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자의 생애
3. 시대적 배경
(1) 하은대(夏殷代)
(2) 주대(周代)
3. 시대적 배경
(1) 하은대(夏殷代)
(2) 주대(周代)
본문내용
국시대에 해당하는 1337명을 1차로 추출하고 이중 『春秋左傳』의 해당기간(B.C. 722-464)과 관련된 516명을 편의상 30년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해 나가고 있는데 그가 여기서 기본적으로 내세우는 전제는 위의 고전속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들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이 아니었다면 등장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 516명 속에는 제후의 형제 및 자제, 경, 대부, 사의 지배계급과 史官(clerk-scribe), 노예, 서민, 무분류가 포함되었다. 그에 분석에 의하면 대부의 세력이 막강하고 제후들의 세력이 미약하여 대부에 의한 과두제가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두제가 사회계층이동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로, 卿家가 실질적인 권한을 쥐고 있기 때문에 제후는 명목상 주권만 갖게 되고 따라서 사회적 지위는 변함이 없지만 실제로는 신분이 하락되었다.
둘째로, 제후는 자제들의 정부내의 주요관직을 卿家에 내어주게 됨으로써 결국 하강적 계층이동(downward mobility)이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셋째로, 이와 관련하여 大夫家의 상향적 계층이동(upward mobility)이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넷째로, 전국시대 개막 후 몇 십년간 춘추의 卿家들에 속했던 대부중 한명도 기록속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계층이동에 있어 제후 국내 갈등의 가장 중요한 영향이다.
다섯째로 士계급의 대두인 데 이 계급은 원래 卿家의 家臣(steward)무사로 구성되었다. 시대의 변화와 아울러 교육받은 귀족계급의 자제와 가장 능력있는 서민으로까지 확대된 士계급은 결국 봉건제 행정부의 토대가 되었다.
여섯째로, 서민들에 대한 大夫계급의 관심고조였다. 귀족간의 갈등이 지속되는 동안 서민들의 지지는 하나의 중요한 버팀대가 되었으며, 야심만만한 귀족들은 다중의 힘을 간혹 이용하였던 것이다.
춘추전국시대이후 사회동요의 주요인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주의 동천이후 주의 천자는 명의상으로는 천하의 공주였지만 실제로는 제후보다도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었으며 각 제후국들은 서로간의 무력을 사용하여 토지를 쟁탈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패권다툼이 벌어졌다. 이러한 세력다툼은 막강한 경제력을 배경으로 한 경대부로 옮겨지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士계급의 진출이 나타나게 되었고 공자학당의 존재의의가 성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주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계급제의 동요와 士 등 신흥계급의 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후국간의 갈등, 제후와 대부간의 갈등, 대부간의 갈등 사이에 士집단은 그들에 중용되어 그들의 권력 강화 또는 통치권강화에 일조하게 되었으며 이는 종법지배질서의 해체에 의해 발생한 이러한 혼돈의 와중에서 봉건제후나 강력한 귀족이나 가릴 것 없이, 모든 지배 권력의 소유자들은 관료적 중앙집권의 조직화를 위해 士계급의 사회적 지위상승을 강하게 촉진시켰으며 이를 계기로 춘추시대 혼돈상황의 구제와 탈피를 목표로 공자학당을 비롯한 사상가들의 집단이 대두하게 되었던 것이다. 전세영(1990),“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1-26.
참고문헌
논어
맹자
예기
계명원(1981)역주, 논어, 삼중당
고재욱 외 3인(2003), 현대사상과 동양사상, 강원대학교출판부
김석원(1995), 역해, 논어, 혜원출판사
노승현(1994) 역, “중국고대정치사상”, 예문서원
박수성,신채식 공저, “문화사개론, 법문사, 1978
서복관, “중국인성사론”, 상무인서관, 1980
송영배(1986), “중국사회사상사”, 한길사
양필승(1991) 편, “중국의 농업과 농민운동”, 한나래
이을호(1975) 다산학의 이해, 서울, 현암사,
임효섭(1991)외 역, “중국통사강요”
조성을(1990)외 역, “유교사”, 이론과 실천,
최형식(2002), “유교윤리와 인도주의”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상연구회편(1989), “교육사상가평전”
김충렬(1968), “중국철학사상의 배태시고”, 동서문화 2집, 계명대학교동서문화연구소
권오용(2000), “공자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종승(1997), “공자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세영(1990),“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su-Cho-yun(1965), Ancient China in Transition, Stanford:Stanford Univ, Press
첫째로, 卿家가 실질적인 권한을 쥐고 있기 때문에 제후는 명목상 주권만 갖게 되고 따라서 사회적 지위는 변함이 없지만 실제로는 신분이 하락되었다.
