 아니라는 말일까? 상대방을 주는 자로 이끌어내는데 왜 우리는 이런 것을 사랑이라고 하지 않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간단하다. 자본주의의 원리가 되어버린 흥정의 원리는 결코 도덕의 황금률과는 같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랑이라는 것 중에서 종교적인 사랑에 관한 이론은 첫 번째 이론인 사랑, 인간의 실존에 대한 해답의 인간의 실존이 자연과의 분리상태의 합일을 추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과 신에 대한 신인동형의 합일의 추구는 비슷한 논리로 전개되고 있었고, 두개의 이론은 다 인간이 분리의 상태에서 벗어나 합일을 찾는 행위를 사랑으로 보고 있다. 사랑의 대상에 관한 이론에는 형제애, 모성애, 성애, 자기애, 신에 대한 사랑 등의 대상을 논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자기애에 대한 저자의 견해 인간에 대한 사랑은 덕이므로 인간인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도 옳은 일이라는 논증과 이기주의와 비이기주의 등의 언뜻 보면 혼동하기 쉬운 개념에 사람들이 자기애를 아주 안 좋은 것으로 취급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돌이켜 생각해 보면 자기애라는 것 자기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는 것은 가깝고도 먼 개념이 아닐 수 없다. 혹자는 이것이 쉽다고 웃을지도 모르지만, 우리들은 일상생활에서 어떤 일에 실패하거나 할 때 대부분 자신을 자학하지 않는가 그것도 반성이라는 사회적인 교육에 의해서 사람들은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데 계속된 자신의 실패를 반성이라는 논리로 자신을 변화시키려 하거나 외부에 의한 비판으로 인해서 개인이 더 자신을 싫어하게 되는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인간의 가치는 단지 교환의 가치로서 정도 밖에는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 인간의 소외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것이 사랑의 실천을 위한 즉 그 사랑에 대한 신앙을 같고 그것대로 살아가기 힘든 상황을 가져오고 있고 사랑과 정상적인 생활의 양립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사회제도의 개편 즉 인간이 사회적이고 사랑할 줄 아는 본성이 그의 사회적 존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사회적 존재와 일체를 이루는 방식으로 사회가 조직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는데, 이것이 저자가 이 책을 쓴 목적이라고 여겨진다.
기타 다른 사랑의 이론과 그 실천을 위한 정신 집중이라든가, 신앙을 가져야한다는 것, 활동을 해야하다는 것 등은 단지 이말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논증일 뿐이며, 사회의 전반적인 종교와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논리 공정성 종교적으로 중용이라는 말과 비슷한 개념에 의해서 사회의 구성원이 단지 하나의 교환가치로서 기계의 부속품과 같이 인식되고 오로지 사회에서 제공되는 오락에 의해서만 자신의 욕구를 발산시켜야 하는 현실에 대해서 사랑이라는 개념을 빌어서 통렬한 비판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런 반인간적인 사랑(즉 경제적 논리에 의해 지배되는 공생에 의한 아니면 단지 육체적 관계에 의한 또는 사회로부터의 피난처로서의 사랑의 대상을 찾는)에서 벗어난 신앙과 신념에 의한 사랑을 찾기 위해서 사랑의 기술을 익히고 실천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일면 타당한 얘기일 수도 있으나 자본주의 본산인 유럽쪽에서 이런 주장이 나온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며, 현재 쌓아올린 문명 자체를 다시 즉 사회구조를 다시 창조하자는 논리는 우리나라와 같이 서구의 것을 그대로 복제해서 쓰고 있는 문화 수입국의 입장에서 보면, 우리가 현재 목표로 하고 있는 것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말로서 우리가 무엇 때문에 이런 식의 발전을 이루려고 애썼는가에 대한 강한 회의에 빠져들게 만든다. 단순히 바꿔야 한다는 주장보다는 좀더 구체적인 논증이 덧붙여졌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7. 결론
과연 인간이 사랑한다는 것은 인간의 환상이고 인간의 허영이고 인간의 자기기만인가?? 인간의 참된 자기의 상실이 사랑의 상실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n현대의 사회와 인간은 너무나 복잡하고 너무나 교묘하기 때문에 사랑은 더 이상 자연적인 일이 아니라 기술적인 문제가 된다.
프롬은 우리들 사람과 사람.. 그들이 모여서 형성된 사회라는 것에 참으로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사랑의 실천에 관해서 그는 자신 스스로도 진부하다고 했지만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진부하지 않다.. 우리가 영원히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한 그것은... 인문서적을 읽고 감동을 받았다고 하면 스스로 생각해도 조금 웃기는 일이지만 이 책을 읽고 내 나름대로 사랑에 대해서 정의를 내릴 수 있게 도움을 준책이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8.04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