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에릭슨 & 프로이드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3.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특성 및 원리
4. 에릭슨의 생애 발달 이론
5. 이론에 대한 평가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3.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특성 및 원리
4. 에릭슨의 생애 발달 이론
5. 이론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욕구나 안위가 주 관심이 되는 자기도취의 상태에 빠짐을 의미한다. 이때 침체성이 나타난다. 사회의 일원으로서 생산적으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일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는 것이 되며, 인간관계는 황폐된다. ‘중년기 위기’ 즉 절망과 인생이 무의미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Ⅷ 자아통합 대 절망감 (integrity vs despair), 65-
▷ 인간이 자신의 완성적 노력과 성취에 대해 반성하는 시기이다. 이는 인간이 앞의 모든 단계의 경험들을 다져서 하나의 최종적인 자아통합기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한다.
▷ 자아통합은 결혼, 자녀, 직업, 취미 등을 위시하여 모든 관점에서 자신의 인생을 돌이켜보고 겸허하게 그러나 확고하게 ‘나는 만족스럽다’라고 확신하는데서 생긴다.
▷ 자신의 인생을 실패의 연속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죽음에 대한 감추어진 두려움, 되돌릴 수 없는 실패, 희망했던 것에 대한 끊임없는 미련으로 절망감을 느낀다. 인생의 쓴맛과 혐오를 느끼는 노인의 두 가지 형태, 인생이란 다시 살 수 없다고 후회하고, 자신의 부족함과 결함을 외부세계로 투사함으로써 그것을 부인하면서 매우 심술궂고 과대망상의 증상을 보인다.
▷ 지혜 : 인생의 의미를 찾고 보람을 느끼게 되면 얻게 된다. 삶의 문제에 의연한 방식으로 대처하는 모습이다.
◈ 성격이론에의 적용
내담자들을 치료하는 것은 정체감을 강화시키는 치료적 경험을 하게 하는 것
자아가 강한 사람은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냄으로 인해 생기는 실망, 상처 혹은 타인의 거부 등을 잘 대처해 나갈 수 있기 때문
5. 이론에 대한 평가
▶ Erikson의 발달단계 이론의 평가
1) Erikson은 프로이드 이론을 확장시켰다. 프로이드의 각 단계마다 가장 보편적인 이슈들을 기술했고, 전 생애를 포함하도록 확장했으며, 각 단계에서 사회적 요인들이 어떻게 개입되는지를 제시하였다.
2) 프로이드의 성숙의 개념을 긍정적이며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발전시켰다. 프로이드에서 성숙은 억압이라는 수단을 통해 본능적인 충동의 방향을 이끌어나가지만, Erikson에 있어서 성숙은 자율성, 주도성과 같은 자아양식 및 보편적인 자아속성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 발달의 단계 이론에 대한 비판
1) 발달이 고정된 순서로만 일어나는가
2) 그러한 발달은 보편적인 것인가
3) 결정적 시기에 대한 비판- 발달은 단계 이론에서 말하는 것보다는 덜 포괄적이고 덜 고정적이며 덜 경직적이다.
Ⅷ 자아통합 대 절망감 (integrity vs despair), 65-
▷ 인간이 자신의 완성적 노력과 성취에 대해 반성하는 시기이다. 이는 인간이 앞의 모든 단계의 경험들을 다져서 하나의 최종적인 자아통합기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한다.
▷ 자아통합은 결혼, 자녀, 직업, 취미 등을 위시하여 모든 관점에서 자신의 인생을 돌이켜보고 겸허하게 그러나 확고하게 ‘나는 만족스럽다’라고 확신하는데서 생긴다.
▷ 자신의 인생을 실패의 연속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죽음에 대한 감추어진 두려움, 되돌릴 수 없는 실패, 희망했던 것에 대한 끊임없는 미련으로 절망감을 느낀다. 인생의 쓴맛과 혐오를 느끼는 노인의 두 가지 형태, 인생이란 다시 살 수 없다고 후회하고, 자신의 부족함과 결함을 외부세계로 투사함으로써 그것을 부인하면서 매우 심술궂고 과대망상의 증상을 보인다.
▷ 지혜 : 인생의 의미를 찾고 보람을 느끼게 되면 얻게 된다. 삶의 문제에 의연한 방식으로 대처하는 모습이다.
◈ 성격이론에의 적용
내담자들을 치료하는 것은 정체감을 강화시키는 치료적 경험을 하게 하는 것
자아가 강한 사람은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냄으로 인해 생기는 실망, 상처 혹은 타인의 거부 등을 잘 대처해 나갈 수 있기 때문
5. 이론에 대한 평가
▶ Erikson의 발달단계 이론의 평가
1) Erikson은 프로이드 이론을 확장시켰다. 프로이드의 각 단계마다 가장 보편적인 이슈들을 기술했고, 전 생애를 포함하도록 확장했으며, 각 단계에서 사회적 요인들이 어떻게 개입되는지를 제시하였다.
2) 프로이드의 성숙의 개념을 긍정적이며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발전시켰다. 프로이드에서 성숙은 억압이라는 수단을 통해 본능적인 충동의 방향을 이끌어나가지만, Erikson에 있어서 성숙은 자율성, 주도성과 같은 자아양식 및 보편적인 자아속성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 발달의 단계 이론에 대한 비판
1) 발달이 고정된 순서로만 일어나는가
2) 그러한 발달은 보편적인 것인가
3) 결정적 시기에 대한 비판- 발달은 단계 이론에서 말하는 것보다는 덜 포괄적이고 덜 고정적이며 덜 경직적이다.
추천자료
일반심리학-성격
성격심리학 - 인지적 관점
성격심리학 요약
성격심리학 요약 정리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의식과 무의식,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심리성적성격발...
성격심리학
2012년 2학기 인간과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육관비교,에릭슨성격발달단계)
성격심리학
성격발달이론-에릭슨
성격의 개념과 성격형성을 바라보는 성격심리학적 관점 정리 - 성격심리학, 정신분석적 관점,...
1장교육심리학의_성격및_역할
<세종대 성격심리학> 프로이드,정신분석,성격이론,아들러,개인심리학적성격이론,호나이,신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성격심리학 이론 - 피아제,...
'성격심리학' Review Questions 제10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