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전북)의 도시와 자연환경, 전라북도(전북)의 라디오방송, 전라북도(전북)의 동각, 전북지역(전북)의 일자리창출과 경제발전, 전라북도(전북)의 테마관광활성화, 전라북도(전북)의 전략산업육성전략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라북도(전북)의 도시와 자연환경, 전라북도(전북)의 라디오방송, 전라북도(전북)의 동각, 전북지역(전북)의 일자리창출과 경제발전, 전라북도(전북)의 테마관광활성화, 전라북도(전북)의 전략산업육성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라북도(전북)의 도시
1. 전주시(全州市)
2. 정주시(井州市)
3. 익산군(益山郡)
4. 남원군(南原郡)
5. 고창군(高唱郡)
6. 이리시(裡里市)

Ⅱ. 전라북도(전북)의 자연환경

Ⅲ. 전라북도(전북)의 라디오방송

Ⅳ. 전라북도(전북)의 동각

Ⅴ. 전북지역(전북)의 일자리창출
1. 지자체
1) 자활근로가 공동체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
2) 기초생활보장기금 등 금융지원체계의 안정적 자리매김이 필요
3) 공공근로사업의 지속과 민간위탁의 확대가 필요
2. 민간
1) 공동사업의 모색이 필요
2) 수익창출에 대한 고민이 필요
3) 지역사회협동조합모델의 고민이 필요
4) 지자체 견인의 노력이 필요

Ⅵ. 전북지역(전북)의 경제발전
1. 전북지역의 발전여건 분석
1) 강점요인
2) 기회요인
3) 약점요인
4) 위협요인
2. 전북의 지역경제성장 전략탐색
1) 기존 기반산업의 지식산업화
2) 문화산업 및 관광산업의 육성

