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자백가의 사회적 배경
2. 사마담(司馬談)의 제자백가론
3. 유흠(劉歆)의 제자백가론
4. 유가(儒家)
1) 공자(孔子)의 사상
2) 맹자(孟子)의 사상
3) 순(荀子)의 사상
5. 도가사상
1)노자(老子)의 사상
2) 장자(莊子)의 사상
6. 법가(法家)사상
1) 한비자(韓非子) 이전의 법가(法家)사상
2) 한비자(韓非子)의 사상
7. 묵자(墨子)(BC 480~BC 390)사상
2. 사마담(司馬談)의 제자백가론
3. 유흠(劉歆)의 제자백가론
4. 유가(儒家)
1) 공자(孔子)의 사상
2) 맹자(孟子)의 사상
3) 순(荀子)의 사상
5. 도가사상
1)노자(老子)의 사상
2) 장자(莊子)의 사상
6. 법가(法家)사상
1) 한비자(韓非子) 이전의 법가(法家)사상
2) 한비자(韓非子)의 사상
7. 묵자(墨子)(BC 480~BC 390)사상
본문내용
보이기 시작했다.
법가들은 대체로 실제적인 정치가로서 내외 정세를 법에 의한 정치로 대처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던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기본토대는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었다. 제(齊)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룬 관중(管仲)이나, '형서(刑書)'를 만듦으로써 실정법을 공포한 정(鄭)의 자산(子産) 등에서부터, '법치(法治)'를 내세워 위(魏)에서 변법을 시행한 것으로 유명한 이회(李 ), 신료들을 통제·제어하는 '술(術)'을 강조한 한(韓)의 신불해(申不害), 그리고 신하가 군주에 복종하는 것은 군주의 세력이지 결코 그의 덕행이나 재능때문이 아니라고 하여 '세(勢)'를 강조한 신도(愼到), 그리고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2차 걸친 강력한 개혁을 단행하여 이후 진(秦)의 통일기반을 제공한 상앙(商 ) 역시 법가(法家)로 유명한 인물들이었다.
2) 한비자(韓非子)의 사상
위의 여러 법가사상을 총망라하고 집대성한 이로서, 우리는 한비자(韓非子)를 들 수 있다. 전국시대 말기는 한창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한 시기였고, 그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부국강병, 그리고 전쟁에 의한 합병이 중시되던 시기였다. 이런 때, 한비자는 기존의 여러 법가사상들, 즉 술(術)·세(勢)와 법(法)을 통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배를 추구하였다. 법(法)과 술(術)·세(勢)를 통합했다는 것은 법치(法治)의 운영방법으로서 술치(術治)와 세치(勢治)를 병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민(民)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법(法)이 필요하고, 관리를 부리기 위해서는 술(術)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法)과 술(術), 그리고 세(勢)는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이라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법치(法治)의 기본은 철저하고 엄격한 상벌(賞罰)을 통해 '사적인 것을 배척하고 공적인 것을 이롭게[排私利公]'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한비자가 집대성한 법가사상은 이후 진시황(秦始皇)과 이사(李斯)에 의해 실현되어, 진(秦)이 춘추전국시대의 분열상황을 극복하고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는 기틀이 되었다. (그러나 진왕조가 단명한 후 한대 이래 법가는 유가에 밀리게 된다. 그 이유는 '교화'나 '위민(爲民)'의 이상이 없다는 데 있다. 법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법에 의한 통치의 정당성 또는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에, 난세를 극복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적합하나 안정 국면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하였던 것이다.)
7. 묵자(墨子)(BC 480~BC 390)사상
묵적과 묵가 집단 은 모든 인민, 국민의 평등을 추구하고, 현실적 이익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서구의 유물론이나 근대의 ‘사회주의’개념과 비슷한 특징을 가직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기자불식 한자불의 노자불식』을 그들이 처한 사회의 상황으로 규정하고, 다른 유자이론의 허위성을 공격하는 것으로 그들의 사상적 토대를 확립했다. 그들 집단의 특징 중 하나는 하층, 피지배층의 고통해결을 위한 하나의 조직체였다는 것 이다. 집단내부의 조직원의 구성 한 그들의 상태를 잘 대변할 수 있게끔 동일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져있었는데, 수어 단적 성격을 띤 수공업자들의 조직으로도 볼 수 있다. ‘춘추좌전’에 보면 묵자시대에 세 차례의 큰 수공업자들의 대모가 있었다고 한다. 이것은 목자가 나타나 그들의 이익을 대변해 주었고, 그만큼 서민들의 자의식이 성장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례로써, 즉, 이 조직체의 특징은 피지배층을 위한 피지배층으로 구성된 조직 이라는 것 이다.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묵가의 방향성이 당시 유행했던 ‘유가’와 완전 반대되는 개념이었기에 거의 모든 면 에서 유가와 대립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 이다. ‘묵가’의 도서는 문장이 간결하고 또 난해한 것이 특징인데, 그것은 당시 주류 에 속하지 못한 묵가 출신의 학자들이 겉으로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도서를 편찬하였기 때문이다. 묵자 사상은 또한 매우 합리적이며 실용적이다. 이런 점은 유가에 대한 묵가의 비판 가운데 잘 나타나 있다. 당시 유묵이라고 병칭된 것으로 보아 두 사상 사이에 대결 의식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1. 이민수, 「제자백가」,흥신문화사, 1990. pp. 18~23.
2. 이성규, 『강좌중국사1』「제자의 학과 사상의 이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회편, 서울, 지식산업사
3. 오재환 지음, 「중국사상사」, 신서원 1999. pp39~80.
