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개론-처용문화제를 통해 본 <처용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처용문화제를 통해 본 <처용가>
1. <처용가>의 유래
2. 처용문화제와 처용의 의미

Ⅲ. 느낌 및 정리

본문내용

음, 무당굿, 살풀이, 송파산대놀이, 통무, 농악, 굿, 제비원성주풀이, 진쇠춤, 양주별산대놀이, 처용무, 태평무, 호남 검무, 하회별신굿이 있다.
전통춤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지루하다 라는 것뿐이다. 그 춤이 어디서 어떻게 유래됐고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모른다. 그냥 전통춤이라니까 춤이고 볼뿐이다. 이런 전통춤에 대한 지루하다라는 인식을 바꾸고 좀더 사람들의 실생활에 친숙해 질 때만이 오랜 세월이 지나 세대가 거듭하더라도 사람들에게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오래된 옛것이 아닌 세월과 발맞추어 현대적으로 변해갈 때만이 전통춤으로 오랫동안 남을 것이다.
울산의 처용문화제를 보면서, 구비문학이 가진 민중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 기록문학과 달리 한 사람에 의한 창작물이 아닌 공동체 의식이 녹아 있는 구비문학의 매력을 배울 수 있었으며, 과거의 옛 유물로 치부되는 행사가 아니라 시민들과 함께 어우려져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함께 즐기는 문화제로 탈바꿈되어가고 있었다.
이것이야말로, <처용가>가 지닌 진정한 의미가 아닌가 한다. 타인을 용서하고 이해하는 처용의 설화에 나타난 관용과 화해의 정신은 오늘날 사람들의 마음을 화합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우리민족의 전통적인 특성들을 공유하면서 많은 예술작품이 나올 수 있으며 전통가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재평가를 하고, 내일의 민족문화 예술창조의 계기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박노준 편, <고전시가 엮어 읽기 상.하>, 태학사,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0.
최용수 저,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3.
  • 가격2,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1.0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