Ⅶ. 전라북도(전북)의 테마관광활성화

Ⅷ. 전라북도(전북)의 전략산업육성전략
1. 정책적 차등지원전략
2. 국가균형발전 방안
1) 『선택과 집중』전략의 지속 추진으로 국가 균형발전 완성
2) 지역별 기능집중화로 지역발전 특성의 명확화(1지역 1수도기능화)
3) 서울광역시로 명칭전환
3. 전북의 수도기능화 전략
4. 정책결정 및 추진주체 역량확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합한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따라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분권은 권역별 전략산업 선택 및 국가정책기능의 분화를 통한 거점육성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다.
1) 『선택과 집중』전략의 지속 추진으로 국가 균형발전 완성
지역별 전략산업 육성전략의 지속화가 필요하다, 전북지역의 경우 자동차부품 및 기계 산업을 핵심전략산업으로 선택했으므로 이에 대한 집중화전략이 장기적 전망을 가지고 지속되어야 한다.
2) 지역별 기능집중화로 지역발전 특성의 명확화(1지역 1수도기능화)
특정기능과 관련된 사회적 요소의 집중화로 지역특성이 명확해질 수 있다.
3) 서울광역시로 명칭전환
서울을 여타지역의 중앙조직으로 지역계층구조의 정점에 둘 것이 아니라, 지역별로 특화된 거점도시의 한 축을 이루게 함으로써 국가의 균형발전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특별시 대신 광역시로 동일화해야 한다.
3. 전북의 수도기능화 전략
국가균형발전의 큰 맥락에서 국가기능의 지방분권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따라 타 지역에 비해 절대적 우월성을 가지고 지역의 기반을 다져온 농업·생물·생명 분야에 대한 국가정책의 중추기능을 담당할 국가 중추기능으로서의 전북의 역할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즉, 생물, 생명, 식품, 한의약 등 포괄적 농업분야 정책집적화를 추구하자는 것이다. 전국을 권역별로 구분해 1지역 1수도기능화 할 경우 전북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우위에서 스스로 차지할만한 국가기능은 이 지역이 오랜 기간 농업생산의 중요한 기반이 되어 온 농업관련 산업 및 정책을 집적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농업과 관련된 국가기능을 전북지역에 총집결함으로써 집적의 산업효과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이 전략은 전북지역을 Multi-Agribusiness Area로 발전시키는 전략으로써 정부부처의 하나인 농림부를 중심기능으로 유치하고, 농림부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의 집적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농업관련 국가기관, 국책연구기관, 국책사업 추진기관, 금융기관, 기업체 등을 한 덩어리(Cluster)로 묶는 것이다.
중앙행정기관과 입법부 등 국가권력의 핵심부를 이전하는 행정수도의 이전에만 치중할 경우 신행정수도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수도권 확대를 초래해 또 다른 지방의 소외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으로의 권한 이양과 국가의 공공기능을 지역으로 분산시키는 일이 병행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즉, 입법·사법·외교·국방 및 중앙정부의 핵심기능 등 순수국가사무 기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행정수도를 형성하는 것이 현재와 같은 수도권 비대화라는 기형적 국가구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중앙정부와 국가의 기능을 분야별로 구분해 국가정책기능을 지역별로 분산하는 기능별 국정 Cluster Map이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의 바람직한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오창근, 2003)
4. 정책결정 및 추진주체 역량확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의 전략산업 육성정책이 아무리 훌륭한 대안으로 제시된다고 할지라도 실제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결정 위치에 있는 고위공무원이나 실무공무원이 변화를 통한 지역발전을 추구하려는 혁신적 마인드를 갖추지 않거나 지방자치단체의 전략산업 육성에 대한 적극적 의지가 부족할 경우 변화지향적인 지역혁신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공무원의 혁신지향적 마인드 형성만으로는 혁신적인 정책의 결정과 집행을 보장할 수 없다. 전라북도의 경우 지역의 경제정책이나 산업정책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고질적 현상중의 하나는 지역사회 구성원이 지나치게 행정기관이나 공무원의 재량적 활동범위를 제한해 왔다는 점이다. 예컨대, 행정활동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힘을 지닌 집단들이 각종 지역경제 관련 정책집행에 대해 행정기관을 격려하거나 협력하기보다는 편협 된 이기주의나 소속집단 중심의 소아병적 소집단이기주의 시각에서 비난하는데 앞장서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무원들은 시행착오를 각오하는 모험이나 도전을 통한 혁신보다는 정책결정이나 사업집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실수나 실패의 두려움 때문에 적극적으로 일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이것이 결국은 무사안일로 흘러 지역혁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는 지역혁신을 통한 지역산업 진흥을 위해서 자치단체 고위관료나 공무원들은 혁신을 통해 발전적 변화를 추구하려는 적극적 마인드는 물론, 이 같은 마인드가 실행될 수 있도록 자율적 판단과 활동을 보장하는 제도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해결해 주려는 대응적 책임성(Responsibility)을 확보하는 일이 선결되어야 한다. 특히 행정역할의 변동, 사회적 변화와 그에 따른 대응적 책임성, 변화대응능력, 적극적 행정 등에 대한 마인드를 형성하도록 공무원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전제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시민사회, 의회, 언론)의 적극적 지지와 인내를 통해 지역사회 역량을 총집결해 시급한 현안들을 하나씩 풀어나가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현재 전라북도의 사회·경제적 수준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고 치료하는 기능보다는 변화를 주도하고 발전을 이끌어갈 관주도의 적극적 행정과 지역사회 구성원의 총체적 지지 및 역량결집이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 Positive한 성격의 NGO활동이 시민사회를 통해 자치단체의 정책에 대해 지지와 역량을 모아주는 활동이 활성화될 경우 자치단체활동의 폭을 제한하는 비판일변도로 사회적 시각과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내 고장 전북의 뿌리, 전라북도, p.574·1055-1056
◎ 산업연구원, 전북생물산업 육성방안, 2000
◎ 산업연구원, 전북지역 자동차부품 및 기계 산업 육성방안, 2001
◎ 전라북도, 전라북도 관광종합계발 계획, 1988
◎ 전라북도, 전북통계연보, 2000
◎ 전라북도 R&D기획·평가팀, 전북테크노파크 조성을 위한 연구, 2003
◎ 한국의 발견-전라북도, 뿌리 깊은 나무, p.129-131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