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융의 성격유형검사][구비문학][융과 프로이드][융의 분석 심리학][놀이치료]융의 이론, 융의 의식 분류와 융의 성격유형검사, 융과 구비문학, 융과 프로이드, 융의 분석 심리학에 기초한 놀이치료의 사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융][융의 성격유형검사][구비문학][융과 프로이드][융의 분석 심리학][놀이치료]융의 이론, 융의 의식 분류와 융의 성격유형검사, 융과 구비문학, 융과 프로이드, 융의 분석 심리학에 기초한 놀이치료의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융의 이론
1. 분석 심리학
2. 동시성 이론

Ⅲ. 융의 의식 분류와 성격유형검사
1. 융의 의식 분류
2. 융의 성격유형검사

Ⅳ. 융과 구비문학

Ⅴ. 융과 프로이드(프로이트)

Ⅵ. 융의 분석 심리학에 기초한 놀이치료의 사례
1. 분석적 미술치료
1) 융
2) 융학파
2. 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정의
2) 미술치료의 목표
3) 미술치료의 효과
4) 효과적인 미술치료 과정
5) 미술치료자로서의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하고 있다. 이는 비교적 초기의 지적인데도, 원형이론 이후에도 여전히 통용되는 내용이다.
C.G.융은 신화에 있어 민족적 인종적인 차이를 넘어 거의 전형적으로 유사한 표상들이 등장함을 주목하면서 1920년경부터 집단무의식에 대한 연구를 해오다가 1928년부터 원형이론들을 본격적으로 소개하기 시작한다. 계속적인 원형의 연구를 통하여 신화나 민담 등을 형성하는 신화소(神話素)가 정신의 구성요소인 원형들(Archetypen)과 관계있음을 밝히게 된다. C.G.융은 1940년 신화학자 케레니 K.Kerenyi와 더불어 쓴 책 신화의 본질에 관한 입문에서 어린이 원형에 관한 심리학 Zur Psychologie des Kinderarchetypus을 발표하였으며, 1946년 민담에서 나타난 정신의 현상 Zur Phanomenologie des Geistes im Marchen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C.G.융은 신화와 민담이 정신의 자발적인 현상으로써, 말하자면 정신 그 자신이 심상적으로 드러난 것으로써 해명한다. 이러한 자발적인 정신의 산물은 한 개인의 정신적 산물이 아니라, 인류의 집단정신에서 비롯된 것으로 C.G.융의 제자인 폰 프란츠M.-L.von Franz여사는 누구보다도 신화와 민담에 눈을 돌려, 수많은 신화와 민담에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가한 저서들을 내놓았다. 민담의 상징 Symbolik des Marchens(1952/1986)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민담들의 공통적이며 전형적으로 등장하는 모티브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녀의 민담해석의 입문은 융학파 정신분석가들 뿐 아니라, 다른 일반인들에게도 고전적인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창조신화, 민담에서의 그림자와 악, 민담에서 나타나는 구제의 모티브, 민담에서의 여성성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그녀의 저서들 대부분이 민담이나 신화를 중심으로 분석심리학을 다루었다. 폰 프란츠의 제자인 이슬러 G.Isler는 스위스의 알프스 산악지대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전설에 눈을 돌려 분석심리학적 이해를 시도한 알프스 낙농가의 인형 Die Sennenpuppe을 내놓았다. 이처럼 분석심리학은 20세기를 지나면서 구비문학을 이해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으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Ⅴ. 융과 프로이드(프로이트)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심리학자에 대한 기억을 떠올린다면 십중팔구 대부분의 사람들은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를 기억해 낼 것이다.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프로이트만큼의 대중적인 인지도는 없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그 또한 그만의 깊은 세계를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융은 프로이트가 가장 아끼는 동료이자 제자였다. 이후 프로이트와 융이 결별을 선언한 후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을, 융은 <분석심리학>을 심리학 분야에서 개척하였다. 그러나 프로이트가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반면에 융은 많은 이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이름으로 남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의 세계는 프로이트의 세계로 환원될 수 없는 그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Ⅵ. 융의 분석 심리학에 기초한 놀이치료의 사례
1. 분석적 미술치료
1) 융
개인적인 요소와 원형적 요소( 집단 무의식)의 통합과 내담자와 치료, 자간에 상호관계 형성과 통찰의 의미로 사용
○ 능동적 심상화 active imagination 기법에 대해서 강조
- 내담자의 작품 : 종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감정적인 면과 지적인면을 모두 종합해 여러 시각에서 봐야한다고 주장
○ 능동적 심상과 미술을 구분하여 정의
○ 능동적 심상과 꿈을 구분
○ 심상을 강조
○ 능동적 심상
- 심상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현재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심상들을 의식으로 충분히 볼 수 있다.
- 능동적인 심상을 표현함으로써 자신도 모르는 내적인 심상을 인지하게 된다 주장≪논리에서 능동적 심상화를 내성법 이라고 정의≫
- 능동적 심상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토론
○ 무의식적 심상 : 인간에게 대단한 책임을 지우고 있다고 했다
2) 융학파
인간의 내적 및 외적 실체에 대한 근원적인 통찰을 이끌어 내는 매개체로써 그 근원적인 실체의 상징으로서 심상을 다루고 있다.
○ 융학파의 치료자
- 내담자들로 하여금 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그림을 통해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를 미술활동을 통해 통찰을 얻었다.
- 나움버그 : 직접 미술활동을 통해 치료의 효과를 확신하여 미술과 치료를 통합한 인물
2. 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정의
자기 자신이 미술활동이라는 치료활동에 스스로 참가해야 하는 역동적인 치료방법
2) 미술치료의 목표
미술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숨겨진 자원(근원)찾고 이해와 성장을 변형시키는데 있다.
3) 미술치료의 효과
○ 그림을 그리는 형상화 자체에서
○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 수반되는 상상과정 및 상징화 과정에서
○ 대화 과정과 해석 과정에서
○ 그림을 그리면서 또한 그림을 그린 후의 대화를 통해서
치료사와 환자 또는 집단원과 환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만남과 관계의 과정에서 얻을 수 있다.
4) 효과적인 미술치료 과정
○ 관계의 과정 : 신뢰관계를 조성
○ 대화과정 : 공감적 대화 분위기를 통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내용을 연결하는 그림에 이미 조형화된 메시지를 다시 한 번 의식화 하는 것
○ 상징화 과정 :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그림을 그리기 전과 그리는 동안 자신의 상상에서 포괄적인 맥락에서 자신의 문제를 보는 것
○ 형상화 과정 : 개인의 외적이며 내적인 영역을 조직화 하는 것
5) 미술치료자로서의 역할
○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역할
○ 보조자로서의 역할
○ 격려자로서의 역할
참고문헌
1. 매기하이드(2002), 융 하룻밤의 지식여행, 서울 : 김영사
2. 이혜숙 역(1998), 융의 집단 무의식, 현대사상의 키워드
3. 에드워드 암스트롱 베넷(1997), 한권으로 읽는 융, 도서출판 푸른숲
4. 융 심리학 입문, 범우사
5. C.G. 융, 심리학 해설, 홍신문화사
6. C.G. 융, 융 무의식 분석, 도서출판 선영사
7. C.S. 홀, 최현 역(1998), 융 심리학 입문, 서울 : 범우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