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의식의 차이
2-2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존대말
2-3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성의 구분
2-4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명사로 말하는 영어, 동사로 말하는 한글
2-5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통신용어에서 본 차이
3. 결론
2. 본론
2-1 의식의 차이
2-2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존대말
2-3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성의 구분
2-4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명사로 말하는 영어, 동사로 말하는 한글
2-5 서양과 동양 언어의 차이 - 통신용어에서 본 차이
3. 결론
본문내용
단계에서 많이 하는 실수이다. 아래의 대화를 보자
a : 여기로 와 보렴.(come)
b : 가고 있어요.(go)
자연스럽다. 하지만 영어에선
a : Come here.
b : I am coming.
위와 같이 말을 해야 어색하지 않은 영어가 된다. 이것은 한국어와 다르게 go/come을 쓸 때에는 상대방을 기준으로 하는 영어의 특징에서 나온다. 내가 목적지로 가고 있지만 상대방의 기준에서 본인에게로 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come 동사를 쓰는 것이 올바른 영어이다.
상황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는 문제점 또한 돌려 말하기로 극복할 수 있지만 세밀한 부분은 따로 공부를 해서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그 나라의 문화와 그들의 말에 좀 더 관심을 갖고 하나씩 알아간다면 위와 같은 문제는 쉽게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Ⅲ
지금까지 언어를 통해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차이를 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언어란 한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쓰는 의사소통을 위한 기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언어에도 그들의 문화라 배어있고 서로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 현대에는 각 문화가 서로 다른 문화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 하고 있다. 바로 교통과 통신의 발달이 그 원인이다. 그래서 지금도 쉴 세 없이 다른 나라의 문화가 들어오고 있고 그들의 언어 또한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항상 비판적인 자세로 들어오는 문화를 걸러내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또한 상대의 문화를 무조건 배척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의 문화를 우리의 문화에 알맞게 변화하여 적용하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이 된다.
또한, 위에서 보았듯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문화는 변한다. 그리고 언어도 계속해서 변해가고 있다. 하지만 이 둘은 각자 따로 변하는 것이 아니다.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같이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언어가 그 언어를 쓰는 사람의 사상과 정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다. 지난 날 일제치하에 있을 때에도 일본은 한국인의 민족성과 사상을 뿌리 뽑기 위해 언어를 말살하는 정책을 쓴 것을 보더라도 언어가 한 민족의 존속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는 좋은 예이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소수민족들 가운데에도 그들의 언어를 잃고 다른 문화 속에 동화 되는 예도 있다. 결국 한 문화의 최후에는 언어가 있었다. 우리는 올바른 사용으로 우리의 언어를 지키고 나아가 세계에 한국의 자긍심과 한글을 알려야 할 책임도 있다고 생각한다.
- References -
◎ 언어와 문화 / 나상배 저, 하영삼 역주 /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3
◎ 생각의 지도 / 리처드 니스벳 / 김영사 / 2004
◎ EBS 다큐멘터리 동과서 / EBS 동과서 제작팀, 김명진 지음 / 예담 / 2008
◎ 논문 - 성별에 따른 영어사용상의 차이차별에 대한 연구, 최용선, 2003
◎ 논문 -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 갈등의 근원 문화코드의 비교연구, 김형인(한국외국어대학교), 2004
◎ Sitcom friends 1-13
◎ 네이버
a : 여기로 와 보렴.(come)
b : 가고 있어요.(go)
자연스럽다. 하지만 영어에선
a : Come here.
b : I am coming.
위와 같이 말을 해야 어색하지 않은 영어가 된다. 이것은 한국어와 다르게 go/come을 쓸 때에는 상대방을 기준으로 하는 영어의 특징에서 나온다. 내가 목적지로 가고 있지만 상대방의 기준에서 본인에게로 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come 동사를 쓰는 것이 올바른 영어이다.
상황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는 문제점 또한 돌려 말하기로 극복할 수 있지만 세밀한 부분은 따로 공부를 해서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그 나라의 문화와 그들의 말에 좀 더 관심을 갖고 하나씩 알아간다면 위와 같은 문제는 쉽게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Ⅲ
지금까지 언어를 통해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차이를 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언어란 한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쓰는 의사소통을 위한 기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언어에도 그들의 문화라 배어있고 서로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 현대에는 각 문화가 서로 다른 문화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 하고 있다. 바로 교통과 통신의 발달이 그 원인이다. 그래서 지금도 쉴 세 없이 다른 나라의 문화가 들어오고 있고 그들의 언어 또한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항상 비판적인 자세로 들어오는 문화를 걸러내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또한 상대의 문화를 무조건 배척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의 문화를 우리의 문화에 알맞게 변화하여 적용하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이 된다.
또한, 위에서 보았듯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문화는 변한다. 그리고 언어도 계속해서 변해가고 있다. 하지만 이 둘은 각자 따로 변하는 것이 아니다.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같이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언어가 그 언어를 쓰는 사람의 사상과 정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다. 지난 날 일제치하에 있을 때에도 일본은 한국인의 민족성과 사상을 뿌리 뽑기 위해 언어를 말살하는 정책을 쓴 것을 보더라도 언어가 한 민족의 존속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는 좋은 예이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소수민족들 가운데에도 그들의 언어를 잃고 다른 문화 속에 동화 되는 예도 있다. 결국 한 문화의 최후에는 언어가 있었다. 우리는 올바른 사용으로 우리의 언어를 지키고 나아가 세계에 한국의 자긍심과 한글을 알려야 할 책임도 있다고 생각한다.
- References -
◎ 언어와 문화 / 나상배 저, 하영삼 역주 /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3
◎ 생각의 지도 / 리처드 니스벳 / 김영사 / 2004
◎ EBS 다큐멘터리 동과서 / EBS 동과서 제작팀, 김명진 지음 / 예담 / 2008
◎ 논문 - 성별에 따른 영어사용상의 차이차별에 대한 연구, 최용선, 2003
◎ 논문 -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 갈등의 근원 문화코드의 비교연구, 김형인(한국외국어대학교), 2004
◎ Sitcom friends 1-13
◎ 네이버
추천자료
영어교육과정(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과 기본 방향, 영어교육과정(영어과교육과정)의 개정 중...
초등학교영어과교육(초등영어)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영어과교육(초등영어)의 개정중점, 초...
영어교육(영어학습, 수업) 내용, 영어교육(영어학습, 수업) 평가, 영어교육(영어학습, 수업)...
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육)의 필요성, 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육)의 인식, 조기영어교육(영...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말하기지도와 스토...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자료활용교육과 교과용도서활용교육, 초등학교 영어과(영어...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성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생특성을 반영한 교육방...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활동중심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어휘학습지...
[영어문법]영어(영어문법)의 발달, 영어(영어문법)의 문형론, 영어(영어문법)의 동화작용, 영...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목표와 교육배경,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과서구성과 활용,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중점사항과 성취기준,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수학습원...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이론, 초등학교 영어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