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포스터의 기호학적분석>'오!수정'이항대립쌍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포스터의 기호학적분석>'오!수정'이항대립쌍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시대별로 변화된 여성 이미지와 이데올로기
1) 범주화에 따른 멜로 영화 포스터의 유형
2) 영화 포스터 유형에 따른 여성 이미지 변천
3) 신화 분석과 그레마스 개념을 통해 본 영화 포스터의 여성 이미지
(1) 수동적인 여성 이미지:「오! 수정」―신화 분석
(2)「오! 수정」포스터 언어 기표와 기의의 함축의미
(3) 그레마스의 기호 개념 및 구조 분석
① 표현면의 분석
―「오! 수정」포스터의 표현면에서의 이항대립쌍
② 내용면의 분석
―「오! 수정」포스터의 내용면에서의 이항대립쌍
③ 표현면과 내용면의 기호­상징적 관계
―「오! 수정」포스터의 표현면과 내용면에서의 이항대립쌍

3. 결론

본문내용

살펴보자. 명암과 색은 인물들이 차지하는 부분과 배경이 차지하는 두 부분을 구분 지어 볼 수 있는데, 인물들이 위치한 부분은 전체적인 명암처리가 어둡고 검은빛을 띄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배경은 그에 비해 밝고 환하게 처리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거의 흰색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흑과 백, 검은색과 흰색의 대비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둡고 답답하고 거친 상태를 나타내는 검은색의 영역에 존재하는 인물들을 살펴보자. 이들은 현재 포옹과 키스를 나누고 있는 상태로 현재 /사랑/하는 연인 사이로 볼 수 있다. 그와 달리 배경을 이루고 있는 상태의 여성은 벌거벗은 상태로 누워 있고 이 여성과 대비되는 또 다른 인물이 등장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의/욕망의 대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오! 수정」포스터의 내용면에서의 이항대립쌍
내용면
사랑
욕망
문화
자연
한편 두 남녀의 상태는 현재 의복을 착용한 /문화/적인 상태지만, 배경에 존재하는 여성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의복을 착용하지 않은 /자연/적인 상태이다. 이러한 구분에 따라 내용면의 이항대립쌍을 정리하면 위의 표와 같다.
③ 표현과 내용면의 기호­상징적 관계
다음은 대립쌍의 추출을 통해「오! 수정」이 갖고 있는 의미를 파악해 보자. 우선 텍스트의 아랫부분을 차지하는 인물들의 모습은 전체적으로 무엇인가 그 상태가 실현되지 않은 단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것은 배경을 이루고 있는 사진 속 여성의 실현 된 상태 즉 벗은 몸의 상태와 대비되고 있다. 사랑하고 있는 상태는 /미실현/의 상태로 이미/실현/된 상태인 욕망의 단계와 대비되는 것이다. 한편 이것은 욕망이 실현된 상태에 위치한 것의 표현은 옷을 벗고 있는 그럼으로써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자연/의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으나 그렇지 못한 미실현의 단계는 의복을 착용한 /문화/적인 단계이지만 그럼으로써 무엇인가 거칠고 답답한 검은색의 빛을 띄우며 바람직하지 못하게 그려지고 있다. 즉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문화/적인 검은 옷을 벗고 있는 /자연/적인 것보다 거추장스럽고 답답한 것이라는 함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실현하지 못했으나 곧 실현하려고 하는 것은 옷을 벗은 단계인 /욕망/의 단계이자/자연/의 단계라는 것이다.
표현과 내용면의 이항대립쌍을 이루는 것들을 나란히 정리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오! 수정」포스터의 표현면과 내용면에서의 이항대립쌍
표현면
미실현
실현
내용면
사랑
욕망
아래

문화
자연
이것은 텍스트 안의 언어 기표인 '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라는 부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즉 '처녀성을 그녀의 남자에 의해 빼앗기다'라는 문구는 텍스트 안의 두 남녀가 곧 실현할 단계가 발가벗는 단계 즉 /욕망/의 단계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이것은 표현면의 위상 범주인 /위/와 /아래/에서도 구분 지어 볼 수 있는데, /욕망/의 단계가 위치적으로 /사랑/의 단계에서 자연스러운 /욕망/의 단계로 나아갈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결론
이상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오! 수정」포스터는, 바르트의 신화분석을 통해, 남성에게 사랑 받음으로써 기뻐하는 여성, 그리고 그 사랑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표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남성에게 여성은 욕망의 대상으로서 여성의 성을 빼앗고 벗겨야 할 것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등을 돌리고 있는 남성과 동일시하게 되는 관객의 시선적 위치를 통해 이 포스터는 관객에게도 이러한 행위의 동참을 격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텍스트의 의미는 여성을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시킴과 동시에 성적 대상물로서 여성 이미지를 고착화시키고 있다.
둘째, 기호사각형 방법을 통해 살펴본「오! 수정」의 경우 /욕망/에 따르는 삶이 곧 /자연/에 속하는 범주이며 이것이 텍스트 안에서 조금 더 높은 구도적 위치와 밝은 명암을 차지함으로써 정당화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장치들을 통해 앞서 바르트의 신화분석에서 나온 함축의미 즉, 여성의 성을 빼앗고 벗기는 남성 중심적인 성 이데올로기가 자연스럽게 정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참고문헌
강대진,『신화와 영화』, 작은이야기, 2004.
강명구 역,『영상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나남출판사, 1991.
강태환·김선남 역,『문화커뮤니케이션론』, 한뜻, 1997.
고민정,『한국영화 포스터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권택영 역,『자크 라깡 욕망 이론』, 문공출판사, 1996.
기호학연대,『기호학으로 세상 읽기』, 소명출판, 2002.
김경용,『기호학이란 무엇인가―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1994.
김성곤,『영화 속의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김성도,『현대 기호학 강의』, 민음사, 1998.
김수남,『한국영화문화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영화학회지 제13집, 1997.
김진해 역,『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5.
김치수 외,『현대 기호학의 발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문재철,『정치적 모더니즘과 영화이론; 1970년대 Screen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5.
박태식,『영화는 세상의 암호』, 늘봄, 2004.
백선기,『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송효섭,『초월의 기호학』―뮈토스와 로고스로 읽는 삼국유사, 소나무, 2002.
정재형,『한국의 영화포스터Ⅱ』, 범우사, 1999.
정재형,『한국의 영화포스터Ⅲ』, 범우사, 2000.
줄리아 크리스테바, 서민원 옮김,『세미오티케 기호분석론』, 동문선, 2005.
요하네스 페르 , 최용호 옮김,『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유리 M. 로트만, 유재천 옮김,『문화 기호학』, 문예출판사, 1998.
워런 벅랜드, 조창연 옮김,『영화 인지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움베르토 에코. 김광현 옮김,『기호 개념의 역사』, 열린책들, 2000.
피터 웰렌,『영화의 기호와 의미』, 영화이론총서 제24집, 1994.
  • 가격20,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0.27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