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적연금제도 확립을 위한 기업연금제도의 모형과 정책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노후보장체계 현황으로서 개인연금제도 및 퇴직금제도 검토
1. 우리나라 연금제도의 체계
2. 개인연금제도
3. 퇴직금제도의 현황 및 관련제도의 내용

Ⅲ. 기업연금제도의 도입과 관련한 제도의 개선방향
1. 퇴직금제도의 한계 및 개선방향
2. 우리사주제도: 종업원지주제도
3. 스톡옵션(stock option)
4.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

Ⅳ. 한국적 기업연금제도의 모형
1. 기업연금제도의 기본개념
2. 도입가능한 기업연금제도의 유형
3. 외국에서의 기업연금제도
4. 기업연금 도입에 있어서의 환경
5. 공사연금개혁안에서의 퇴직금제도
6. 퇴직금전환 모형
7. 기업연금제도 도입을 위한 관련제도의 조정
8. 기업연금제도의 도입을 위한 정책방향

Ⅴ. 결론: 바람직한 연금정책의 방향

참고 문헌

본문내용

채를 상환하기 위한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들은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용주측에게 단순히 퇴직금을 대체시키는 조치는 근로자의 퇴직금 불신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현재 우리의 경제사회 현실에서 기업연금 도입 4단계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1단계: 퇴직금제도의 보완
2단계: 개인연금 및 기타 저축제도의 세제혜택 억제
3단계: 퇴직금 연금전환
4단계: 국민연금 적용제외
기업연금제도의 도입은 퇴직금으로부터의 이행을 전제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한 퇴직금제도의 개선은 피할 수 없다고 본다.
퇴직금제도의 기업연금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는 다음의 두 가지 정책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는 기업연금을 사외적립하도록 하는 방향으로서 퇴직금충당금의 비용공제를 허용하지 않고 사외적립에 대하여만 비용으로 인정하는 방향이다.
둘째는 퇴직금충당금의 비용공제를 완전 허용하고 퇴직충당금의 사내 적립시 민간부문의 퇴직금보장 공제기금 등을 설정하여 갹출료를 인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혹은 임금채권보장기금의 갹출료를 인상하도록 한다. 이는 첫 번째 방법에서의 기업주의 사외적립 부담을 줄이면서 퇴직금의 확보에 대한 기업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내의 자금 사정에 따라 기업의 사외적립이 불가능한 기업은 퇴직금 보장에 대한 보험료의 형태로서 임금채권보장기금의 갹출을 높인다. 이러한 기업은 사실상 자금의 차입이 어려운 기업이 될 것이다.
그리고 퇴직금의 기업연금화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퇴직금제도가 법정제도라고 하여 퇴직금을 강제기업연금으로 하는 것은 사실상 또 다른 국민연금제도를 시행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기업연금제도는 퇴직금을 기초로 하되 기업의 사정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업연금제도를 기업이 실시함에 있어서 정부가 규정한 형태로 실행될 경우 이를 퇴직금으로 지급된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참고 문헌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의료보험 통계연보』.
근로복지공단, 『사회보험통합에 관한 연구』, 1999. 3.
김용하 외, 『사회보험관리 효율성 개선방안』, 보건사회연구원, 1996.
김원식, 「기업연금의 재원과 기금운용」, 『기업연금제도의 도입과 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1991.
______, 「한국 국민연금제도의 후생비용 측정연구」, 『재정논집』, 제7집, 1993. 3.
______, 「자금순환에 따른 국민연금기금 운영방안」, 『경제학연구』, 한국경제학회, 제41집 1호, 1993.8, pp. 77-93.
______, 「퇴직금제도의 국민연금전환 방식에 관한 연구: 새로운 접근의 시도」, 『재정논집』, 제9집, 1995. 3. pp. 171-190.
______, 『개인연금제도의 정착을 위한 정책방안연구』, 한국금융연구원, 1996.
______, 민재성, 『한국의 퇴직금제도와 기업연금제도 도입방안』, 한국개발연구원, 1990. 11.
______, 민재성, 문형표, 김용하, 『국민연금제도의 장기적 재정안정화를 위한 정책과제와 대책』, 한국개발연구원, 1992.
김형배, 『노동법』, 법문사, 1992.
______, 『노동통계연감』.
노사관계개혁위원회, 『'96 노동관계법 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 노동관계법 개정을 위한 종합토론회 자료, 1996. 8. 6.
민재성, 안종범, 김용하, 『국민연금제도와 퇴직금제도 조정실시에 따른 우리나라 소득보장제도의 보완발전방향』, 1992. 12.
박영범, 『한국기업의 퇴직금제도』, 고용보험기획단, 1992.
박우성, 『성과배분제도의 도입실태와 개선방안』, 노동연구원, 1998. 3.
방하남, 「미국의 기업연금제도」, 한국노동연구원, 1997. 5.
______, 『한국기업의 퇴직금제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998. 6.
보건복지부, 『4대 사회보험통합을 위한 자료집 Ⅱ』, 1998. 12.
한국노동연구원, 『KLI 노동통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1998. 12.
山崎 淸, 『日本の 退職金制度』, 日本勞動協會, 1988.
日經連, 「これからの 退職金管理 - その 問題點と 對策」, 1974. 1.
板東 慧 外, 『福祉經濟と 社會の 理論』, 勁草書房, 1983.
厚生統計協會, 『保險と 年金の 動向』, 日本, 1991.
Atkinson, A. B. and Martin Rein (eds.), Age, Work and Social Security, St. Martin's Press, 1993.
Beach Charles M. and Frederic S. Balfour, "Estimated Payroll Tax Incidence and Aggregate Demand for Labor in the United Kingdom," Economica, Vol.50, Feb. 1983, pp. 35-48.
Friedman, M. and L. J. Savage, "The Utility Analysis of Choices Risk,"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56, August 1948, pp. 279-34.
Gramlich, Edward M, "Economist's View of the Welfare System," American Economic Review, May 1989, pp. 191-6.
Ippolito, Richard A., Pensions, Economics and Public Policy, Dow Jones - Irwin: Illinois, 1986.
ISSA, Conjugating Public and Private: The Case of Pension, 1987.
Kim, Wonshik, "The Welfare Cost of Social Security due to Changes in Private Saving: the Case of Capital Income Taxation," Korean Economic Review, Vol. 6, No. 1, Summer 1990, pp. 121-37.
  • 가격3,2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9.11.14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