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황의 교육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퇴계 이황의 생애

2. 퇴계 이황의 사상
(1) 이선기후의 이일원론
(2) 격물궁리의 관념론적 인식론
(3) 인성론과 관념사관

3. 퇴계 교육학의 시대적 성격

4. 퇴계 이황의 교육자로서의 모습
(1) 교육자 이황
(2) 이황의 교육관
(3) 학문의 방법
(4) 교육의 방법
(5) 다산 정약용이 퇴계의 교육을 평한 글
(6) 모범적 인격의 스승

5. 이황이 제자들에게 준 교육에 관한 ' 잠언‘

6. 퇴계 교육학의 근원적 성격

7. 퇴계 교육학의 방법론적 특성들

8. 퇴계 교육학의 사상적 특징

9. 퇴계 교육학의 현대적 과제

10.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표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칙(則)이 있기 때문에 이른바 저절로 되어짐이다. 따라서 박문 심사신사명변이라는 치지조목을 배우지 않으면 안된다. 다시 말하면, 과학적 탐구로서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그리고 ‘됨’에서는 홀로 몸가짐에 힘쓰고힘써 노력함을 그 절목으로 들고 있다. 이들은 주자가 이미 설파한 것들이지만, 퇴계의 경우, 특히 만년에 이를수록 인간행동의 실존적 결단에 대하여 더욱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퇴계의 실존적 결단이란 돈오와 같은 성질의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열린 마음으로 바둥거리지 않는 마음’이라고 하여 어디까지나 사물정신에 철저하였다. 그리고 박학만 하고 요약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곧 흩어진 마음이 너무 멀리 나가서 돌아오지 않는 폐단과 같다고 하였다.
학문은 종신사업이므로, 비록 안자와 증자와 같은 경지에 도달하더라도 다했다 할 수 없는데, 하물며 그보다 못한 범인에게 있어서 일까지보냐 하였다.
퇴계의 학문방법론은 입지→사행병진-경의협지→지행호진→점구융회관통의 순서이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끊임없는 물음을 하지 않을 수 없는 ‘회의’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는 주자의 말을 인용하여 이러한 지적 위기를 마음을 몹시 태우는 상태라고 표현하였는데 이 자리야말로 새로운 지적 발전의 계기, 곧 ‘발전적 계기’가 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실지로 지적 발전은 규칙적인 상승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비연속적단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위기를 회피하거나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일은 결국 인간에게 결정적인 발전 가능성을 방해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퇴계의 지적 탐구는 그 최종 근원지까지 철저히 찾아가는 데 있으나 이는 장구한 시간과 노력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답고봉비사단칠정분리기면 제 2신의 후론에서 퇴계는 다음과 같이 그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만일 여기에 정할 수가 없다면 반드시 후세의 주문공을 기다린 위에야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게 될 것입니다.
한편, 퇴계의 행동준거는 언제나 최선책을 지향하는 데 있었지만 부득이할 때는 차선책을 강구할 수 있다고도 하였다. 자성록에 나오는 이율곡에게 준 글이 이것이다.
모든 일에 있어서 어찌해야 할 방법과 도리를 찾지 못했을 경우에는 부득이 차선책을 찾아서 이에 따라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권도로서 이때에 마땅히 해야 할 지선입니다.
8. 퇴계 교육학의 사상적 특징
퇴계는 천넌동락을 4백년 뒤인 오늘의 교학원리 또는 교학방법의 원리로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이것은 퇴계학의 오류가 아니라 시공인간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육에 있어서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구별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常)과 변(變)마저 고정적이지 않은 것이 현대교육의 특성이지만, 교육의 최종적인 기반은 인간에 대한 신뢰이다. 퇴계는 확고한 교육목적과 이상을 가지고 무너져가는 한 시대의 가치관을 확립코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학(道學)의 진수를 체험체득체인코자 하였다. 그의 교학 방법론은 이러한 도야이상에 관한 최선의 답이었다. 오늘날, 세계교육의 방향은 인간행동의 계획적이고 물량적인 변화를 지향하며, 인간의 고향상실은 지적 편중교육에 의하여 가속화되고 있다. 퇴계 교육학에서의 성숙인격교육은 이제부터 동락하여야 할 교육의 방법론적 원리의 하나라 본다. 그러므로 퇴계가 그 시대의 교육문제를 해결하려는 데 고심한 것처럼 우리는 우리 시대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퇴계와 같은 교육적 예지를 환기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9. 퇴계 교육학의 현대적 과제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근대 정신사에 있어서 퇴계학의 영향은 지대하였다. 그들 유학의 중흥조인 야마자끼를 필두로 하여 그의 제자 사또, 오오쯔까는 퇴계의 자성록을 신명과 같이 존중하였으며, 명치유신의 이론가인 모또다에 의해 교육칙어의 기본정신으로 퇴계 사상을 담고 있다. 그리고 70년대 이후 퇴계학은 더욱 국제적인 성가를 더하기 시작하여 아홉 차례에 걸친 국제퇴계학회(대만일본미국구라파 7개국홍콩)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86년에는 국제 퇴계 학회가 결성되어 그 지부가 여러 나라(한국일본미국대만서독)에서 결성되고 있는 중이다.
퇴계학의 현대적인 과제는 인간정신의 위대성의 소생에 있다. 동서가 모두 인간의 고향회귀를 갈구하면서도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질문에 대하여 질문하지 못하고, 가장 소박한 진실에 대하여도 경탄하지 못하는 것은 마음의 병 때문이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현대인은 누구도 자신이 깊은 병에 걸렸다는 사실은 모르고 있거나 숨기고 있다는 현상일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세기말적 사유 병리 현상이다. 이제 동서의 사상계가 퇴계학에 대한 고민을 불러일으키는 까닭은 오늘의 시대를 하나의 병리적 현상으로 진단하고 이를 치료하는 원리의 하나로서 주목하는 데 있다. 서구철학은 라이프니찌 이래로 동방사상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신유학에 대한 탐구의 노력은 그들에게도 이미 2백여 년의 학문적인 축적이 있어 왔다. 이제 그들이 퇴계학에 대하여 새롭게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퇴계의 경(敬)의 철학이 이 시대의 철학으로 정립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퇴계학의 인간학적 수립의 과제는 이 시대의 무너져 가는 교학 가치관을 위하여서나 상실되어 가는 인간 본연성을 건지기 위한 노력이어야 할 것이다.
10.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표
구 분
이황(퇴계)
이이(율곡)
교육사상
理氣二元論(主理論)
敬과 立志
二元論的 一元論 : 理乘氣發說(主氣論)
立志와 誠
교육목적
성리학적 도덕인 양성
立志, 明知, 力行의 이념으로 聖人
교육내용
朱子大全
大學, 近思錄, 論語, 中庸, 五經
교육방법
立志窮理敬熟讀
心得
廣聞見潛心自得
『학교모범』,『소아수지』에 규정
居敬(마음을 정숙하게 함),
窮理(이치를 탐구하는 것),
力行(이치를 몸으로 옮기는 것)
저 서
聖學十圖―帝王의 學,
敬의 思想
太極圖說―理氣
성학집요―帝王의 學
학교모범, 학교사목, 만언봉사,
격몽요결, 소아수지, 동호문답
기 타
禮安鄕約
民衆敎化와 社會啓蒙에 힘씀
해주향약, 서원향약
11. 참고자료
교육사철학/교육과학사
퇴계 이황과 도산서원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황의동
우리에게 있어서 이퇴계는 누구인가/김유혁/항산문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