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용비어천가>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용비어천가>의 문헌적 특징
1. 이본(異本)
2. 제작연대

Ⅲ.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Ⅳ. 결론

본문내용

우리의 고유문자로 기록되었다는데 큰 가치가 있으며, 정음과 함게 한자가 병기되어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당시 여진족의 말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 여전이 어휘 연구의 자료로서도 가치를 지니며 표음 문자인 정음으로 여진어음을 표기한 유일한 자료이다.
Ⅳ. 결론
문학작품에는 다양한 삶의 모습이 들어있으므로 문학 작품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고전 문학 작품의 고찰은 그 자체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연구의 바탕을 이룬다.
<용비어천가>는 국문 시가와 배경 사화의 이중 구조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야기 전개방식은 과거로부터의 전통을 십분 활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핵심 이야기를 음수와 음운에 맞춰 진행시키는 본문이 있고 사이사이에 주석으로 보조 이야기를 삽입시켜 부연 설명하는 문예 양식은 이규보의 <동명왕편>이나 이승휴의 <제왕운기>에서부터 이미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한국 서사시의 한 전형인 것이다.
<용비어천가>는 일반적인 '상상력의 문학'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며 그 본질은 역사적인 사실의 문학화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이와 같이 방대한 자료에서 필요한 사항을 '빠짐없이'기록하려는 태도는, 조선 초기 사료 편찬의 기본 방향인 '기록보존주의'와도 상통하는 점이다. 기록보존주의란, 사료 편찬시 어떤 가치 기준에 입각한 필삭을 삼가고 입수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망라하여 과거의 문화를 복원하려는 원칙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방대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특징적인 구성 원리가 요청되었을 것이다.
이 작품의 제작 의도 가운데 후사 교육적 측면이 강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임금이 된다는 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피나는 노력을 하여 덕을 쌓아 하늘의 명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후대 임금들은 이렇게 어렵게 쌓아올린 공덕을 헛되이 하지 말아야 할 것임을 경계하려는 데에 있다. 세조 때에 양성지가 지어 올린 <용비어천도> 서문에서 보이듯이 <용비어천가>가 동궁의 교육용으로 사용되었다는 등 실제로 이 작품이후왕들의 역사 교육용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여러 군데에서 보인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용비어천가>는 궁극적으로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국과 관련된 구체적 기록을 소중히 했던 이 시기의 동향을 유례없이 많은 사서와 서사 문학의 탄생과도 연결되는 사항이다.
<용비어천가>의 독특한 성격은 조선초의 정치, 사회적 배경을 간과하고서는 올바르게 파악할 수 없는 것이며 여기서 우리는 문학과 역사 그리고 사상적 측면을 포괄하는 관점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용비어천가>가 우리에게 자료로서 남겨준 의의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영근 외, <중세어 자료 강해>, 집문당, 2002
김성언 외, <역사로 읽는 용비어천가>, 들녘, 1997
변혜원, 『<용비어천가>의 연구』, 상명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심재기 편, <국어 어휘의 기반과 역사>, 태학사, 1998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1.0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