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교사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크라테스( Socrates, 469-339 B.C.)

2. 플라톤(Platon,427경-347 B.C.

3. 루소(Jean Jacques Rousseau,1712~1776)

4. 퀸틸리아누스(Marcus Fabius Quintilian,35~95경)

5. 페스탈로치(Johann Heinlich Pestalozzi, 1746~1872)

6. 헤르바르트(Johann Friedrich Herbart,1776~1841)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원하는 생각
④정의의 이념(die ldee des Rechts): 다른 의지와 상충하지 않고 조화롭게 해결되어야 한다는 생각
⑤공정의 이념(die ldee den Biligkeit): 의지에 따른 행동에는 언제나 행, 불행 등의 상당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는 생각
따라서 위의 이념이란 의지를 경정하는 생각의 체계들이므로 의식적인 교수에 의해서 가르칠 수 있고, 도덕적 행동은 결국 지적인 교육, 즉 생각의 효과적인 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헤르바르트를 주지주의적 교육자라고 비판하는 것은 바로 이 점에서 이다..
그런데, 이 같이 교육의 최고 목적을 도덕성에 두고, 그 핵심을 의지에 두었으며, 의지의 교육은 이념, 즉 생각의 교육이라는 지적 교육으로 연결되었었다. 그러나 헤르바르트는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는 길의 가장 직접적인 교수 목표는 다방면의 흥미를 내세우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교육이란 흥미를 요구한다. 즉, 지식이나 생각의 교육은 흥미가 없으면 잘 되지 않고, 또 학생이 그 생각에 대해 흥미를 갖고 좋아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으면 생각을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흥미란 결국 생각을 행동으로 만들게 하고, 의지를 낳게 할 뿐 아니라, 그 생각 자체를 잘 소화하게 하는 힘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흥미는 헤르바르트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그는 교수를 교육적 교수와 비교육적 교수로 구분하면서, 단순히 지식 기능만을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흥미를 통하여 의지를 도야하고 그것을 통해 그것을 통해 도덕적 품성에까지 도달하는 교육만을 비교육적 교수라고 한 것으로 보아도, 흥미가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용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 방법론의 핵심은 어떻게 흥미를 생기게 하여 아이디어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가 하는 것인데, 이것은 그의 심리학설인 연상주의(associationism)에 기초하고 있다. 즉, 종래의 능력 심리한은 인간의 의지, 감정, 지력이 각기 분할된 제능력으로 작용한다고 본 데 반하여, 헤르바르트는 연상주의자로서 마음은 아이디어의 상호 작용으로 생겨나는 것이며, 분할된 능력이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감정, 의지 등의 정신 작용은 따로 능력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념의 결합과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다라서 전이라든가 형식도야설은 인정치 않았다.
물론 헤르바르트 이전에 연상심리적 견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멀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시작하여 토마스 브라운(Thomas Brown,1778∼1820)등이 계속해서 있었지만, 헤르바르트의 연상주의는 이들과 다른 점을 지니고 있었다. 즉, 헤르비르트에 있어서는 관념이 단순한 관념이 아닌 선별력과 선발력, 활동력과 역동성을 가진 성격의 것이어서 학습이란 관념들의 능동적 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본 것이다. 즉, 관념들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는 쾌감이 생기고, 갈등을 이룰 때는 불쾌감이 생기는데, 쾌감을 일으키는 관념의 조화는 흥미를 일으키고, 흥미는 욕망을, 욕망은 의지로 인다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새로운 관념이 학습의 대상으로 제시되었을 때는 언제나 그 관념은 이미 가지고 있는 다른 관념과의 관계에서 이해되고 학습되며 그 때에만 흥미가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흥미를 일으키는 방법은 연상적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연상적 방법에 의해 흥미를 유발하는 방법이 그의 유명한 교수의 형식단계설(4단계)의 기초가 된다. 즉, 흥미가 발동할때의 심적상태는 전심과 치사로 나누는데, '전심'이란 일정한 대상에 주의를 집중하여 다른 대상을 의식에서 배제하는 상태를 말하고, '치사'란 의식 속에 있는 많은 표상을 결합하고 통일하는 작용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상태는 각각 정지적인 것과 진동적인 것으로 구분하며, 이것이 합쳐서 소위 4단계 교수설을 이룬다. 그러나 헤르바르트는 이 단계를 무슨 내용이나 똑같이 기계적으로 따라야 한다고 하지는 않았다. 그가 제안한 4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명료(Klarheit): 진심이 정지적으로 되어 제시된 사물이 명료해지는 단계
②연합(Assoziation): 전심이 하나의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 옮아가는 것으로, 그 결과 신관념과 구관념이 관련되어 흥미가 생기는 단계
③계통(System): 전단계에서 상기된 많은 대상이나 관념들 사이에 일정한 질서를 부여하여 일반화시키는 단계
④방법(Methode): 그리하여 얻어진 일반화를 활용하는 것으로, 일반화로부터 연역적으로 다룰 사실을 알아낸다든가 기존 지식 체계 속에서의 관계를 파악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같은 4단계는 헤르바르트파의 질러(Tuiskon ziller, 1817∼1881)와 라인(Wilhelm Rein, 1847∼1929)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5단계로 수정되어 각국에 퍼졌다.
①예비(Preparation): 이 단계는 가르치려는 내용과 관련 있는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을 환기함으로써 교재에 대하여 흥미를 일으켜 준비시키는 과정
②제시(Presentation): 교재를 도입하는 단계
③비교(Comparison): 신·구 개념을 비교하여 신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단계, 헤르바르트의 연합과 같은 단계
④개괄(Generalization): 헤르바르트의 계통과 비슷한 단계
⑤응용(Application): 헤르바르트의 방법과 비슷한 단계
그러나, 헤르바르트는 교육의 방법으로서 교수외에 관리나 훈련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관리'란 교수나 훈련을 효과 있게 하기 위한 소지를 준비하는 단계의 교육인데, 이것은 아동이 아직 자연적·맹목적 욕망이나 행동을 규제하지 못할 때 외부적 권위에 의하여 규제되는 것을 말한다. '훈련'이란 교재나 아이디어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아동의 정서와 도덕적 품성을 도야한다는 점에서 교수와 다르다. 또한 '관리'가 일시적이고 준비적인 데 비해, '훈련'은 영속적인 방법이며, 적극적이고 내면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므로, 교수는 지적인 접근인데 비하여, '훈련'은 비지적 접근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서양 교육사 연구
서양 교육사 신론
교육이론의 선구자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9.10.1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