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청소년 기본법
의 역사적 의미
2.청소년기본법 의
개정 및 제정의 배경
3.청소년기본법의
새로운 주요 내용
4. 결론
의 역사적 의미
2.청소년기본법 의
개정 및 제정의 배경
3.청소년기본법의
새로운 주요 내용
4. 결론
본문내용
3. 청소년기본법의 새로운 주요 내용
1) 목적과 기본이념
이 법 자체의 목적은 “청소년육성정책”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한다는 것은 종전과 동일하다.(1조)
그러나 이 법이 청소년육성과 관련한 법들의 기본법으로서 가지는 기본이념에 있어서는 두 가지가 보완되었다.(2조)
하나는 종전의 규정이 청소년활동과 청소년복지만을 함축하는 문장으로 되어있던 것을 유익환경 조성과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에 관한 내용을 명시하여 이 법이 청소년육성에 관한 기본법으로서 미치는 하위범위를 보다 명백히 하였다.(2조①항)
둘은 청소년의 자율성을 ‘배려’하는 입장에서 청소년의 ‘직접 참여’를 전제로 하는 입법태도로 발전되었다.(2조2항1호)
2) 청소년육성 관련 개념정의
(1) 청소년의 연령
청소년의 연령을 9-24세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다른 법률의 목적에 따른 이와 다른 규정을 허용하였다.(3조1호)
청소년관련법률들은 각각 그 구체적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하고자 하는 청소년의 연령범위도 달리할 수밖에 없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다만 앞으로 개별법들이 정하는 청소년의 연령에 대한 보다 세심한 검토가 요구된다.
1) 목적과 기본이념
이 법 자체의 목적은 “청소년육성정책”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한다는 것은 종전과 동일하다.(1조)
그러나 이 법이 청소년육성과 관련한 법들의 기본법으로서 가지는 기본이념에 있어서는 두 가지가 보완되었다.(2조)
하나는 종전의 규정이 청소년활동과 청소년복지만을 함축하는 문장으로 되어있던 것을 유익환경 조성과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에 관한 내용을 명시하여 이 법이 청소년육성에 관한 기본법으로서 미치는 하위범위를 보다 명백히 하였다.(2조①항)
둘은 청소년의 자율성을 ‘배려’하는 입장에서 청소년의 ‘직접 참여’를 전제로 하는 입법태도로 발전되었다.(2조2항1호)
2) 청소년육성 관련 개념정의
(1) 청소년의 연령
청소년의 연령을 9-24세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다른 법률의 목적에 따른 이와 다른 규정을 허용하였다.(3조1호)
청소년관련법률들은 각각 그 구체적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하고자 하는 청소년의 연령범위도 달리할 수밖에 없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다만 앞으로 개별법들이 정하는 청소년의 연령에 대한 보다 세심한 검토가 요구된다.
추천자료
교육 및 청소년 관련정책과 법의 이해
청소년 성매매의 현황과 법집행상의 문제점 및 대안
청소년노동의 개념과 관련법,실태,문제점 및 개선방안연구
우울증의 원인과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 및 예방법과 소아, 청소년 우울증과 가면 우울증에 대...
청소년과 아동 관련법 통합방안
청소년과 아동 관련법 통합방안에 대하여 토론(통합안의 반대 입장 과 통합의 문제점)
청소년의 성과 청소년 성문제 유형, 현황, 법, 제도, 서비스 보고서
청소년의 성과 청소년 성문제 유형, 현황, 법, 제도, 서비스 파워포인트 PPT
[아동복지론] 관련법과 전달체계 - 아동복지 관련법, 아동·청소년복지법, 미국 아동복지 전...
청소년기 열등감의 이해 및 대처법 [청소년기 열등감] (열등감 심리학적 이해, 증상, 원인, ...
미성년자 형사법 (미성년자 강력범죄, 형사 미성년자, 소년법, 청소년 범죄 비율).pptx
청소년프로그램 요구분석의 기법 중 서베이의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
영유아 및 청소년건강발달 PPT(영유아모유수유, 청소년결식, 아침결식예방, 아침식사중요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