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내 친절(CS)교육 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원내 친절(CS)교육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환자의 심리
◎친절교육의 효과

1. 전화예절

2. 환자응대의 기본적인 마음가짐

3. 환자와의 대화법

4. 용모 및 복장

5. 인사법

본문내용

. 이는 눈으로만 웃으면 눈꼬리에 주름살이 생기므로 치즈라는 말을 할 때 입가에 생기는 자연스런 미소를 만들기 위함이다. 그러나 입을 벌리고 큰소리로 웃는다거나 근육은 굳어 있으면서 눈만 돌리는 표정과 웃음은 오히려 부자연스러우니 샘솟듯 우러나오는 자연스런 미소를 지어야겠다.
③ 복장차림
몸차림은 그 사람의 품성이나 교양이나 교양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단정하게 몸치장을 하고 있는 사람을 대할 때에는 청결한 기분이 들지만 그와 반대로 몸차림이 지저분한 사람과 어울리게 되면 자연 불쾌해지는 것을 금할 수가 없을 것이다.
깨끗한 용모와 단정한 차림새로 품위를 유지한다.
◈인사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title 5
인사란?
자신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인격을 쌓는 길이다.
①인사의 기본
인사는
- 예절의 기본
- 인간관계의 출발
- 직장인에게는 애사심의 발로
- 상사에 대한 존경심의 표현
- 동료 간 우애의 상징
- 자신의 인격과 교양을 밖으로 나타내는 것
② 인사의 중요성
-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는 경의 표시
- 정성의 마음으로 하는 친절과 협조의 표시
- 응답보다는 자기가 하는 데 의의
- 즐겁고 명랑한 사회생활, 원만한 대인관계 유지
③ 인사하는 방법
가) 인사할 때의 마음가짐
- 모든 인사는 정중하고 자연스러워야 한다.
- 얼굴의 표정은 밝게 하고 몸가짐은 단정히 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하여야 한다.
- 인사의 기회는 극히 순간적이므로 시기를 놓치지 말고 적기에 실행해야 한다.
- 고개만 숙이지 말고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진실한 자세로 반기고 또 감사하는 마음으로 인사를 하여야 한다.
- 상대가 "나의 인사를 받아 줄 것인가"라는 생각은 절대 금물이다.
- 인사는 당당하고 자신있게 해야 한다.
나) 인사의 시기
- 일반적으로 30보 이내(인사대상과 방향이 다를 때)
- 가장 좋은 시기는 6보(인사대상과 방향이 마주 칠 때)
- 측방이나 갑자기 만났을 때에는 즉시
- 상사를 사외 인사와 함께 복도에서 만났을 경우에는 멈추어 서서 정중하게 인사를 한다.
- 복도에서 상사 한사람을 만났을 경우에는 걸음을 멈출 필요가 없으며 한쪽 옆으로 비키며 가볍게 인사를 한다.
다) 인사하는 동작 및 위치
1) 손의 위치: 여직원은 오른손으로 왼손을 감싸며 아랫배에 가볍게 대고 손등이 보이도록 한다. 손이 몸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손에 힘을 너무 주지 않도록 한다.
2) 다리 및 발뒷꿈치를 붙인 상태에서 양발의 내각이 30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무릎은 펴서 붙이도록 한다. 양다리에 적당히 힘을 주어서 인사를 할 때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3) 머리와 허리 머리만 숙이지 말고 허리와 일직선이 되도록 상체를 굽히고 머리는 허리 선보다 15도~ 20도 더 숙이도록 하며, 턱은 안으로 당겨야 한다.
4) 어깨 어깨의 힘을 빼고 부드럽게 하여, 어깨선이 굽지 않도록 한다.
5) 히프 힘을 주어서 뒤로 빠지지 않게 한다.
6) 시선은 인사하기 전이나 인사한 후엔 상대의 눈을 응시하며, 인사 중에는 자기의 발끝 으로부터 40cm(45도 인사)∼1m(15도 인사) 정도 앞을 바라본다.
④ 인사의 종류
구 분
자 세
용 도
목례
상체를 5° 정도 숙임
차접대시, 자주대할 때 짐을 들었을 때
가벼운 인사
상체를 15° 정도 숙임
간단한 인사, 복도,실내등 좁은 장소, 상사를 두 번이상 만났을 때
보통
인사
상체를 30° 정도 숙임
일반적 인사, 가장 기본이 되는 인사로서 상사, 웃어른에 대한 인사
정중한 인사
상체를 45° 정도 숙임
고객맞이와 배웅, 사과할 때, 감사의 뜻을 전할 때
기 타
악수나 포옹등이 있음
⑤ 장애우에 대한 예절
(지체 부자유자)
1) 휠체어 사용자가 거리에서 곤란해 할 경우를 보면 먼저 말을 걸어 주도록 한다.
2)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2, 3명이 호흡을 맞춰서 천천히 휠체어를 들어야 한다.
3) 보행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들. 즉 목발이나 의족 등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자리를
양보한다.
4) 목발 사용자는 계단이나 턱에서 곤란을 느낄 때가 많다. 어떤 도움이 필요한가를 물어
보고 본인이 원하는 대로 도와주도록 한다.
5) 비오는 날 목발 사용자는 우산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일 곤란을 느낀다. 옆에 있는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도와 주여야 하며, 특히 이런 날은 바닥이 미끄러우므로 부딪
치는 일이 없도록 잘 도와주어야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