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우시티]슬로우 시티 운동의 이해(정의, 특징, 목적)와 발생배경 고찰, 슬로우시티(slow city)의 기원(그레베)과 국내외 현황 및 슬로시티의 의미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슬로우시티]슬로우 시티 운동의 이해(정의, 특징, 목적)와 발생배경 고찰, 슬로우시티(slow city)의 기원(그레베)과 국내외 현황 및 슬로시티의 의미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슬로우 시티(Slow City) 운동의 발생 배경
1) 느리게 살기(Slow movement) 운동
2) 느리게 살기(Slow movement) 운동의 사회문화적 배경

3. 슬로우 시티(Slow city)의 이해
1) 슬로우 시티(Slow city)의 정의와 특징
2) 슬로우 시티(Slow City) 운동의 기본 규칙
3) 세계 최초의 슬로우 시티 그레베 (Greve in Chianti)
가) 그라베시의 시작
나) 그레베시의 성공요인
4) 세계의 슬로우 시티들

4. 우리나라 슬로우 시티의 지정현황과 의미

5. 슬로우 시티의 진정한 의미와 향후 발전과제

참고자료 출처

본문내용

.
우리나라 슬로우 시티의 지정현황과 의미
우리나라의 슬로시티 도입을 구체적인 활동은 2006년 한국슬로시티추진위원회가 결성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위원회는 학자, 연구자, 기업가 등이 중심이 되어 2007년 6월 위원회의 현지실사를 통해 완도군, 신안군, 담양군, 장흥군이 국내후보지로 선정, 7월에 치따슬로 국제연맹에 가입신청서를 제출하였고, 2007년 9월 6일부터 9월 10일까지 로베르토 안젤룻치(Roberto Angelucci) 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이 파견되어 4개 군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였다. 총 24개 평가항목에 의거한 현지실사와 서류심사를 거쳐 2007년 12월 1일 이탈리아 그레베 인 키안티 치따슬로 국제연맹 총회에서 4개 군이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인증을 받게 되었다. 2009년 현재는 경남 하동군이 가입되어 우리나라에는 5개의 슬로우 시티가 인증되었다.
담양군
신안군
장흥군
완도군
하동군
지역
창평면
중도면
유치면우산지구
청산면
악양면
슬로푸드
죽염된장
한과
소금
함초식품
버섯
전복, 해초
해산물
야생차
대붕곶감
전통산업
죽공예 및
대나무소재의 바이오산업/한과/발효식품
염전/함초
발효식품
지렁이 농법
표고버섯
생 약초
전통적 어업
및 가공 산업
야생차 가공
및 곶감 생산
주요특징
향교
가사문화 남도문학의 본향, 죽세공품
염전
갯벌
생태계
생약초
한방특구
돌담과 오솔길 전통경관보존 유일
양생차밭
넓은 평야와 섬진강
인구
4,300여 명
2,100여 명
1,200여 명
2,500여 명
3,800여 명
우리나라의 5개 군이 슬로우 시티에 지정, 가입됨으로써 세계적인 네트워크에 가입하게 되었다는 것은 나름의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농어촌 지역발전의 의미와 범위가 보다 명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지역발전을 위한 명시적 비전이 조성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슬로우 시티가 지역의 고유성을 규명하고 찾아가는 과정인 만큼 소규모 중소도시와 농어촌지역의 고유성을 발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지방의 중소도시 및 농어촌이 경제자립의 모델로서의 역할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슬로우 시티의 진정한 의미와 향후 발전과제
현재 우리는 “지역개발”과 “지역발전”이라는 명분아래 전국토의 탈정체성화, 탈농어촌화로 지역이 가진 정체성을 버리고 대도시화의 전형을 그대로 닮아가려하고 있다. 모두가 서울만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마 이대로 간다면 20~30년쯤 후에는 우리나라의 전 국토가 세계화, 국제화라는 무대 위에 똑같은 모양을 하고 세워진 이형의 집으로 변모하고 말 것이다. 여기서 슬로우 시티 운동이 지역정체성을 찾고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세계화의 기치아래 펼쳐지는 무역개방과 농어촌 문제, 그리고 환경문제, 지역사회의 정체성 찾기, 새로운 관광지로서의 부각 등의 문제는 그 근본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 각자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사회 만들기야 말로 진정한 슬로우 시티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국수주의나 지역이기주의와 차별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슬로우 시티가 우리나라에서 대안적인 지역 발전 전략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와중에, 많은 지방 자치 단체가 슬로우 시티에 관심을 갖고, 너도나도 이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자본을 유치해 대형 리조트나 골프장, 스키장을 만들어 대중 관광지로 개발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의 때 묻지 않은 자연환경과 전통문화의 느린 체험을 강조하겠다는 새로운 장소 마케팅 전략(place marketing)인 셈이다. 하지만 슬로우 시티를 낳은 슬로우 푸드, 슬로우 무브먼트 운동은 인간적인 속도를 회복해야 한다는 철학을 갖고 탄생한 사회 운동이자 문화 운동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준엄한 문제의식을 간과하고 이를 그저 관광지 홍보나 섣부른 상품화 수단으로만 여긴다면, 지방 자치 단체들의 얄팍한 지역 개발 정책이 갖는 한계는 머지않아 드러나고 말 것이다.
참고자료
‘느림’의 문화, ‘느림’의 여행 -슬로푸드와 슬로 시티, 허남혁, 정은정, 독서평설, 2009. 7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서 슬로우관광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장희정, 농촌관광연구, 2009. 6
한국에 슬로시티 콘셉도입을 위한 탐색, 손대현, 장희정, 제63차 제주학술 심포지엄, 2008. 2
포토 에세이 / 슬로시티 그레베를 꿈꾸며, 김해창, 한국언론재단, [KPF] 신문과방송
슬로시티, http://www.cittaslow.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0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