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유교의 천(天)과 천명관(天命觀)00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 유교의 천(天)과 천명관(天命觀)00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천(天)이란
2. 천명(天命)
3. 천(天) 관념의 변천
4. 공자의 천명관
5. 공자의 천인합일
6. 유가의 천명사상
1)「천론」분류-천론, 인론, 천인합일
2) 천명사상의 형성과 정치적 천명사상

본문내용

를 통치할 수 있는 자격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으며, 따라서 왕조교체의 근거가 되는 것이었다. 그것은 원래 천자의 전유물이었으나 점차 보편적 개념으로 전환되는 것이 춘추시기의 상황이었다. 한유가 『原道』에서 소위 道通을 말하면서, “周公 이전으로는 위로 군왕이 되지만, 주공이후로는 아래로 신하가 된다.” 라고 한 것은 바로 이러한 상황을 말한 것이다. 곧 공자는 비록 천자가 되지는 못했지만, 「천명」을 지상에 실현할 임무를 부여받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천명은 곧 천으로부터의 임무부여이며, 그 내용은 백성을 살리고 교화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자가 당시 중국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노력하는 것도 비록 자신이 천자나 제후의 위치를 차지하지는 못하지만, 천의 뜻이 어떠한 것인가를 이해한 것이고 또한 그것을 자기의 임무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재봉, “공자의 천인합일사상”,「외대논집 제24집」, 부산외국어대학교, 2002, 408쪽.
셋째, 「천명」은 도덕규범의 원천을 의미할 수 있다. 공자는 “의롭지 못한 부귀는 나에게 뜬 구름과 같다”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論語』 述而).
는 말을 하였는데, 부귀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추구하는 행복의 조건이다. 그렇지만 공자는 그것을 획득하는 데 일정한 조건이 있다고 여기는데, 그것이 바로 선이고 道이다. 의라는 것은 인간들의 행위를 규제하고 지도하는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규범개념이다. 이것은 올바르고 마땅한 것이며, 그 구체적 내용은 예에 규정되어 있다. 의가 내용이라면 예는 형식이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이야기 하면, 義의 판단기준은 전체(公)와 개인(私)의 구분에서 나온다. 여기서 공의 개념은 바로 사회조직에서부터 파생하는 것이겠지만, 그 이론적 근거는 天의 인간에 대한 태도를 들 수 있다. 천명사상에서의 天이 그 이전의 상제에 비하여 다른 점이 있다면, 모든 인간 모든 존재에게 공평무사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천을 천도로서 이해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정치적 천명도 한 개인, 한 왕조에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요건에 부합하는 사람에게 언제나 옮겨갈 수 있는 것이었다.
이렇게 되면 천명은 인간에게 선을 행할 것을 요구하고, 인간의 모든 행위규범 곧 의는 천의 속성인 公을 판단근거로 삼게 된다. 그러므로 공자가 천명을 안다고 할 때는 윤리적 자각을 포함한다. 이것이 곧 맹자의 성선설과 『中庸』의 天命=性, 率性=道라는 명제로 발전된다.
이와 같이 천명은 인간의 한계, 역사의 발전법칙이며, 한 개인의 사명, 모든 행위규범의 근원(도덕의 원천)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천명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공자에 의하면 군자가 두려워하는 대상에 셋이 있는데, 그 첫 번째 것이 천명이다. 소인은 천명을 알지 못하므로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천명은 그 내용이 무엇이든지 간에 총체적으로 인간을 지도하고 제약하는 힘인데 만약 그 한계에서 벗어나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마땅히 두려워해야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러한 한계를 깨닫게 됨으로써 오히려 그 테두리 안에서 유유자적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된다. 곧 오히려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공자가 계속 安貧樂道의 정신도 여기에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그는 천명이라는 말과 명이라는 말을 섞어서 사용하고 있지만, 구태여 구분한다면「명」은 개인적 목숨과 운명을 의미한다. 이재봉, “공자의 천인합일사상”,「외대논집 제24집」, 부산외국어대학교, 2002, 409-410쪽.
2) 천명사상의 형성과 정치적 천명사상
周代에는 殷을 강성하게 하는데 절대적 작용을 하였던 殷代의 질서가 봉건국가의 체제로 대체되고, 은대의 종교적 요소를 계승하여 정치종교화 함으로써 天과 人을 매개시키는 天命思想의 발전을 초래케 하였다. 또한 周나라의 정치적인 안정과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天과 종교의 정책적인 이용과 신화를 창조하여 혁명의 필연성과 그 명분을 강조하는 천명사상을 내세우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殷代의 외재적이고 형식적 상제의 개념은 周代에서는 내재적이고, 인간의 자기 내성을 통하여 인지되는 천으로 등장시켜 殷人의 신 중심사상에서 治民 중심사상으로, 그리고 신중심의 문화를 인간중심의 문화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상제 중심의 종교적 신앙형태가 천과 인간을 매개시키는 천명사상으로 발전되면서 종교적 ‘天’사상의 몰락은 인간중심은 인문정신을 성숙시켰다. 이로써 천은 이제 상고시대와 같은 종교적이고 초월적인 실재의 의미가 희미해지고 인간의 이성 안에서 인간도덕의 연원이자 근거로서 이해하게 된다. 이기호, “공맹의 민본사상에 관한 고찰”,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쪽.
이제까지의 천이 공포와 신비, 외경의 막연한 존재였다면, 이제 공자의 천은 인간존재의 근원이 되는 동시에 도덕성이 품수된 철학적 천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자는 천을 공경하고 숭배하였으나 천에 감시하고, 천을 예배하고, 천에 기도하는 종교의식을 행한 일은 없었다. 그러므로 공자는 정열적 종교가는 아니고 냉철한 이성을 가진 철인이라 할 수 있다.
공자는 「도가 실행되는 것도 천명이고, 도가 폐지되는 것도 천명이다. 公白寮가 천명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인가」고 하였다 이것은 공자가 도의 존폐여부는 오로지 천에 달려있다는 신념을 토로 한 것이다. 천으로부터 부여받은 도를 다시 말해 天道을 인간에게 內在한 것이 德, 즉 인간의 도리, 도덕관이라 여기고 도가 실행되고 폐하게 되는 것은 오로지 천명에 의한 것일 뿐이라고 강조하고 인간이 함부로 할 수 없는 것이라 말한다.
이렇게 볼 때, 공자는 道統傳承의 확신으로부터 문명수호에 대한 역사적 사명의식을 표현하고 先哲들의 天사상을 심화시키고 새롭게 해석하여 더 깊은 의미를 부여하여 도덕적 주체성을 중심으로 인격천을 강조하였던 것으로, 이는 1) 인간의 자율성-주체성의 강조 2) 天性의 내재화에 따른 인간의 도덕적 자각심을 강조 3) 天에 대한 개별성, 단독성이 그 특징을 이루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최성기, “공자의 천인관 고찰”, 전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29쪽.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