4. 이재봉,『제자백가사상 개론』, 생활지혜사, 1998
5. 이영재 저,「중국 철학이야기」, 박우사.
법가들은 대체로 실제적인 정치가로서 내외 정세를 법에 의한 정치로 대처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던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기본토대는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었다. 제(齊)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룬 관중(管仲)이나, '형서(刑書)'를 만듦으로써 실정법을 공포한 정(鄭)의 자산(子産) 등에서부터, '법치(法治)'를 내세워 위(魏)에서 변법을 시행한 것으로 유명한 이회(李 ), 신료들을 통제·제어하는 '술(術)'을 강조한 한(韓)의 신불해(申不害), 그리고 신하가 군주에 복종하는 것은 군주의 세력이지 결코 그의 덕행이나 재능때문이 아니라고 하여 '세(勢)'를 강조한 신도(愼到), 그리고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2차 걸친 강력한 개혁을 단행하여 이후 진(秦)의 통일기반을 제공한 상앙(商 ) 역시 법가(法家)로 유명한 인물들이었다.
2) 한비자(韓非子)의 사상
위의 여러 법가사상을 총망라하고 집대성한 이로서, 우리는 한비자(韓非子)를 들 수 있다. 전국시대 말기는 한창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한 시기였고, 그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부국강병, 그리고 전쟁에 의한 합병이 중시되던 시기였다. 이런 때, 한비자는 기존의 여러 법가사상들, 즉 술(術)·세(勢)와 법(法)을 통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배를 추구하였다. 법(法)과 술(術)·세(勢)를 통합했다는 것은 법치(法治)의 운영방법으로서 술치(術治)와 세치(勢治)를 병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민(民)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법(法)이 필요하고, 관리를 부리기 위해서는 술(術)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法)과 술(術), 그리고 세(勢)는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이라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법치(法治)의 기본은 철저하고 엄격한 상벌(賞罰)을 통해 '사적인 것을 배척하고 공적인 것을 이롭게[排私利公]'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한비자가 집대성한 법가사상은 이후 진시황(秦始皇)과 이사(李斯)에 의해 실현되어, 진(秦)이 춘추전국시대의 분열상황을 극복하고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는 기틀이 되었다. (그러나 진왕조가 단명한 후 한대 이래 법가는 유가에 밀리게 된다. 그 이유는 '교화'나 '위민(爲民)'의 이상이 없다는 데 있다. 법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법에 의한 통치의 정당성 또는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에, 난세를 극복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적합하나 안정 국면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하였던 것이다.)
7. 묵자(墨子)(BC 480~BC 390)사상
묵적과 묵가 집단 은 모든 인민, 국민의 평등을 추구하고, 현실적 이익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서구의 유물론이나 근대의 ‘사회주의’개념과 비슷한 특징을 가직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기자불식 한자불의 노자불식』을 그들이 처한 사회의 상황으로 규정하고, 다른 유자이론의 허위성을 공격하는 것으로 그들의 사상적 토대를 확립했다. 그들 집단의 특징 중 하나는 하층, 피지배층의 고통해결을 위한 하나의 조직체였다는 것 이다. 집단내부의 조직원의 구성 한 그들의 상태를 잘 대변할 수 있게끔 동일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져있었는데, 수어 단적 성격을 띤 수공업자들의 조직으로도 볼 수 있다. ‘춘추좌전’에 보면 묵자시대에 세 차례의 큰 수공업자들의 대모가 있었다고 한다. 이것은 목자가 나타나 그들의 이익을 대변해 주었고, 그만큼 서민들의 자의식이 성장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례로써, 즉, 이 조직체의 특징은 피지배층을 위한 피지배층으로 구성된 조직 이라는 것 이다.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묵가의 방향성이 당시 유행했던 ‘유가’와 완전 반대되는 개념이었기에 거의 모든 면 에서 유가와 대립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 이다. ‘묵가’의 도서는 문장이 간결하고 또 난해한 것이 특징인데, 그것은 당시 주류 에 속하지 못한 묵가 출신의 학자들이 겉으로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도서를 편찬하였기 때문이다. 묵자 사상은 또한 매우 합리적이며 실용적이다. 이런 점은 유가에 대한 묵가의 비판 가운데 잘 나타나 있다. 당시 유묵이라고 병칭된 것으로 보아 두 사상 사이에 대결 의식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1. 이민수, 「제자백가」,흥신문화사, 1990. pp. 18~23.
2. 이성규, 『강좌중국사1』「제자의 학과 사상의 이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회편, 서울, 지식산업사
3. 오재환 지음, 「중국사상사」, 신서원 1999. pp39~80.
4. 이재봉,『제자백가사상 개론』, 생활지혜사, 1998
5. 이영재 저,「중국 철학이야기」, 박우사.
키워드
추천자료
공자의 교육사상
[방송대]-같은 도가사상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각기 일가를 이룬 것으로 평가되는 老子
공자의 유가사상과 노자의 도가사상
맹자의 사상과 한국정치
중국의 학술과 사상
성공한, 그러나 실패한 비운의 사상 법가
묵자의 평화이념과 실천
묵가의 사상과 묵가
[맹자][맹자의 시대적 배경][맹자의 생애][맹자의 교육사상][맹자의 정치사상][맹자의 철학][...
순자(荀子)의 생애와 사상 및 중국에 미친영향
2010년 2학기 중국의종교와사상 중간시험 핵심체크
유가 vs 법가
[동양][동양 동양학][동양 묵자사상][동양 노장사상][동양 미술][동양 한국화][동양 무도]동...
소개글