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lly Elliot에서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한 자아정체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illy Elliot에서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한 자아정체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Billy Elliot에서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한 자아정체감 분석>
1. 빌리 엘리엇 - 엄마
2. 빌리 엘리엇 - 형, 아버지
3. 빌리 엘리엇 - 발레 선생님
4. 빌리 엘리엇 - 게이 친구
5. 빌리 엘리엇 - 가상의 라이벌

<실제 상황에서 여러 관계에 따른 우리의 자아정체감>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자아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동생이 태어나면서 무의식적으로 일어난 경쟁심과, 그와 동시에 접하게 된 ‘학교’ 라는 새로운 사회가 나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세계관의 확장과 또래들과의 접촉은 나의 발달에서 큰 발판이 되었고, 그 때부터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시각이 싹트게 되었다. 또래들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개성과 정체성을 찾게 된 것이다.
보수적인 가정에서의 성장이 부모님 앞에서의 나를 위축시키거나 친구들과의 자유로운 소통에 부담을 주긴 했지만, 가정 밖에서 또래 집단을 이끌어 보기도, 인정을 받기도 하면서 자기 만족감과 동시에 아이덴티티의 전환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7. 친구들과의 관계 속에서 찾은 나
나는 관계 속의 자아정체성이라는 것을 다양한 성향의 친구들을 만날 때 느끼곤 한다. 각각의 친구들마다 나에 대해 다른 정의를 내리고 나 역시 그 친구들을 대할 때 다른 모습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어떤 친구는 나를 성숙하고 어른스러운 아이로 여기는 반면에 또 다른 어떤 친구는 나를 엉뚱하고 어린애 같은 아이라고 생각한다. 전자의 경우에 나는 그 친구와 함께 할 때 주로 조언자나 상담가의 역할을 많이 하고, 내가 말을 많이 하기보다는 들어주기를 더 좋아하는 친구가 되어있다. 반면 나에 대해 후자와 같은 정의를 내리는 친구와 있을 때에 나는 애교 부리기와 장난치기를 좋아하는 수다쟁이가 되어 있곤 한다. 내게는 나를 필요로 하는 친구가 있는 반면, 내가 힘들 때 내가 필요로 하는 친구도 있다. 한 번씩 이렇게 누구와 함께 있느냐에 따라 일치되지 않는 나의 모습을 돌아보면서 정말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곤 했었는데 그 때마다 내가 내리는 결론은 결국 ‘나’ 란 사람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는 유연한 사람이라는 것이었다. 물론 중심에는 절대적인 나의 특성과 성격 등이 자리 잡고 있지만, 그 밖에 많은 것들, 행동이나 자세 마음가짐 등은 모두 관계 속에서 결정 내려진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어른스러운 상담가가 될 수도 있고 때로는 어리광만 피우는 철없는 아이가 되기도 할 수 있는 것 같다.
요약 및 결론
우리 조는 지금까지 ‘나를 찾아서: 자아정체감, 학업, 진로’ 의 주어진 주제에서 ‘자아정체감’이란 부제에, 그리고 광범위하게 정의 내려지고,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는 이 개념에서도 ‘관계’라는 심리적 요인에 착안하여 ‘관계 속의 자아정체감’ 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여 과제를 수행하였다. 도입 부분에서는 우리 조의 발표 취지와 관련된 영화 및 다큐멘터리에 대한 소개를 하였다.
본론에서는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발달)심리적 이론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와 함께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빌리 엘리엇’ 와 연관 지어 분석해보았다. 특히 주인공인 ‘빌리’의 구체적인 관계를 도식화하여 그 각각의 관계에서의 심리적 양상과 자아정체감을 살펴보았다. 또 영화뿐만 아니라 조원들의 실제 ‘관계 속에서의 자아정체감’ 을 모두 모아 본론에서 제시하여 자아정체감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이 우리의 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우리가 내린 결론은 크게 3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자아 정체감의 모습은 전부 달라진다. 즉, 자식으로서의 나, 학생으로서의 나, 친구로서의 나, 선생님으로서의 나의 존재의식은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두 번째, 관계는 소중하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관계는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간에 어떤 형태로든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그 관계라는 존재 자체로서 커다란 심리학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더 나아가 이러한 여러 가지 자아정체감은 보다 다양한 인생이나 사회적 모습을 구성하기 때문에, 우리의 삶을 보다 풍부하게 해 주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은 하나도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여러 학자들이 자아정체감을 하나로 정의하려는 시도를 많이 해 왔지만, 그러한 정의가 모든 인간존재의 자아정체감을 포괄한다고 볼 수는 없다. 사회적 관계는 끊임없이 생성되고 소멸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그 다양성은 필연적이다. 이러한 관계를 단일화 된 잣대(정의)로 평가한다는 것은 정체감의 일부만을 바라보고, 정체감 전체를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우(愚)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의 역시 불가피하다.
이론 출처-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발달심리학 -학지사
청년기의 갈등과 자기이해 - 시그마프레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8.25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