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인사상의 형성과 체계
1. 최고 덕목으로서의 인
2. 인의 실천원리로서의 효제
3. 인의 궁극적 지향 : 애중
4. 규범으로서의 예ㆍ도
Ⅲ. 인사상의 정치적 이념
1. 인도의 실천으로서의 덕치
2. 우선적 고려대상으로서의 민본
Ⅳ. 결 론
참고문헌
Ⅱ. 인사상의 형성과 체계
1. 최고 덕목으로서의 인
2. 인의 실천원리로서의 효제
3. 인의 궁극적 지향 : 애중
4. 규범으로서의 예ㆍ도
Ⅲ. 인사상의 정치적 이념
1. 인도의 실천으로서의 덕치
2. 우선적 고려대상으로서의 민본
Ⅳ.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면 인사상이라 할 수 있다. 그 자신이 도달하지 못했다고 인정하고 있으나 끊임없이 도달하고자 노력하여 마침내 70세에 이르러서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 하여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는” 論語, 爲政,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경지에 왔으니 인사상을 실현한 성인이라 하겠다. 인자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자가 말하는 인간은 혼자만 있을 때의 내면적인 인간과 인간관계속에 사회적 인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면의 인간이 모두 완벽하게 갖추어졌을 때 인이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공자는 인을 매우 중시하였으면서도 동시에 효제(孝悌)와 충서(忠恕)를 강조하고 있었다. 가(家)의 내부문제를 효제에, 외부문제를 충서라고 하는 윤리와 정치를 연결시킨 이중적 방법을 강구하였다. 다만 효제는 가정에 국한되어 사회 일반에 통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남과 나 그리고 가정과 사회를 완전히 관통할 수 있는 동정심(仁)의 무한한 확대인 충서를 강조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가 중시한 인은 윤리의 근거인 동시에 정치의 원칙으로서 춘추라고 하는 사회 및 시대의 지도 이념으로서의 성격을 디고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인은 인간의 내제적인 심정에 호소함으로써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점에서는 장점이지만, 현실 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에는 거리가 멀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그가 목격한 현실로서의 정치적인 상황의 타개를 위해 또 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전락희,『동아시아의 고대정치사상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pp.31-34.
인에 대한 공자의 여러 가지 대답을 종합해 보면, 그것은 모든 덕목을 총괄한 인격의 표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인의 정치적 의미는 그 당시 정치의 주체인 군주가 먼저 인간다운 인간이 되어 정치의 객체인 백성을 교화하여 인류 전체의 생활을 가장 원만한 이상에 도달케 하려는 지도 이념이라 하겠다. 때문에 유가를 일려 수기치인지학(修己治人之學) 또는 내성외왕지학(內聖外王之學)이라 한다.
교양을 함양하고 인격을 도야함으로써 다른 사람 (피치자 대중)을 교화하고 지도하는 것이 수기치인지학이라면, 성인의 덕성을 갖추고 밖으로는 천하를 다스릴 수 있는 경륜을 지니는 것이 내성외왕지학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적인 성장이나 성숙에 머물지 말고 사회적인 책무를 동시에 묻는 것이 유가의 특징이자 정신이다.
참고문헌
김응근(1984), “중국철학사”, 장학출판사.
노승현(1994) 역, “중국고대정치사상”, 예문서원.
사부아, “중국정치사상사”, 중정서국, 1956.
사유위(1966), “유가담인적 특성”, 화학월간(華學月刊) 제 67기, 화강교유회.
양필승(1991) 편, “중국의 농업과 농민운동”, 한나래.
오 강(1971), “공맹순 철학”, 상책 상무인서관, 중화민국.
왕희원(1988), “논어통역”, 학생서국.
전락희,『동아시아의 고대정치사상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최근덕(1993), “논어인간학”, 열화당.
경지에 왔으니 인사상을 실현한 성인이라 하겠다. 인자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자가 말하는 인간은 혼자만 있을 때의 내면적인 인간과 인간관계속에 사회적 인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면의 인간이 모두 완벽하게 갖추어졌을 때 인이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공자는 인을 매우 중시하였으면서도 동시에 효제(孝悌)와 충서(忠恕)를 강조하고 있었다. 가(家)의 내부문제를 효제에, 외부문제를 충서라고 하는 윤리와 정치를 연결시킨 이중적 방법을 강구하였다. 다만 효제는 가정에 국한되어 사회 일반에 통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남과 나 그리고 가정과 사회를 완전히 관통할 수 있는 동정심(仁)의 무한한 확대인 충서를 강조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가 중시한 인은 윤리의 근거인 동시에 정치의 원칙으로서 춘추라고 하는 사회 및 시대의 지도 이념으로서의 성격을 디고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인은 인간의 내제적인 심정에 호소함으로써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점에서는 장점이지만, 현실 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에는 거리가 멀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그가 목격한 현실로서의 정치적인 상황의 타개를 위해 또 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전락희,『동아시아의 고대정치사상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pp.31-34.
인에 대한 공자의 여러 가지 대답을 종합해 보면, 그것은 모든 덕목을 총괄한 인격의 표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인의 정치적 의미는 그 당시 정치의 주체인 군주가 먼저 인간다운 인간이 되어 정치의 객체인 백성을 교화하여 인류 전체의 생활을 가장 원만한 이상에 도달케 하려는 지도 이념이라 하겠다. 때문에 유가를 일려 수기치인지학(修己治人之學) 또는 내성외왕지학(內聖外王之學)이라 한다.
교양을 함양하고 인격을 도야함으로써 다른 사람 (피치자 대중)을 교화하고 지도하는 것이 수기치인지학이라면, 성인의 덕성을 갖추고 밖으로는 천하를 다스릴 수 있는 경륜을 지니는 것이 내성외왕지학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적인 성장이나 성숙에 머물지 말고 사회적인 책무를 동시에 묻는 것이 유가의 특징이자 정신이다.
참고문헌
김응근(1984), “중국철학사”, 장학출판사.
노승현(1994) 역, “중국고대정치사상”, 예문서원.
사부아, “중국정치사상사”, 중정서국, 1956.
사유위(1966), “유가담인적 특성”, 화학월간(華學月刊) 제 67기, 화강교유회.
양필승(1991) 편, “중국의 농업과 농민운동”, 한나래.
오 강(1971), “공맹순 철학”, 상책 상무인서관, 중화민국.
왕희원(1988), “논어통역”, 학생서국.
전락희,『동아시아의 고대정치사상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최근덕(1993), “논어인간학”, 열화당.
키워드
추천자료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상국가에 대한 이론과 정치적 이상과 교육 이상에 관하여
사단칠정의 정치적 의미
현대 중국의 정치적 주요인물
사회주의 체제 군대의 정치적 역할
일본의 새로운 민족주의 전개양상과 재일한국인과의 정치적 관계
현대 민주주의론의 이론적 동향과 정치적 지형
정치문화 정치사회와 및 정치적 인간
로마시대 크리스트교 발전과 정치적 의미
[정치학A+]장면정권 성립배경과 장면정부의 정치적 한계 분석 및 장면의 리더십 분석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정치적 세력화에 따른 가족정책의 형성과정과 성격에 관한 연구
문화의 기능(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기능)
시민사회의 다양한 얼굴)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얼굴
나치즘의 역사적 시각 정치적 시각 문화중심으로0k
정치체제를 알고 한국의 정치적 개선안 알아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