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업 간호학 CASE
1. 사업장
2. 근로자
3. 작업공정
4. 작업환경
5. 건강관리
6. 산업간호 사업
7. 일반 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추후 관리에 대한 설명
8. 특수건강진단 부서를 파악하고 유해인자별 검사내용 및 유의사항, 판정결과와 추후 관리를 수술한다.
9. 작업환경 측정을 요하는 유해인자 항목 및 측정방법, 결과처리 및 개성내용
11. 문제 요인
12. 우선순위
1. 사업장
2. 근로자
3. 작업공정
4. 작업환경
5. 건강관리
6. 산업간호 사업
7. 일반 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추후 관리에 대한 설명
8. 특수건강진단 부서를 파악하고 유해인자별 검사내용 및 유의사항, 판정결과와 추후 관리를 수술한다.
9. 작업환경 측정을 요하는 유해인자 항목 및 측정방법, 결과처리 및 개성내용
11. 문제 요인
12. 우선순위
본문내용
소배기시설)
환기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 공정상 배합 및 용해반의 혼합물질로 인한 호흡기계 질환의 위험이 높다.
정수기 설치 장소와 위 생 관리 불량.
근로자의 위생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건강수준
질병 위험성
고혈압의심(11명)
고지혈증의심(7명)
간장질환주의 (7명)
당뇨질환 의심(3명)
신장질환 의심(3명)
빈혈증 의심(1명)
사업관련 질병 외의 질병관리
고혈엽>고지혈증=간장질환>당뇨=신장질환>빈혈증 으로 나타남
전 근로자의 건 강검진결과
질병유소견자 및 요관찰자의 간호 정보
부서별 주요재해
고혈압, 당뇨 및 간장질환, 고지혈증 의 유소견자가 평균5명에 이름
유소견자들의 지속적인 관리, 관찰, 교육, 보건상담이 필요하다.
-배합과정의 확인 및 첨가제 첨가시 유기화합물에 노출되며 약품 취급시 (솔벤 등) 주의 바람
-자동주입공정에서 제품이 에어로 고속 이송시 금속 마찰 소음 발생.
- 반응/ 포장 작업시 유해 인자가 발생하며 외부식 원형 후드 설치 가동 중
-MSDS(물질안전보건 자료) 및 경고표지판 부착 미흡.
10. 자료분석
11. 문제 요인
문제
관련요인
높은 사고발생 위험성
보호구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부족
1년 미만의 근로자 수가10명 (기술 익힘 부족)
소음성난청의 잠재적 위험성
소음의 8시간 노출(8시간-dB 83.9dB, 85.4dB)
귀마개 미사용
귀마개 사용에 대한 지식부족
지속적인 소음노출에 대한 인식결여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
방진마스크 미사용
부적절한 근무환경
화장실의 비위생적 관리
식수원 부족 & 위생관리 부실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건물설계(철 나선형 계단, 튀어 나온 창 문 틀)
고혈압&당뇨&고지혈증 &간장질환 예방
진단결과상 고혈압 의심 근로자가 11명진단결과상 고지혈증의심 근로자가 7명
진단결과상 간장질환주의 근로자가 7명
진단결과상 당뇨 의심 근로자가 3명
질병에 대하여 인식 결여 & 미실행
건강증진
산업장 재해에 대한 교육 지식 부족
질병에 대한 인식 결여 & 미실행
쉬는 시간에 스트레칭 이외의 tea time을 주로 갖음.
12. 우선순위
우선순위
간호진단
재발과
예방가능성
문제의
심각성
산업장
관련성
실행
가능성
자원동원
가능성
보건관리자
준비도
합계
①
높은 사고발생 위험성
0
②
높은 소음성난청 발생률
③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
④
부적절한 근무환경
⑤
고혈압&당뇨&고지혈증 예방
⑥
건강증진
환기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 공정상 배합 및 용해반의 혼합물질로 인한 호흡기계 질환의 위험이 높다.
정수기 설치 장소와 위 생 관리 불량.
근로자의 위생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건강수준
질병 위험성
고혈압의심(11명)
고지혈증의심(7명)
간장질환주의 (7명)
당뇨질환 의심(3명)
신장질환 의심(3명)
빈혈증 의심(1명)
사업관련 질병 외의 질병관리
고혈엽>고지혈증=간장질환>당뇨=신장질환>빈혈증 으로 나타남
전 근로자의 건 강검진결과
질병유소견자 및 요관찰자의 간호 정보
부서별 주요재해
고혈압, 당뇨 및 간장질환, 고지혈증 의 유소견자가 평균5명에 이름
유소견자들의 지속적인 관리, 관찰, 교육, 보건상담이 필요하다.
-배합과정의 확인 및 첨가제 첨가시 유기화합물에 노출되며 약품 취급시 (솔벤 등) 주의 바람
-자동주입공정에서 제품이 에어로 고속 이송시 금속 마찰 소음 발생.
- 반응/ 포장 작업시 유해 인자가 발생하며 외부식 원형 후드 설치 가동 중
-MSDS(물질안전보건 자료) 및 경고표지판 부착 미흡.
10. 자료분석
11. 문제 요인
문제
관련요인
높은 사고발생 위험성
보호구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부족
1년 미만의 근로자 수가10명 (기술 익힘 부족)
소음성난청의 잠재적 위험성
소음의 8시간 노출(8시간-dB 83.9dB, 85.4dB)
귀마개 미사용
귀마개 사용에 대한 지식부족
지속적인 소음노출에 대한 인식결여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
방진마스크 미사용
부적절한 근무환경
화장실의 비위생적 관리
식수원 부족 & 위생관리 부실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건물설계(철 나선형 계단, 튀어 나온 창 문 틀)
고혈압&당뇨&고지혈증 &간장질환 예방
진단결과상 고혈압 의심 근로자가 11명진단결과상 고지혈증의심 근로자가 7명
진단결과상 간장질환주의 근로자가 7명
진단결과상 당뇨 의심 근로자가 3명
질병에 대하여 인식 결여 & 미실행
건강증진
산업장 재해에 대한 교육 지식 부족
질병에 대한 인식 결여 & 미실행
쉬는 시간에 스트레칭 이외의 tea time을 주로 갖음.
12. 우선순위
우선순위
간호진단
재발과
예방가능성
문제의
심각성
산업장
관련성
실행
가능성
자원동원
가능성
보건관리자
준비도
합계
①
높은 사고발생 위험성
0
②
높은 소음성난청 발생률
③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
④
부적절한 근무환경
⑤
고혈압&당뇨&고지혈증 예방
⑥
건강증진
추천자료
쯔쯔가무시케이스
폐암케이스, 폐암case, 폐암간호과정, 폐암, lung cancer case, lung cancer, lung
산업장실습 - 개인사례적용 (파워포인트)
산업장실습 - 가족간호사례
[성인간호학] [고혈압]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
폐렴 간호 case,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폐렴 사례관리, 폐렴 간호진단, 아동간호학 케...
보건사업, 금연프로그램, 산업장금연사업, 금연의효과, 금연전략, 금연프로그램개발, 금연사...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ICH 간호과정, ICH 케이스, ICH 케이스 스터...
조현병케이스 간호과정3개
[사회복지실천기술] 케이스워크의 개념과 실천모델, 케이스워크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사회복지 실천방법(개별사회사업, 가족치료, 집단사회사업, 사례관리, 지역사회복지, 사회복...
[간호학] 보건사업의 전략개발과 시나리오의 산업장 금연 사업진행을 위한 전략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