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드라마)분석 - '웰컴투 동막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극(드라마)분석 - '웰컴투 동막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장진 감독 프로필 및 스타일 분석
(2) 시대적 배경
(3) 작품 연구
1. 줄거리
2. 시나리오 전개 (극 초반 10분)
3. 등장인물 및 대사 분석
4. 플롯
5. Sequence - 화합, 평화, 불신과 대립, 전쟁의 소모성
6. 상징성
(4) 연극과 영화의 차이점

Ⅲ. 결론 - 영화를 통해 발견한 화해의 메시지

본문내용

면, 택기가 우리도 연합군이냐고 묻는 장면 등은 남과 북이 국경의 구별 없이 하나 되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멧돼지 협공작전 또한 남한군과 북한군 그리고 연합군까지 모두가 한 팀이 되어 멧돼지를 협동 공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옥수수들이 팝콘으로 변해 마을 전체에 뿌려지는 장면은 남북 병사들의 서로 불신하고 있는 마음을 따뜻하게 녹여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언제나 함께 어울리기 힘들어 하고 선뜻 마음을 열기를 꺼려하던 신하균이 마지막에 지어내는 미소는 특히 의미 있다. 다른 어떤 상황에서도 의미를 찾지 못하던 자가 화합을 이루어냄과 동막골의 평화를 지켜냈다는 사실 앞에 환한 미소를 짓는 것이다. 그리고 항상 자신의 속내를 말이나 표정으로 선뜻 내비추기 보다는 은근슬쩍 행동으로 내비추던(수류탄이 떨어졌을 때 모두가 피하는데 표현철만 몸으로 수류탄을 막는다, 멧돼지에 의해 위험에 빠진 택기를 몸을 던져 구한다.) 그가 처음으로 자신을 솔직히 드러내는 장면을 묘사한다.
마을입구에 있는 인형은 항상 웃고 있다. 그 미소가 또한 여일의 미소, 6명의 병사들의 미소, 동막골 마을 사람들의 미소 그 모든 것을 담고 있다. 그것이 이 마을이 소유하고 있는 그 어떤 것이다.
(4) 연극과 영화의 차이점
1. 연극보다 더욱더 구체적으로 영화에 표현
연극에서는 제한될 수밖에 없는 요소들을 영화는 적극 활용한다. 장면을 느리게 재생하여서 말하고 싶은 것을 대사보다 영상으로 더 구체화 시켜 말한다. 여러 가지 장면이 있겠지만 북한군과 남한군의 마을 대치 장면에서 여일이 버선을 벗어서 어린 인민군 병사의 얼굴을 닦아 주는 장면을 예로 들고 싶다. 연극에서는 쉽게 지나갈 수 있는 장면이지만 영화에서는 여일의 표정을 풀샷으로 잡으면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까지 나타내고, 또 스로우기법을 사용해 구체적으로 여일과 어린 인민군 병사의 교감을 나타낸다.
2. 연극에 없는 판타지 요소를 영화에 부과
연극에서 표현하지 않았지만 영화에서 가장 크게 부각된 장면은 아마도 ‘팝콘’신일 것이다. 연극에서는 스미스가 옥수수를 기름에 튀기면서 팝콘이라는 소재가 사용된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남-북한 군의 대치 장면의 절정으로 이 팝콘 영상을 사용한다. 불발탄으로 알았던 수류탄이 마을 곡간에서 터지면서 옥수수가 팝콘으로 변하는 이런 판타지적 장면은 군인들의 상대방을 향한 딱딱한 마음이 팝콘처럼 부드러워 질 것이라는 것을 예시해 준다. 그 외에도 나비가 등장하는 장면, CG처리를 통해 더욱 파라다이스의 느낌을 가지는 마을 전경 등이 연극에 없는 판타지적 요소라 하겠다.
3. 동막골 사람들의 순수함 강조