둘째로, 제후는 자제들의 정부내의 주요관직을 卿家에 내어주게 됨으로써 결국 하강적 계층이동(downward mobility)이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셋째로, 이와 관련하여 大夫家의 상향적 계층이동(upward mobility)이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넷째로, 전국시대 개막 후 몇 십년간 춘추의 卿家들에 속했던 대부중 한명도 기록속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계층이동에 있어 제후 국내 갈등의 가장 중요한 영향이다.
다섯째로 士계급의 대두인 데 이 계급은 원래 卿家의 家臣(steward)무사로 구성되었다. 시대의 변화와 아울러 교육받은 귀족계급의 자제와 가장 능력있는 서민으로까지 확대된 士계급은 결국 봉건제 행정부의 토대가 되었다.
여섯째로, 서민들에 대한 大夫계급의 관심고조였다. 귀족간의 갈등이 지속되는 동안 서민들의 지지는 하나의 중요한 버팀대가 되었으며, 야심만만한 귀족들은 다중의 힘을 간혹 이용하였던 것이다.
춘추전국시대이후 사회동요의 주요인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주의 동천이후 주의 천자는 명의상으로는 천하의 공주였지만 실제로는 제후보다도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었으며 각 제후국들은 서로간의 무력을 사용하여 토지를 쟁탈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패권다툼이 벌어졌다. 이러한 세력다툼은 막강한 경제력을 배경으로 한 경대부로 옮겨지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士계급의 진출이 나타나게 되었고 공자학당의 존재의의가 성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주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계급제의 동요와 士 등 신흥계급의 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후국간의 갈등, 제후와 대부간의 갈등, 대부간의 갈등 사이에 士집단은 그들에 중용되어 그들의 권력 강화 또는 통치권강화에 일조하게 되었으며 이는 종법지배질서의 해체에 의해 발생한 이러한 혼돈의 와중에서 봉건제후나 강력한 귀족이나 가릴 것 없이, 모든 지배 권력의 소유자들은 관료적 중앙집권의 조직화를 위해 士계급의 사회적 지위상승을 강하게 촉진시켰으며 이를 계기로 춘추시대 혼돈상황의 구제와 탈피를 목표로 공자학당을 비롯한 사상가들의 집단이 대두하게 되었던 것이다. 전세영(1990),“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1-26.
참고문헌
논어
맹자
예기
계명원(1981)역주, 논어, 삼중당
고재욱 외 3인(2003), 현대사상과 동양사상, 강원대학교출판부
김석원(1995), 역해, 논어, 혜원출판사
노승현(1994) 역, “중국고대정치사상”, 예문서원
박수성,신채식 공저, “문화사개론, 법문사, 1978
서복관, “중국인성사론”, 상무인서관, 1980
송영배(1986), “중국사회사상사”, 한길사
양필승(1991) 편, “중국의 농업과 농민운동”, 한나래
이을호(1975) 다산학의 이해, 서울, 현암사,
임효섭(1991)외 역, “중국통사강요”
조성을(1990)외 역, “유교사”, 이론과 실천,
최형식(2002), “유교윤리와 인도주의”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상연구회편(1989), “교육사상가평전”
김충렬(1968), “중국철학사상의 배태시고”, 동서문화 2집, 계명대학교동서문화연구소
권오용(2000), “공자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종승(1997), “공자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세영(1990),“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su-Cho-yun(1965), Ancient China in Transition, Stanford:Stanford Univ, Press
키워드
추천자료
[나말여초][6두품세력][지방호족세력][후삼국][나말여초의 시대적 의미]나말여초 시대적 배경...
[마키아벨리군주론, 군주론] 마키아벨리의군주론 감상 및 분석 - 마키아벨리의 생애, 시대적 ...
[정몽주][정몽주의 교육사상][정몽주의 교육철학][유허비][정몽주의 시조]포은 정몽주의 시대...
[중국현대문학A+]노쉰의 아큐정전(아Q정전)작품분석과 시대적,사상적 배경분석 및 김수영 치...
[낭만주의][낭만주의 배경][낭만주의 시대적조건][낭만주의와 과학기술][낭만주의와 루소]낭...
[춘향전][춘향전 갈등구조][춘향전 북한문학사]춘향전의 시대적 배경, 춘향전의 특징, 춘향전...
14세기~19세기 사이 중세봉건시대의 빈민법의 사례들을 시대 순으로 열거하고 그 사례들이 시...
반진(反秦) 세력의 성장과 진의 멸망 [두 이야기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진나라][자객 열전중 ...
서양의 아동문학을 18세기 이전과 18세기 19세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그 시...
[시위][시대적 배경][시위 변화][시위 양상][사회적 지지]시위의 시대적 배경, 시위의 변화, ...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 특징, 원생몽유록 시대적 배경, 원생몽유록 구조, 원생몽유록 현실...
시대적 배경으로 현재 보육정책과 과거 보육정책에 대하여 비교분석하고 자녀를 가진 부모에...
[영유아프로그램] 영유아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가 되는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 문화적 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