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경막하혈종(SDH)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경막하혈종(SDH)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된 수면장애
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사정:
“오른쪽 다리가 마비되어서 마음대로 움직일 수가 없어요.”
*객관적 사정:
GCS motor response 1점 측정됨
*단기목표:6월 17일 까지 GCS motor response 가 3점으로 측정될 것이다.
*장기목표:7월15일 까지 모든 관절 운동 범위가 유지 될 것이다.
(근육의 양과 근력이 유지될 것이다.)
*활동정도를 사정한다.
*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저항운동을 가르치고 사지에 적용시킨다.
*필요시 베게 등을 사용하여 신체정렬을 유지한다.
*1~2 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 시켜준다.
*필요시 물리치료사에게 의뢰한다.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매일 환자의 활동정도를 체크했다.
*능동적 관절 운동을 매일 아침, 점심으로 두 번씩 4회 정도 하였다.
*매일 오전에 물리 치료사의 치료를 받게 했다.
*활동수준을 매일 운동을 함으로써 높이도록 격려해 주었다.
*골격근을 사용하지 않으면 크기가 감소되어 정상 기능이 상실 된수 있다. 관절도 주변 조직이 굳어지면서 기능 장애와 기형이 초래된다.
*뼈에 물리적 스트레스를 주어 칼슘의 상실을 막고 근육의 부피를 유지해 주며 근골격계, 심맥 관계의 긴장도를 유지해 준다.
*기능적 체위를 유지시켜야 기능 장애와 기형을 예방할 수 있다.
*6월 15일 motor response 가 2점으로 측정되었다.
재활 치료를 통한지속적인 재 계획이 요구된다.
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사정:
“밤마다 잠이 안와서 수면제를 먹어야 잘 수가 있어.”
*객관적 자료: 환경변화로 인해 밤마다 주무시지 않고 멀뚱히 앉아 계신다.
*단기목표:6월 17일까지 취침 시간 까지 좀 걸릴 지라도 수면제를 드시지 않고 주무실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7월 30일이 되면 수면제를 드시지 않고도 빠른 시간 내에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낮잠을 주무시지 않도록 한다.
*처음엔 수면제의 양을 줄여가면서 수면을 청하도록 한다.
*규칙적인 생활을 계획 하도록 하여서 수면시간도 적당한 시간으로 정해 놓도록 한다.
*낮에 주무시지 못하도록 하였다.
*수면제를 드리지 않고 먼저 수면을 취해 보도록 격려해 주었다.
*규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계획 짜는 것을 도와드렸다.
*낮잠으로 인해 밤에 수면을 취할 수 없으므로 낮잠을 피하도록 한다.
*수면제를 매일 먹으면 습관적이 되어 계속 수면제에 의존하게 되므로 되도록이면 스스로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평소 밤에 수면제 없이 못 주무시던 분이6월 14일 수면제 없이 주무시는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도 규칙적인 생활이 요구 된다.
Ⅲ. 결론
경막하혈종은 두부외상으로 인하여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혈종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대부분이 심한 두부외상후에 발생되어 심한 뇌좌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나 간혹 특히 노년층에서 아주 경미한 외상후에도 발생된다. 경막하혈종을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하는데, 급성은 외상후 48~72시간 이내, 아급성은 3~20일, 만성은 3주후에 경막하혈종의 증상이나 징후를 보일 때를 말한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동반된 뇌좌상에 의하여 수상 직후부터 의식장애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18~20%에서 의식청명기를 보인다. 의식이 있는 경우 심한 두통 및 구토를 볼 수 있으며 처음부터 Cushing현상, 호흡장애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약 반수이상에서 동측의 산동을 보이는 동공부동과 반대측 반신마비를 보이는데 특히 제뇌강직이 있으면 예후는 좋지 않다.
진단방법은 병력상 두부외상의 병력이 뚜렷하고 두통, 구토를 호소하거나 의식변화를 보이며 반신마비와 한쪽 동공의 변화가 있으면 일단 두개강내 혈종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진단상 가장 정확한 검사는 뇌 CT인데 급성 경막하혈종의 음영이 두개골내면에 접하여 넓게 초생달모양(crescent form)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의 상태가 계속 악화되는데 뇌 CT촬영이나 뇌혈관조영술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없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는 시험적 천두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경막하혈종의 치료는 수술로써 경막하혈종을 제거해야 하는데 광범위한 두개골 절제후 경막을 개방하거나 성형하는 외감압술 즉, 두개골절제술 또는 개두술, 천두술로써 혈종을 제거한다. 급성 경막하혈종은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뇌부종으로 두개강내압 상승이 동반되므로 뇌부종에 대한 보존적 요법도 병행해야한다. 수술로써 혈종을 완전히 제거해도 뇌조직이 혈종으로 심한 압박을 받았거나 직접 손상으로 수반되는 뇌부종이 이차적으로 두개강내압을 상승시켜 수술후 경과를 나쁘게 하는 예가 많으므로 수술후 가능하면 24시간 이내에 뇌 CT촬영을 하고 수일 내에 반복 추적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외상성간질의 예방 목적으로 전 환자에 항경련제를 최소한 1년이상 투여하는 것이 좋다.
급성 경막하혈종의 예후는 동반된 뇌손상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경막외혈종에 비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뇌내혈종이 합병된 경우, 수술전 의식장애가 심했던 경우, 고령자 등의 예후는 나쁘다. 사망률이 50%이상이며 생존한 경우도 후유증 등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신경외과 중환자실 실습을 하면서 다소 어려워 하던 신경파트의 공부를 다시 할 수 있어서 좋았다. 헷갈리기도 하고 부담스럽던 신경계 파트의 케이스 공부를 하고 나니 더 잘 이해가 되었다.
내 스스로가 문제점을 찾아 진단을 내리고 그 진단을 나아가기 위한 계획 및 수행, 비록 그 수행을 아직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환자의 질병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끼치지는 못하지만 환자의 안위도모와 건강을 안녕을 위해 애쓰다 보니 마치 내가 간호사가 되어 수행하는 것처럼 느껴지기까지 했다.
눈에 띄게 좋아질 순 없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나아져 가는 환자의 모습을 보니까 왠지 모를 뿌듯함이 느껴졌다.
*참고문헌
전시자 외 공저 성인 간호학-하, 현문사 2005
고일선 외 편저,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9
모스비사전 현문사
http://kimsonline.co.kr
http://www.hidoc.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9.11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