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깨비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도깨비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도깨비의 어원
2. 도깨비의 민간 신앙적 특성
3. 각 시대별 도깨비 모습
4. 역대 문헌 속에 나타난 도깨비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승에도 가지 못하고 떠도는 원혼의 귀신, 인간에게 악행을 하거나 보복을 하려하는 공포의 대상이나, 병마, 액운, 등을 이르는 귀신입니다. 이와는 달리 도깨비는 조상신처럼 모시거나 제의를 갖추어 주는 대상도 아니요, 사람이 꺼리며 무서워하기만 하는 공포의 대상도 아닙니다. 즉 천신, 산신 등의 신보다는 하위의 개념이며, 귀신과 동등한 인식의 대상도 아닙니다. 도깨비는 현대인뿐 아니라 옛 사람들에게도 '헛것'으로 인식되어왔고, 그의 출처나 특성 등이 뚜렷하게 특정 지워지지 않았습니다. 귀신과 도깨비는 같으면서 다릅니다. 귀신과 도깨비는 으슥한 곳을 좋아하고, 야음에 나타나 새벽이면 사라집니다. 즉 사람이 활동하지 않는 시간과 사람이 접하지 않는 장소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나타나는 형태는 한 마디로 규정지을 수 없습니다. 도깨비가 나타나는 형태는 때로 대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공포스러운 분위기의 불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환한 불빛이 되어 사람을 인도하여 주기도하고, 소리만 들린다든지, 돌이 날아온다든가 하는 어떤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 귀신은 사람의 변형이거나 물건에 신이 깃들어 변형된 것임에 반해, 도깨비는 사람이 쓰던 물건에 정령이 붙어 조화를 부린 물체 그 자체의 변형입니다. 귀신과 도깨비는 사람과 떨어져 있지만, 귀신은 사람 사는 쏙 밀접한 곳에 있거나 - 어느 집의 헛간, 안 쓰는 방, 뒷뜰 등 -경계부근에 있습니다. 도깨비는 마을의 밖이나 흉가와 같이 사람의 생활과 분리된 곳에 거주합니다. 귀신은 어떠한 목적, 즉 보복을 하거나 사람을 괴롭히려는 목적, 혹은 이로움을 주려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나타나는데, 이와 달리 도깨비는 민가에 와서 장난을 하는가하면 지나는 행인에게 씨름을 청하기도 하는 뚜렷한 목적으로만 등장하지 않습니다. 또 마음이 허하면 보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도깨비의 성격은 귀신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매우 인간과 비슷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먹고 마시며, 춤추고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합니다. 예쁜 여자를 좋아하고 심술을 부리기도 합니다. 도깨비는 이렇게 사람과 흡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반면 조화무궁하여 인간이 해내지 못하는 일을 해내는가 하면, 힘이 장사이고 신통력을 가지고 있어 사람을 부자로 만들어 주기도 하고 망하게도 합니다. 이렇게 신통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우직하고 소박하여 인간 꾀에 넘어가는 어리석은 면도 있습니다. 사람의 간교함에 복수를 하기도 하지만 되려 사람을 잘되게 도와주는 엉뚱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면 결코 해치지 않습니다. 착한 사람에게는 부를 주고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는 괴로움을 줍니다. 이와 같이 설화나 민담에서 보여지는 도깨비는 대체로 인간적이며, 교훈적입니다. 또한 '도깨비 방망이'나 '도깨비감투' 등을 가지고 있어 현실에서 실현하지 못하는 사람의 욕망을 상상할 수 있게 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마음속에 내재해 있는 도깨비는 우리 생활 속의 조형 미술을 통하여 나타나 있습니다. 이는 귀면문이라 통칭되고 있으며 귀면문이라기 보다는 병마, 천재지변, 액운 등의 나쁜 것을 물리치기 위한 벽사문이라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입니다.
우리는 앞에서 말한 도깨비에 대하여 말해왔지만 아직도 부족한 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덧붙어서 말하고 싶은 것은 도깨비는 한국인의 얼굴이며 이 한국인의 얼굴을 발전시켜 나갔으면 하는 것이 바람입니다.
-. 참고문헌
▷ 한국의 도깨비 연구, 김종대, 국학자료원
▷ 저기 도깨비가 간다, 김종대, 인터넷
▷ 도깨비 날개를 달다, 김열규, 춘추사
▷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소
▷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김열규, 인터넷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12.0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