연극과 영화의 기술적 차이 보다 시나리오상의 가장 큰 차이를 들자면 바로 마을 주민들의 ‘순수성’일 것이다. 물론 희곡 대본에서도 동막골 주민들의 순수성은 잘 드러난다. 하지만 그것은 ‘여일’이라는 인물에 중점적으로 나타나있고, 희곡 대본에서 나타나는 촌장은 여일을 성추행하고 있음을 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다른 주민들도 희곡 대본에서는 언어가 더욱 거칠며 이기적인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지만 영화에서의 촌장은 한없이 인자하며 마을 주민들도 생전 처음 보는 군인들에게 따뜻하며 순수한 존재이기만 하다. 어쩌면 영화에서는 희곡의 인간적 리얼리티를 축소하고 군인들과의 외적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순수성을 강조하였을 수 있다. 그렇기에 영화에서 군인들의 동막골 주민에게로의 동화는 더욱 감동적이고 극적이다.
Ⅲ. 결론 - 영화를 통해 발견한 화해의 메시지
6.35전쟁은 우리 민족에게 지울 수 없는 아픔이고 상처이다. 하지만 장장 3년 1개월에 걸쳐 일어난 전쟁의 포화를 비껴나 있었던 사람과 마을이 있었으니 그 마을이 바로 동막골이다. 내린천 골짜기 살둔 마을이 그랬고, 철갑령과 복룡산에 에워싸인 가마소라 불리던 부연이 그랬고, 남해 바다 언저리 외딴 섬이 그랬듯이 동막골도 이런 마을 중의 하나였다.
실제로 전쟁이 터진 줄도 모르고 갑자기 들른 외지인을 반갑게 대접해 보냈던, 가난하지만 착한 심성을 가진 사람들이 한국전쟁의 그 속에 있었다. 아니면 그런 순수하고 맑은 마을을 위해 마을 사람들도 모르고 역사도 모르게 조용히 지켜준 사람들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은 전쟁의 불길 속에서도 반드시 지키고자 했던 사람들의 순수함과 따뜻함을 이야기 하고 있다. 함께 밭을 갈고 함께 음식을 나눠먹고 옆집 아이 내 아이를 가리지 않고 함께 거두어 키우며 소박하고 따듯하게 삶을 지속해 가는 사람들. 그저 사람이라는 믿음 하나로 낯선 이도 경계하지 않고, 배고픈 사람에겐 음식을 나눠주고, 추운 사람에겐 옷을 나눠주는 것이 당연한 사람들의 마을이 바로 동막골이다. 그리고 동막골이라는 마을이 담고 있는 행복과 감동이 바로 영화 <웰컴투동막골>의 백미라 할 수 있는 마지막 10분의 전투씬을 탄생시킨 원천일 것이다.
영화 <웰컴투동막골> 속의 또 다른 주인공 동막골은 우리가 살고 싶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화를 내고 소리를 질러도, '어째서 화가 그리 났을까?'라고 걱정해주고, 그 원인을 해결해 주기 위해 해맑은 미소로 고개를 갸웃거리는 사람들이 어울려 사는 곳.
전쟁을 겪으며 극도로 피폐해진 군인들의 공포로 가득 찬 마음을 가슴 뜨거운 눈물과 헌신으로 변화시킨 동막골의 가치야 말로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 숨어 있는 인간애와 선한 마음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순수함을 간직한 마을 동막골을 그리워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웰컴투 동막골은 전쟁이 남기고 간 상처의 짐을 알게 모르고 업고 가는 우리들에게 또 아직도 이데올로기에 미쳐 사는, 전쟁에 사기당한 그들? 에게 조그마한 치유를 해준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할머니의 약손처럼.
<참고자료>
Weston., Judith, 『(감독을 위한) 영화연기연출법』, 김석호역, 시공사, 1999.
김동규, 『문학과 영화 이야기』, 학문사, 2002.
김영하, 『김영하, 이우일의 영화 이야기』, 마음산책, 2003.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송원문, 『문학, 영화, 비평이론』, 한신문화사, 2004.
  • 가격1,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11.1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