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부전증이란?
2.신부전증의 유병률
3.신부전증의 분류
4.신부전증의 진단
5.신부전증의 식이요법
2.신부전증의 유병률
3.신부전증의 분류
4.신부전증의 진단
5.신부전증의 식이요법
본문내용
단백질 섭취는 매 투석간 노폐물을 축적 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에너지
체 조직의 분해를 막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합니다. 에너지 필요량은 정상체중kg당 35kcal로 주석 전과 동일 합니다.
나트륨
나트륨은 고혈압과 부종을 조절하기 위해 보통 1일 소금 5-8g정도 (나트륨 2,000-3,000mg)권장합니다.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갈증이 둔화되어 과량의 수분 섭취와 체중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칼륨
고 칼륨혈증은 심부정매, 심장마비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칼륨제한은 필수적입니다. 칼륨의 섭취량은 투석 액의 농도에 따라 조정되나 보통 1일 60mEq이하로 합니다.
칼슘 및 인
부 갑성선 기능 향진증을 예방하고, 골격의 변화,연 조직의 석회화를 줄이기 위해 저 칼슘혈증과 고 인산형 증을 조절해야 합니다. 칼슘 및 인의 조절은 식사만으로는 어려우며,식사조절과 함께 인산 결합제,칼슘보충제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수분
1일 수분허용량은 1일 소변량에 500cc정도 추가합니다.
수용성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투석 시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 특히, 비타민 B6,엽산,비타민 c,철분 등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이 포함된 종합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복막 투석식]
복막 투석식(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diet,CAPD)은 투석 시 투석 액으로 손실되는 단백질량을 보충할 만큼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고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에너지 섭취가 필요합니다. 복막 투석식은 투석 액의 교환 횟수,양,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백질
지속성 복막 투석으로 손실되는 단백질은 1일 9g이상입니다. 손실되는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해 1일 체중 kg당 1.2-1.5g이 필요합니다.
에너지
복막 투석식에는 투석 액에 포함된 당분이 체내로 흡수되며 이는 중요한 에너지원이 됩니다. 보통 1일 필요에 저지는 투석 액으로부터 에너지 흡수를 감안하여 결정합니다.
- 식사에서 필요한 에너지량
= 총 에너지 요구량 - 투석 액으로부터 얻는 에너지량
- 투석 액으로부터 얻는 에너지량
= 1.5% 글루코즈 용액 - 약 40kcal/L
= 4.25% 글루코즈 용액 - 약 115 kcal/L
나트륨
보통 나트륨은 심하게 제한하지 않습니다. (대략 소금 1일 5∼10g정도) 그러나 체내에 수분이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약간의 나트륨 제한이 필요합니다.
칼륨
복막투석의 경우 일반적으로 칼륨 제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 칼륨혈증이 있는 경우 칼륨을 1일 약 60-70mEq(2,400-2,800mg)정도로 조절합니다.
수분
일반적으로 수분섭취 제한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종이 있는 경우 나트륨 제한과 함께 수분 제한이 필요합니다.
인
고 인산혈증을 조절하기 위해 인의 섭취제한이 필요합니다.(1일 800-1,000mg정도)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투석 시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의 손실이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 등이 포함된 종합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 참고자료
서울위행병원보 통권 161호/ 2007년 7-8호
http://www.pkd.co.kr/cure/cure_01.asp
중앙건강백과사전
두산백과사전
http://www.yeskisti.net/yesKISTI/InfoSearch/ReadDB01.jsp?CNO=JAKO199740961290808&SITE=KLIC
대한신장학회 http://www.ksn.or.kr/index_kr.html
http://www.ckdkorea.or.kr/
http://www.ckdkorea.or.kr/wkd/
에너지
체 조직의 분해를 막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합니다. 에너지 필요량은 정상체중kg당 35kcal로 주석 전과 동일 합니다.
나트륨
나트륨은 고혈압과 부종을 조절하기 위해 보통 1일 소금 5-8g정도 (나트륨 2,000-3,000mg)권장합니다.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갈증이 둔화되어 과량의 수분 섭취와 체중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칼륨
고 칼륨혈증은 심부정매, 심장마비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칼륨제한은 필수적입니다. 칼륨의 섭취량은 투석 액의 농도에 따라 조정되나 보통 1일 60mEq이하로 합니다.
칼슘 및 인
부 갑성선 기능 향진증을 예방하고, 골격의 변화,연 조직의 석회화를 줄이기 위해 저 칼슘혈증과 고 인산형 증을 조절해야 합니다. 칼슘 및 인의 조절은 식사만으로는 어려우며,식사조절과 함께 인산 결합제,칼슘보충제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수분
1일 수분허용량은 1일 소변량에 500cc정도 추가합니다.
수용성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투석 시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 특히, 비타민 B6,엽산,비타민 c,철분 등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이 포함된 종합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복막 투석식]
복막 투석식(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diet,CAPD)은 투석 시 투석 액으로 손실되는 단백질량을 보충할 만큼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고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에너지 섭취가 필요합니다. 복막 투석식은 투석 액의 교환 횟수,양,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백질
지속성 복막 투석으로 손실되는 단백질은 1일 9g이상입니다. 손실되는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해 1일 체중 kg당 1.2-1.5g이 필요합니다.
에너지
복막 투석식에는 투석 액에 포함된 당분이 체내로 흡수되며 이는 중요한 에너지원이 됩니다. 보통 1일 필요에 저지는 투석 액으로부터 에너지 흡수를 감안하여 결정합니다.
- 식사에서 필요한 에너지량
= 총 에너지 요구량 - 투석 액으로부터 얻는 에너지량
- 투석 액으로부터 얻는 에너지량
= 1.5% 글루코즈 용액 - 약 40kcal/L
= 4.25% 글루코즈 용액 - 약 115 kcal/L
나트륨
보통 나트륨은 심하게 제한하지 않습니다. (대략 소금 1일 5∼10g정도) 그러나 체내에 수분이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약간의 나트륨 제한이 필요합니다.
칼륨
복막투석의 경우 일반적으로 칼륨 제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 칼륨혈증이 있는 경우 칼륨을 1일 약 60-70mEq(2,400-2,800mg)정도로 조절합니다.
수분
일반적으로 수분섭취 제한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종이 있는 경우 나트륨 제한과 함께 수분 제한이 필요합니다.
인
고 인산혈증을 조절하기 위해 인의 섭취제한이 필요합니다.(1일 800-1,000mg정도)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투석 시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의 손실이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 등이 포함된 종합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 참고자료
서울위행병원보 통권 161호/ 2007년 7-8호
http://www.pkd.co.kr/cure/cure_01.asp
중앙건강백과사전
두산백과사전
http://www.yeskisti.net/yesKISTI/InfoSearch/ReadDB01.jsp?CNO=JAKO199740961290808&SITE=KLIC
대한신장학회 http://www.ksn.or.kr/index_kr.html
http://www.ckdkorea.or.kr/
http://www.ckdkorea.or.kr/wkd/
추천자료
신장이식
만선신부전
약리학 약물에 관한 질문 답변
〔A+〕<간호학>신대체요법(CRRT)-투석요법
말기신부전(End stage renal disease) 케이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 : ARF)
<산약초의 효능>!!!
신장의식 장기보존, 생체이식을 위한 준비, 뇌사자 신장이식을 위한 준비
고혈압 예방과 관리에서의 생활요법
[아동간호학][Purpura][자반증]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HSP][HSP 자반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Henoch-Schonlein Purp...
세브 조사, 세브란스 병원 간호사 자기소개서 / 세브란스 병원 이력서, 자소서 / 세브란스 자...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 가족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