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결혼문화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의 결혼문화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결혼에 대한 이해
1. 결혼의 정의
2. 결혼의 의의
3. 결혼의 동기

■ 배우자 선택에 관하여
1. 배우자 선택에 관한 이론
가. 교환이론
나. 공평이론
다. 상보적 욕구 이론
라. 여과망이론
마. 가치 자극 역할 이론
2. 배우자 선택의 유형
가. 중매혼
나. 절충형
다. 자유혼
3. 배우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 결혼 문화의 현황
1. 설문 조사로 알아보는 한국 미혼 남녀 배우자의 선택 조건
첫 번째,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있어 오늘날의 현대인들이 중요시 하는 조건
두 번째, 연봉 차에 따른 커플들의 연령 차이
세 번째, 미혼남녀가 선호하는 결혼 상대
2. 한국의 혼인 의례
가. 전통적 혼례문화
나. 현대의 혼례문화
3. 한국의 결혼 비용

■ 결혼을 하기까지 접하게 되는 여러 문제점
1. 늘어나는 주택 마련을 위한 결혼 비용의 문제
2. 결혼정보업체의 폐단
3. 혼인 의례에 의한 우리사회의 문제
4. 예식 업체의 폐단
5. 결혼에 대한 잘못된 인식

■ 바람직한 우리의 결혼 문화를 위한 대안

본문내용

시하는 행태는 대다수 국민들의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예식을 오히려 부끄럽게 여기는 사회분위기를 만들어내 계층간 위화감을 조성하고 사회 전체의 결속을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지도층의 호화사치 혼례를 뿌리 뽑고 사회지도층이 주도하는 새로운 가정의례 관행을 이끌어내야 하며, 건전의례 운동의 방향 또한 사회지도층의 호화사치 예식을 감시하는 negative 운동보다는 사회지도층의 건전의례 모범사례를 발굴, 이를 확산하는 positive 운동으로의 전환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사회지도층은 혼례를 개인 및 가족친지들만의 사적행사로 국한하여 하객의 거품을 최소화하고, 자녀의 경제능력을 초과하는 일정금액 이상의 결혼비용 지출에 대해서는 세법이 정하는 대로 세금을 자진 납부하는 등 새로운 관행을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정 직급이상의 고위 공직자 또는 사회지도층이 자녀 결혼식을 앞두고 바람직한 결혼식을 하기 위한 결혼 전반에 관한 "혼례에 대한 사회지도층 윤리지침"등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민단체 등 민간자율의 "가정의례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여 모범적인 사회지도층 혼례사례를 발굴확산하고, 호화사치 혼례를 상시 감시하여 혼례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 고취를 통한 건전혼례 분위기의 급속한 확산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현행법상 부모지원 혼례비용이 3,000만원을 초과하게 되면, 초과부분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하도록 되어 있지만 경제능력이 없는 사회지도층 자녀들의 호화사치 결혼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된 사례는 전무한 실정으로 3,000만 원 이상을 초과한 혼례비용지원에 대해 자진하여 세금을 납부하는 사회지도층의 솔선수범이 필요하다.
3) 가정의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시스템 구축
혼례 당사자들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가정의례 실천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제공이 필수적인데, 우리의 현실은 혼례 당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절히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사업자와 소비자간 정보의 비대칭을 야기하고, 이는 끼워 팔기 등 사업자의 폭리를 가능케 하여 불건전한 의례를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혼례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매우 부족한 20대 신세대들의 경우는 자신의 혼례를 부모 또는 고령자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이러한 혼례에 대한 무지를 업자들이 악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의례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시스템 구축이 필요한데, 가정의례 관련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한 가정의례 전반에 대한 정보망 구축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재 생활개혁실천협의회는 자체 인터넷 홈페이지를 제작, 관련 정보를 보급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관련 예산과 인력을 보강하여 가정의례 전반에 대한 최근 정보를 상시적,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정의례 관련 정보의 상시적, 지속적 제공은 향후 건전 가정의례 정착에 기여하며, 특히 혼상례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부담을 경감하여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관련 정보제공을 통해 가정의례와 관련된 소비자피해를 사전 예방할 수 있으며, 우수사업자와 소비자피해 다발업체들을 공개함으로써 사업자들의 소비자지향적인 고객만족 경영을 체질화에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건전 가정의례를 위한 소비자, 사업자, 정부의 상호협력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4) 건전 혼례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홍보 강화
건전 혼례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혼례당사자 스스로 혼례문화의 본질적 의미를 깨달아야 하며, 건전 혼례문화 실천방안에 대해 알고 있어야 이를 실천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의 현실은 건전 가정의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20대 신세대의 경우 가정의례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향후 21세기의 바람직한 혼례문화 정착은 20대 신세대들에 의해 주도될 수밖에 없는데, 최근 핵가족화, 산업화의 진전 등의 영향으로 우리의 혼례문화와 바람직한 실천방안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20대 신세대들의 혁신적이고, 진취적인 생각이 반영된 선진화된 혼례문화 창출은 고사하고 혼례 전반에 대한 무지로 구태를 답습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호화사치 혼례를 주도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건전 혼례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을 상대로, 혼례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교육홍보캠페인을 지속적, 상시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혼례문화 전반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서를 제작배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낭비적이고 허례허식적인 가정의례를 일소하고, 건전 가정의례를 정착시키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적정한 예산을 편성하여 방송,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를 지속적, 상시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건전 혼례문화 정착을 위한 홍보와 교육에 대한 정부의 충분한 지원은 건전 가정의례를 통해 연간 8조원 이상의 개인 및 사회적 부담을 경감하며, 건전하고 합리적인 국민의식 및 관행의 단초를 마련하여 국민의식의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급히 서둘러야 할 정책과제로 판단된다.
※ 참고문헌 ※
-http://news.naver.com/vod/vod.nhn?office_id=214&article_id=0000061255§ion_id=103§ion_id2=336
-http://news.naver.com/vod/vod.nhn?mode=LSS2D&office_id=055&article_id=0000110469§ion_id=115§ion_id2=292
-http://news.naver.com/vod/vod.nhn?mode=LSS2D&office_id=214&article_id=0000035379§ion_id=115§ion_id2=289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NFPlayer.swf?vid=BA193C662003F29BDE7DF9D37289474B4F81&outKey=57fbeb0089c2ce8188680a0f78a2212e667c41ffe0162008be323f11914dea2123e5d3ca96719b0912bb3b9e2cbc6c4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