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정명사상0k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의 정명사상0k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자의 정명이란?

2. 인정과 정명사상

3. 정치의 선행요제 정명

4. 정명과 직분

5. 정명의 주도자-군자, 선비

6. 호적(胡適)의 정명 구분

7. 정치적 입장에서 본 공자의 정명론

8. 정명비판

9. 정명(正名)의 실현

10. 정명의 현대적 의미


참고자료

본문내용

극목표를 두고 있음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공자의 정명론에 있어서 착한 것을 본받고 악한 것을 고l도록 하는 도덕적 교화는 매우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그 결과 이루어지는 궁극적 목표가 이상적 사회로서의 ‘大同世界’이며 ‘平天下’의 세계이고, 공자가 꿈에도 못 잊어 하던 “吾從周”의 세계이다. 이렇게 규정된 공자의 정명론은 그 방법과 목표에서 철저하게 도덕적 교화론의 성격과 기능을 함유하였고, 그것은 또한 시대현실에 대한 공자의 역사의식과 결합하여 춘추대의정신으로 발전ㆍ전개되었다. 송인창, 선진 유학에 있어서의 천명사상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120쪽.
그러면 공자가 말하는 도덕정치는 어떤 것인가? 정치를 행하면서는 겸손하고 근신하여 백성들에게서 신임을 얻고, 경제적으로 백성을 부유하게 하면서 자신은 검소하고, 예의와 충심으로 백성을 사랑하고 섬기는 도덕을 근간으로 하는 정치를 말한다. 그는 정치를 바르고(正) 곧은 것(直)이라 말하면서, 바르고 곧은 사람을 등용하여 예의와 겸손으로 백성을 다스리게 하면 그 백성들도 자연히 복종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공자는 백성을 덕으로 다스리고 예의로 바르게 세우면 염치를 알고 바르게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그 자신이 높은 도덕적인 수양을 가져야 된다고 말한다. 통치자가 바르면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백성들이 알아서 행하게 된다. 그가 바름으로 백성을 이끄는데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느냐고 말한다. 이러한 도덕적 기초 위에 공자는 이름과 그 지칭하는 실질적 내용이 바르게 합하여야 하는 정명(正名)을 말하였다. 지도자는 지도자다워야 하고, 백성은 백성다워야 한다. 즉 자기의 직분에 맞게 충실히 최선을 다 하여서 인간의 숭고한 가치를 실현하자는 것이 그에 지도 이념이다. 이를 인본주의, 즉 인간이 모든 가치의 중심이 되는 이인위본(以人爲本)이라고 하며, 이것이 곧 공자의 지도자상인 것이다.
3. 정명의 현대적 의미
정명의 의의를 현대적 의미로 분석하여 본다면, 국가의 질서를 유지하는 명분과 무도한 무리들을 몰아내는 혁명적 의미가 함께 포함되어져 있다고 하겠으며, 이러한 정명론은 공자의 정치적 예론의 핵심이 된다.
다음으로 정명사상의 기반 위에서 공자 철학의 핵심인 인사상의 이론적 구조가 성립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공자의 仁사상은 존재원리와 당위 원리의 일치로 주장되고 있는 바, 공자 仁사상에는 이미 존재 원리와 당위 원리의 일치로 주장되고 있는바, 孔子 仁사상에는 이미 존재와 당위의 일치로 대표되는 名과 實의 일치라는 인식론적 정명의 관점이 전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명과 실의 일치로 주장되는 공자의 정명사상은 기본적으로 가치와 실천의 일치로부터 言과 行의 일치 및 존재와 당위의 일치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로부터 공자의 정명사상은 유가철학의 전통상 도덕적 실천론 및 수양론 나아가 심성론 등의 이론적 성립 기반을 이루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공자가 주장하고 있는 명과 실의 일치는 주로 정치적ㆍ사회적 조화와 질서의 측면에 중점을 둔 것이다.
공자 정명론에 있어서 명과 실의 일치는 주로 도덕적 차원에서 가치와 실천의 일치로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공자의 정명사상은 윤리적ㆍ정치적 방면의 도덕적 실천이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공자의 정명사상은 형이상학적 본질주의 입장 또는 윤리학적 자연주의의 입장에서 전통상의 사유구조를 명과 실이 일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명과 실의 일치는 가치와 생명 즉 당위와 존재의 일치라는 공자 철학의 학적 탐구 활동 이전의 기초적 결단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명과 실이 일치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지 않는 한, 공자 철학에 있어서 도덕의 실천이나 이에 따른 정치적 사회적 질서와 조화의 실현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강기수, “공자의 정명사상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1쪽.
孔子正名思想은 禮治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이다. 그것은 책임과 의무에 관한 것이다. 周末의 공자시대는 무도의 시대였다. 따라서 각자의 책임과 의무는 소홀히 여겨졌고 하극상이 횡행하였다. 하극상의 풍조는 사회적 불안과 무질서의 첩경이다. 공자는 이것을 바로 잡기 위한 방책으로 정명을 주장하였고 춘추를 저술 하였다. 正名이란 ‘이름을 바로 잡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각자의 지위와 위치에 맞게 분수를 지키는 것’을 말한다. 분수를 지킨다 함은 자기의 위치에서 책임과 의무를 다함을 말한다. 공자가 ‘政者政也’라고 한 것은 바로 각자가 맡은 책임과 의무를 다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무질서를 바로 잡겠다고 함을 이른 것이다. 그런데 정명은 반드시 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점에서 정명은 덕치의 규범주의와 일치점을 이루고 있다. 被治階級에만 그것이 강조되고 支配階級에는 적용되지 않을 때 그것은 혼란으로 연결된다. 그것은 지배계급간의 갈등을 정당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배계급이 우선 그 이름에 맞게 행동하고 名分있게 행동할 대 사회질서는 안정되게 되는 것이다. 공자의 정명사상은 안정된 사회질서의 구축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그 제1원리로서 그는 ‘君君臣臣父父子子’를 주장하였던 것이다. 전세영(1990), 「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37-140.
참고자료
논어(論語)
민두기, 『유교사상속에 역사의식』, 창작과 비평사, 1985.
송영배, 『중국사회사상사』, 한길사, 1986.
안종윤 『세계화 시대의 신도덕 정치철학 연구』, 학문출판사, 1996.
이기동 『영원한 인류의 스승 공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임효선, 『삶의 정치사상』, 한길사, 1986.
장기윤, 『공자학설의 현대적 의의』, 형설출판사, 1881.
최근덕, 『유학강의(Ⅰ)』, 성균관 부설 유교문화연구위원회, 1987.
호 적, 『중국고대철학사』, 민두기 외역,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5.
조준하, “예론의 연원과 그 전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황호, “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추천자료

  • 가격4,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