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현대사회에서 적용과 한계 00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의 현대사회에서 적용과 한계 0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교의 인간 관리 리더십
2. 유교의 현실적 적용의 현대적 의의
1) 공자철학의 현대적 의의
2) 현대사회에서의 유교의 함의적 원리
3) 인간중심주의 개혁
4) 공자사상(유학)이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3. 유학과 현대교육
4. 유학과 현대정치
1) 정치의 이상: 인간 공동체 대 개인적 권익의 보호
2) 권력의 원천 : 천명 대 민주
3) 권력의 역할 : 지도 대 대리
4) 통치의 방법 : 덕치 대 법치
5) 민의 위상 : 도리의 주체 대 권리의 주체

5. 공자사상의 현대 민주주의에의 적용
6. 한국 유교의 가능성과 한계
1) 가능성으로서 새로운 활력을 발현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
2) 고식적인 현상유지에 머무를 위험도 크다.
3) 사실상 유교가 한국사회에서 사라져 버릴 가능성도 매우 높다.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는 데 있다. 군자의 덕치는 통치행위 그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군자가 모든 면에서 모범을 보임으로써, 즉 規範主義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다. 군자가 모법을 보이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철저한 수양이 되어야 한다. 이 점은 孔子思想의 도덕철학적 측면 가운데 修身論과 연계된다. 德治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신은 군자에게만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군자에게는 불가결한 것이다. 따라서 공자는 수신된 군자가 통치자로서 규범주의에 입각해서 통치할 경우 無爲之治가 가능하다고 했다. 통치자가 無爲之治한다는 것은 통치자로서 직무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孔子德治論이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통치자가 관리에게 대폭 권한을 위임하였음이 내포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통치자 일인에게 권한이 집중됨으로써 오는 獨裁政治의 발생가능성을 예방하였다는 면이 있고, ‘君臨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立憲君主制의 싹을 거기서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인간본성을 선한 것으로 전제하였다는 점이다. 물론 性善說은 孟子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립된 것이기는 하지만 군자의 덕에 의해 모든 사람이 감화를 받는다는 것은 孔子가 인간본성을 善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셋째는 덕치가 군자에 의하여 행해지되 그것은 국민의 신뢰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국민의 신뢰는 민주주의정부가 첫째로 구비해야 할 요소이다. 공자는 民富, 軍事, 民信가운데 民信을 가장 으뜸 되는 것으로 여긴 바 있다. 이것은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정부나 통치자는 존재할 수 없으며 덕치로서 仁政을 베풀 수도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는 통치자로서가 아닌 官吏로서의 군자가 기본적으로 몇 가지 사항이 구비될 때 덕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것은 관리로서의 군자는 우선 투철한 책임감이 있어야 하며,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으면 안 되며 부정부패에 물들어서는 않 되고, 소신을 갖고 행정에 임하여 통치자인 군주에게 간언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통치자로부터 통치의 위임을 받은 관리는 이러한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백성의 모범이 되며 그럼으로써 德治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넷째, 예치주의의 의의이다.
예치는 덕치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따라서 예치속에는 통치의 틀이 요구되는데,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바로 禮이다. 통치규범으로서 예는 사회질서의 확립을 제1차적 목적으로 한다. 공자는 예가 당초에 갖고 있던 종교적 성격에서 탈피하여 합리적 행위규범으로서 체계화시켰다. 합리적 행위규범이란 피치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통치자에게도 함께 적용되는 것이다. 그것은 예가 갖는 사회적 통합기능과 일체감 고양기능과 연계된다. 공자시대 周末社會는 권력정치적 성격을 갖는 사회이기 때문에 권력을 소유한 者들간에 투쟁의 시대였던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통합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고 혼란의 연속 이였으며 국가나 만족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 간에 일체감도 없었다. 공자는 이러한 사회적 혼란을 예라는 보편적 행위규범을 통해서 바로 잡으려 했다. 보편적 행위규범으로서 예는 좁게는 가족사회의 질서 확립, 넓게는 국가사회의 무질서극복을 위한 규범으로서 사회적 제제력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위배할 때 법과 같은 타율적 구속력이 있어서 형벌을 수반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가지나 자율적 제제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사회적 행위의 기준으로 孝와 悌를 기본으로 삼았다. 따라서 효와 제라는 사회적 행위기준은 윤리적으로 개인적 행위와 분리 불가능함을 나타내주고 있다. 공자는 개인적 행위기준이 효와 제를 사회적으로 확대 적용함으로써, 다시 말해서 국가윤리를 사회윤리로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무질서를 수습하려고 통치자의 일방적인 통치규범으로서가 아니라 통치자와 피치자가 공감하고 이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규범으로서 예를 의미부여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예는 통치자의 원할 한 통치를 가능케 하기 위한 일방적 규범이라는 오해에서 해방될 수 있을 것이며 공자의 예치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예는 봉건지배계급의 이익을 옹호하고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지배 피지배계급의 공통된 가치인식에 그 전제를 두고 있는 만큼 민주주의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공자를 다만 단순한 합리적인 휴머니스트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그는 단순한 과거의 모방이 아니라 야스퍼스의 표현과 같이 영원한 진리의 반복을 주장함으로써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살아있는 교훈을 주고 있는 것이다. 공자는 인간을 “생각하면서 동시에 행동하는 존재”로 보았다. 따라서 그는 인간을 신뢰하였다. 모든 위대한 사상은 현실적으로는 위기를 인식하고 그것의 타개를 그 목표로 한다. 공자사상도 오늘날과 같은 社會的 政治的 倫理的 道德的 위기위식의 자각에서 그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시대적 배경은 다르지만 공자시대의 社會的狀況과 오늘날의 우리시대의 상황은 여러 가지 점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공자는 꿈만 추구하는 몽상가가 아니라 진정한 전통주의자였다. 그것은 과거로부터 당시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점의 모색이었고, 그러기에 그의 사상은 오늘날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을 사는 우리도 이러한 공자사상으로부터 오늘날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점을 도출해 낼 수 있는 것이며, 그 충분한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전세영(1990),「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8.
참고문헌
김응근(1984), “중국철학사”, 장학출판사.
노승현(1994) 역, “중국고대정치사상”, 예문서원.
사부아, “중국정치사상사”, 중정서국, 1956.
사유위(1966), “유가담인적 특성”, 화학월간(華學月刊) 제 67기, 화강교유회.
양필승(1991) 편, “중국의 농업과 농민운동”, 한나래.
오 강(1971), “공맹순 철학”, 상책 상무인서관, 중화민국.
왕희원(1988), “논어통역”, 학생서국.
전락희,『동아시아의 고대정치사상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최근덕(1993), “논어인간학”, 열화당.
  • 가격4,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