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언어학][순화 용어][순화 용어의 과제]사회언어학의 정의, 사회언어학 학자에 따른 사회언어학의 문제, 사회언어학에서 본 순화 용어의 문제, 사회언어학에서 본 순화 용어의 과제 분석(사회언어학, 순화용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언어학][순화 용어][순화 용어의 과제]사회언어학의 정의, 사회언어학 학자에 따른 사회언어학의 문제, 사회언어학에서 본 순화 용어의 문제, 사회언어학에서 본 순화 용어의 과제 분석(사회언어학, 순화용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언어학의 정의

Ⅲ. 학자에 따른 사회언어학의 문제
1. 장-끌로드 슈발리에
2. 질 포코니에
3. 장-끌로드 밀르네

Ⅳ. 사회언어학에서 본 순화 용어의 문제

Ⅴ. 사회언어학에서 본 순화 용어의 과제
1. 순화 작업 준비 단계
2. 순화 작업 및 보급 단계
3. 순화 작업 확인 단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층 등의 면에서 정밀히 파악하고, 화자들이 순화 대상어와 그것의 순화 필요성에 대하여 가지는 태도를 조사한다. 또 순화 대상어를 씀으로써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관점에서 어떠한 부정적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순화 대상어 선정의 우선 순위, 순화 대상어의 보급 범위, 순화어의 형태의미 구성의 방향, 순화어의 사회 언어학적 특성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2. 순화 작업 및 보급 단계
순화어로 가능한 후보를 찾거나 새로 만들어 내고, 그러한 순화어 후보에 대한 화자들의 태도 및 선호도 조사, 국어학사회 언어학 전문가들을 통한 순화어에 대한 정밀한 검증 작업을 거쳐 순화어를 결정한다. 순화어를 만들고 검증하는 과정에서는 국어학적 관점뿐만 아니라 우리의 언어 문화적 특성, 사회 언어학적 및 사회 심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정한 순화어는 쓰임 갈래별, 사용 계층별 분류를 통하여 학교 교육에 적용하거나 특정 전문 분야 종사자들에게 보급하고, 나아가 언론을 통해 일반 화자들에게 기본적인 순화어를 공개하고 보급하여야 한다. 국어 순화와 국어 교육 담당 주체가 분리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학교 교육 과정에 순화어가 포함되어 적극적으로 교육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의 긴밀한 협조 체제가 유지되어야 하고,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순화어를 널리 알릴 뿐만 아니라 앞장서서 순화어를 쓰도록 노력할 책임이 있다. 순화해야 할 ‘문제 있는 말들’을 일반 화자들이 가장 먼저, 쉽게 접하는 곳이 신문방송 등의 언론 매체이기 때문이다. 또한 순화를 맡은 정부 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갈래별 순화어 목록을 작성하고 통합 순화어 사전을 만들어 화자들이 일상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지금처럼 적은 부수의 자료집을 무계획적으로 어지럽게 발간하여 배포하고, 개정이 쉽지 않은 국어 대사전에서 순화 대상어 항목의 풀이 끝에 간단한 순화어 표시를 붙이는 방식으로는 국어 순화 작업이 크게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3. 순화 작업 확인 단계
각급 학교, 전문 직업 분야, 일반 화자들의 언어생활에서 순화어가 어떻게 보급되고 얼마나 확산되어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순화어의 교육 및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쓰임 빈도와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순화 대상어의 순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미 순화한 말 가운데서도 화자들에게 제대로 수용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순화 대상어 선정이 잘못된 탓인지, 아니면 적절한 순화어가 마련되지 못한 탓인지를 분석해 냄으로써 2차적 순화 과정에 다시 들어갈 필요가 있다.
국어 순화를 효과적으로 전개하여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순화 작업의 준비 단계부터 화자들의 생각을 모을 수 있는 상시적인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순화 작업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충분한 인력과 기구가 필요하다. 순화 작업의 주체가 어디이든 간에 지난 시기처럼 한두 사람의 국어학자들에 의해서 순화어가 만들어지고, 성급하게 결정되어서는 순화어 작업이 성공하기 어렵다.
순화어의 보급 단계에서는 각종 국어 생활 관련 시민 단체의 지원을 받는 것도 좋을 것이며, 이를 위하여 관련 단체의 활동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우리의 검토와 제안은 앞으로도 계속적인 국어 순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나온 것이다. 다른 자리를 통하여 국어 순화의 필요성, 국어 순화의 효과 등에 대하여 상세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복잡한 21세기를 살아가면서 앞으로는 우리말에 대한 맹목적인 사랑만으로 순화 작업에 달려들어서는 안 될 것이기 때문이다. 태풍처럼 거세게 몰려드는 다양한 외래어와 외국어, 인터넷 통신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외래어 바탕의 새말들은 세대 간의 의사소통을 단절할 정도로 이젠 우리말에 대한 현실적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국어 순화 작업은 우리말을 아름답게 꾸미고 가꾸는 ‘호사’가 아니라 국어 화자들 사이의 교류와 이해, 그리고 우리말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임이 분명하다. 빠르게 전개되는 우리말 사용 환경의 변화 때문에 국어 순화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배경 이론적 연구가 더 필요하며, 그러한 튼튼한 바탕에서 순화 작업도 힘을 얻게 될 것임을 강조한다.
Ⅵ. 결론
사회언어학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언어학에는 사회학적인 관심사도 포함되고 언어학적인 관심사도 포함된다. 또 인류언어학이나 민족지언어학이란 이름 밑에서 행해져 오던 연구들도 포함된다. 거기다가 심리언어학의 영역에 속하는 연구들도 동시에 사회언어학의 논문으로 간주된다. 한마디로 사회언어학은 그 영역이 매우 넓고 또 어떻게 보면 잡다하기 조차해서 그 경계를 어디서 긋고 하위분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생긴다. <언어사회학>이라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으로 대규모의 사회적 요인을 다루는 분야로 소수민족의 언어, 이중언어 현상의 발달, 언어의 표준화, 신생국가의 언어개혁 등 실용적인 문제를 주로 관장하는 영역이며, 언어구조의 연구를 목표로 하는 일반언어학과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언어에 대한 기능적 연구를 지향하는 영역으로 특정 문화안에서의 언어 사용의 유형, 화자가 적절한 말을 선택하는 규칙, 화자와 청자 및 주제, 채널, 배경(setting)간의 관계 등을 주된 관찰대상으로 삼는다. <일반언어학>의 틀을 유지하여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에 걸쳐 언어규칙 만들기를 추구하면서 언어를 언어 공동체의 사회적 문맥에서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서로 주고받는 모습으로 관찰하는 영역이다. 이렇듯 사회 언어학은 우리 언어학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에 위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박영순,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2001
서승진, 언어학, 그 이론과 응용, 영한출판문화사, 1991
이익섭, 사회언어학, 서울 : 민음사, 2001
앤터니기드슨 저, 김미숙 외 역,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1998
장흥권, 일반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2000
Ben Crane,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1998
Nancy Bonbillain, 문화와 의사소통의 사회 언어학, 한국문화사, 2002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9.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