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언어 의미론 견해][언어 의미론 특성][언어 의미론 연구 내용][언어 의미론][어휘론]언어의 의의 고찰 및 언어 의미론의 견해, 언어 의미론의 특성, 언어 의미론의 연구 내용, 언어 의미론과 어휘론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언어 의미론 견해][언어 의미론 특성][언어 의미론 연구 내용][언어 의미론][어휘론]언어의 의의 고찰 및 언어 의미론의 견해, 언어 의미론의 특성, 언어 의미론의 연구 내용, 언어 의미론과 어휘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언어의 의의

Ⅲ. 언어 의미론의 견해와 특성
1. 언어의 형식과 내용
2. 의미론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
1) 지시설
2) 개념설
3. 언어 의미론의 특성
1) 추상화
2) 자의성
3) 이원성

Ⅳ. 언어 의미론의 연구 내용
1. 은유와 혼성
2. 의미 관계
3. 문법 의미의 분석

Ⅴ. 언어 의미론과 어휘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기를 보자.
장애인
(1) 신체가 부자연스런 사람
(2) 신체가 부자연스러워 차별받고 억압받는 사람
장애인에 대한 첫 번째 의미 분석이 기존 의미론이 보통 지향하는 의미분석이거나 전제가 되는 한 예가 되고 두 번째 의미가 우리나라의 장애인 정책과 특정 계층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대우. 등을 고려한 담론적 의미 분석이다. 그럴 경우 두 번째 의미에서 밑줄 친 부분과 같이 담론적 의미는 기존 의미론의 의미 분석이 전제되거나 연계되어 있다.
이 연계성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논하기로 하고 다음으로는 어휘론 분야에서 따져보자. 의미론과 어휘론은 김광해에서의 지적처럼 동전의 앞 뒤 관계로 특히 어휘 의미 연구는 어휘론 연구의 기본이 된다. 그런데 기존 어휘론의 여러 논의는 역시 우리 사회에서의 역동적인 어휘 양상을 보여주는데 한계가 있다. 추상적인 의미 분석이나 보편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여러 어휘 양상을 파악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어휘 관계 연구만 보더라도, 김종택에서 정리한 대로 동음어, 동의어, 유의어, 다의어, 위상어, 관용어 등의 의미 연구는 의미 자질의 분석을 통한 의미 표준화 작업이 선행된 후라야 가능하다라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의미표준화 작업이 보편적 의미 분석을 뜻하는 것으로 담론에서는 이러한 작업이 무의미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런 접근 방식의 한계를 살펴보자. 김광해에서 노동자에 대한 유의어를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노동자(勞動者) (명) 일꾼, 노공(勞工), 근로자(勤勞者), 노인(勞人), 노역자(勞役者), 노무자(勞務者), 노동꾼
위와 같은 유의어 설정은 각 어휘의 다양한 쓰임새를 은폐시킬 수가 있다. 심지어 노동자와 근로자는 우리 현실에서는 대립적 양상 속에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그 차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논의함). 다음으로는 반의어를 통해 다시 검증해 보자. 이를테면 기존 어휘론에서 반공과 용공은 반의 대립어로 설정된다. 그러나 실제 남한 사회에서 과연 반의 대립어인가. 그렇지 않다. 반의 대립어라면 늙었다 -어리다에서의 젊다처럼 중간항 설정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의 국가 권력에 의하면 반공이 아니면 용공이 된다. 곧 상보 대립어로 쓰인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런 실상을 그대로 인식시켜 주는 것이 진정한 사회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만약에 교육 현장에서 실제 현실은 상보 대립어인데 그것을 반의 대립어로 가르친다면 그것은 현실 왜곡이 되면서 모순을 은폐하거나 확대 재생산하는 구실을 하게 된다.
유의어 문제도 마찬가지다. 기존 어휘론에 의하면 반공과 반정부는 전혀 유의어로 구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지배(반공, 극우)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반정부=반공이라는 등식이 얼마든지 성립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독재 권력에 의해 반정부 민주 인사들이 반공주의자로 몰려 숱한 고통을 당한 것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이런 절박한 우리의 현실 속에서 반정부가 반공가 유의어가 되는 맥락을 설명해 주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물론 기존 어휘론의 많은 성과를 부정하고자 하지 않는다. 이를테면 개념적 의미를 바탕으로 설정한 여러 어휘 양상은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의 전제가 되기도 하고 교육 과정에서 어휘력 확장에 많은 기여를 하기도 한다. 곧 지금까지 어휘론이나 의미론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우리 삶 속에서 역동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어휘의 세계에 꽤 소홀한 느낌이다. 이를테면 사전적 의미를 바탕으로 한 고정적인 어휘 체계에 한정시켜 논의가 주로 이루어져 그러한 어휘가 우리 삶 속에 어떤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지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의 어휘 선택 문제는 어휘 자체의 추상적인 고정된 의미보다도 실제 삶 속에서 어휘를 선택하는 역동적 상황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어떤 어휘가 우리 삶의 실천 과정 속에서 어떤 관계를 맺고 작동하는지가 중요한 논의라는 것이다. 어휘 담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봉주, 개념학: 의미론의 기초, 한신문화사, 1988
◈ 노대규, 국어 의미론 연구, 국학자료원, 1998
◈ 신현숙, 담화 의미 연구의 방향, 국어의미론학회 창립기념 학술대회, 6,20 발표요지, 1997
◈ 이익환, 의미론 개론, 한신문화사, 1995
◈ 임지룡,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2
◈ 조의연, 의미란 무엇인가?: 인지의미론과 해체주의, 담화와 인지 제2권, 담화?인지 언어학회, 1996
◈ G. 레이코프 저, 이기우 역, 인지의미론 한국문화사, 1994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